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필자의 연구는 “북부 수마트라의 대표종족인 바딱종족이 생명의 위험을 무릅쓰고 기독교로 회심하는 요인은 무엇이었을까? 그리고 그들의 회심에는 어떤 과정이 있었을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 연구는 기존에 알려져 있는 회심이론에 대한 검증이 아닌 인도네시아의 사회·정치적 특징과 바딱종족이라는 역사·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외부자(etic)의 관점이 아닌 내부자(emic)의 관점을 지향하였다. 귀납적 연구가 그러하듯이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다. …회심자들은 그들의 회심 과정 가운데 경험했던 숱한 위기와 어려움을 하나님의 말씀, 놀라운 경험, 성도들의 사랑을 경험함으로 극복하였고 도리어 그 시간을 통하여 하나님을 발견했다는 신앙고백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런 점에서 필자는 본 연구가 인도네시아 뿐 아니라 나아가 이슬람권에서 사역하는 동료 선교사들과 사역자들에게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차례

추천사 1 쌈핏모 하베아한 박사│메단장로회신학교 학장 1 추천사 2 김성운 박사│고려신학대학원 선교학 교수 3 추천사 3 홍영화 선교사│고신총회세계선교회(KPM) 본부장 5 추천사 4 강창섭 박사│인천중화교회 담임목사 7 약어표 17 저자 서문 18 제1장 서론 23 1. 연구 문제의 진술(Statement of Research Problem) 23 2. 연구 목적(Statement of Purpose) 24 3. 연구의 중요성(Signicance of Research) 25 4. 연구 및 면접 질문(Research and Interview uestions) 27 5. 가정(Assumptions) 29 6. 연구상의 제한(Delimitations) 30 7. 연구의 한계(Limitations) 31 8. 방법론(Methodology) 32 9. 용어 정의(Denition of Terms) 32 제2장 선행 연구 및 관련 문헌 35 1. 인도네시아 종교와 빤짜실라 세계관 36 2. 북부 수마트라 바딱 종족 이해 44 3. 바딱 종족의 선교 역사 51 4. 바딱 종족과 노멘슨 선교사 57 5. 회심의 이해 61 제3장 연구 방법론 81 1. 연구 방법론: 근거 이론 82 2. 연구 참여자 인적 사항 87 3. 자료 수집 90 4. 연구 참여자 모집 91 5. 심층 면접 진행 92 6. 자료 분석 94 제4장 연구 결과 102 1. 연구 참여자의 회심 이전의 삶 102 2. 교회 출석 동기 123 3. 교회의 첫인상 140 4. 회심의 장애 요인 152 5. 장애 극복 요인 169 6. 결신 요인 182 7. 연구 참여자의 회심 이후의 결과 210 8. 주요 범주 간의 비교 분석 235 9. 이론적 코딩 243제5장 결론 256 1. 절차 요약 256 2. 본 연구를 통해 생성된 회심 이론 258 3. 문헌 연구와의 논의 264 4. 연구의 적용 269 5. 연구의 제언 275 부록 1 심층 면접을 위한 개인 질의서 278 부록 2 연구설명과 참여 동의서 281 부록 3 IRB 승인서 286 국문 초록 287 ABSTRACT 290 참고 문헌 293


저자소개

1995년 OM 국제선교단체에서 선교사역을 시작한 뒤, 2007년 고신총회세계선교회(Kosin Presbyterian Mission) 선교사로 파송받아 이집트와 인도네시아를 거쳐 2023년까지 KPM본부에서 사역하였다. 2024년에 다시 인도네시아 북부 수마트라로 돌아가서 이전에 해 온 교회개척과 지도자 훈련 그리고 브니엘 기독학교를 통한 교육사역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특별히 이슬람권에서의 오랜 경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이 책을 출간하였다. 이슬람의 개신교 회심 인구가 급증하는 현재에 정작 관련연구가 부족한 점을 안타깝게 여겨 이슬람권 선교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고자, 교회를 섬기는 이들과 선교사들의 이해를 돕고 그들의 연구를 독려하기 위한 취지로 자신의 연구결과물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