도서소개

500년 신구약 중간사 연구자가 제시하는 회복의 언어! 세종대학교 15주 명강의, 로고스와 파토스, 에토스의 결정판! 유튜브 채널 중간사 강의 100만뷰 돌파! 중간사를 구약의 예언 확인 시기라고 한 저자는 ‘제2성전기’ 용어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를 분명하게 말한다. 이 책은 학술서가 아니라는 것! 20년 연구자로서 역사에서 재현된 내용을 토대로 현실과 접목하고자 하였다. 특히 마카비 전쟁과 유대 전쟁의 관계에서 신약 시대를 이해하며 그 시대를 살았던 아무개들과 소통하려는 노력이었다. 그들의 질문이 지금 이 순간에도 유효하다. 우리가 2천 년 전 초대교회 성도들과 같은 성경, 같은 신앙을 가지고 있다는 점은 놀랍다. 그만큼 신앙이 역사성을 가진다는 말이다. ‘회복’을 경험한 초대교회 성도들이 로마 제국을 넘어 역사 속에서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저자는 로마 시대에 탁월한 삶의 기준을 제시하며 숭고하게 살았던 초대교회의 모습으로 돌아갈 때 교회는 오늘도 소망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저자는 성경과 시대의 접점을 찾아 적용하는 고민을 하지 않고 문자에 갇힌다면 결국 소멸하지 않겠냐고 되묻고 있다. 같은 본문, 같은 단어를 접하더라도 복음, 교회, 소망 같은 어휘들이 그 시대 역사적 맥락에서 나온 표현임을 기억해야 한다. 유대교가 바리새파를 중심으로 랍비 유대교로 전환하여 명맥을 이어 온 점을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그들은 사두개인과 달리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현실에 적용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했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차례

추천사 신구약 중간사 500년의 역사, 그 회복의 지혜 4저자의 말 오랜 탐독의 열매 8 프롤로그 넘침과 부족함 사이에서 13 1강 신구약 중간사는 무엇인가 16 2강 고레스 칙령과 페르시아 시대 34 3강 에스라-느헤미야 시대의 시작 58 4강 알렉산드로스의 등장과 헬레니즘 시대 78 5강 마카비 전쟁과 하스몬 가문의 등장 98 6강 하시딤의 출현과 유대교의 변화 126 7강 에세네파와 쿰란 공동체 144 8강 사두개파의 출현과 영향 164 9강 바리새파의 출현과 영향 184 10강 헤롯 가문과 유대 엘리트 계급 206 11강 유대 사회와 산헤드린 공회 232 12강 유대 전쟁, 그리고 신약 성경 252 13강 예수의 재판과 유대인들의 진심 272에필로그 신구약 중간사의 과제 298


저자소개

박양규 목사는 문학·예술·역사의 토대 위에 성경 교육을 제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고 있다. ‘죽은 역사’에 생명력을 불어넣어 현재와 대화를 나누는 탁월한 재능이 있다. 총신대학교 신학과B.A.와 동 대학원M.Div.에서 신학을 전공했고, 고려대학교 서양사학과에서 헬레니즘을 전공했다M.A.. 영국 애버딘 대학교에서 요세푸스의 문헌을 중심으로 신구약 중간사를 연구하여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2014~2015년에는 소명중고등학교에서 인문 고전과 성경을 접목한 교리 교육에 전념했으며, 삼일교회(송태근 목사 시무)에서는 교회학교를 총괄했다. 한국에서 가장 보수적인 교단 소속 목회자로서 저자의 오랜 고민은 목회와 교육 현장에서 왜 성경이 현실에 와닿지 않는가, 왜 성경은 격리된 언어로 존재하는가였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성경과 현실이 만나는 지점을 명확하게 포착했고,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방향을 선명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것이 결정적인 동기가 되어 코로나 시대에 대형 교회의 울타리를 벗어나서 교회 교육 콘텐츠를 제시하는 시대적 사역을 개척하고 있다. 저서로는 『유럽비전트립』 1, 2권(두란노), 『청소년을 위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1, 2권(새물결플러스), 『중세교회의 뒷골목 풍경』(예책), 『동화 속 성경이야기』(큐리북), 『인문학은 성경을 어떻게 만나는가』(샘솟는기쁨)가 있다. 현재 다음 세대를 위하여 다양한 교회 교육 콘텐츠를 계발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교회교육연구소〉와 〈큐리랜드TV〉를 운영하고 있으며, 소명중·고등학교에서 성경을 가르치며, 다음 세대를 위한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