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한국교회사에 있어서 일제강점기하에 일제가 행하였던 신사참배 강요 사건에 대하여 다룬다. 신사참배를 우상 숭배와 결부시켜서 왜 문제인지 그리고 신사참배를 통하여 조선을 어떻게 지배하고자 했는지 밝혀준다. 그리고 신사참배에 대하여 침례교단에 초점을 맞추어서 어떻게 저항하고 거부했는지를 밝혀주고 있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차례

추천사 1 민경배 박사│전 백석대학교 석좌교수 · 1추천사 2 피영민 박사│한국침례신학대학교 총장 · 5추천사 3 안희열 박사│한국침례신학대학교 선교학 교수, 기획처장 · 8일러두기 · 15요약 · 16프롤로그 · 24기독교인에게 호소(呼訴) · 37서문 · 39제1부 신사참배와 우상 문제 42제1장 신사참배 문제 왜 아직도 논란인가? 43제2장 신사참배 문제 언제 끝날 것인가? 45제3장 변화하는 사회적 물결 속에서 기독교 신앙은 꼭 필요한가? 47제4장 신사참배에서 우상이란 무엇인가? 55제5장 우상에 대하여 기독교인은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72제6장 기독교인에게 국가와 종교의 관계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78제7장 국가 종교인 신사참배 강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90제 8장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한 침례교의 선택은 무엇 때문이었는가? 104제2부 신사참배 강요와 침례교단 거부 110제1장 일제는 식민지 조선을 어떻게 통치했는가? 111제2장 일제는 식민지 조선 종교를 어떻게 요리했는가? 132제3장 일제의 국체와 신사참배 그 본색은 무엇인가? 140제4장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기독교계 대응의 진실은 무엇인가? 157제5장 일본의 기독교는 조선의 기독교와 어떻게 상호 작용을 했는가? 171제6장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침례교단 거부와 항일의 전말은 무엇인가? 183제7장 신사참배 강요 거부로 인한 피흘린 발자취를 따라서 201제8장 침례교 항일독립운동의 교훈은 무엇인가? 213에필로그 · 232한국침례교 신사참배 강요 거부 역사 연보 · 235미주 · 237참고 문헌 · 258부록 예심청구서 · 271


저자소개

2007년 한국침례교회역사연구회를 창립하여 현재 17여 년 동안 역사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한국침례신학대학교(B. A.)·한국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한국침례신학대학교 목회신학대학원 목회학 박사 (D. Min.)·South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D. Min.)·국회 연구 세미나(항일여성독립운동 신앙인 학술세미나) 주제 발표·기독교한국침례회총회 역사연감 편찬위원 역임·한국교회총연합 언론홍보위원회 위원장 역임·현)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연구회원·현) 한국문학예술저작권협회 회원·현) 한국침례교회역사연구회 회장·현) 기독교한국침례회 예수향기교회 담임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