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웨스트민스터 표준문서들 중 하나로서 장로교회 교리의 핵심을 구성하는 웨스트민스터 대교리교육서!1647년에 작성된 초판을 번역함으로써대교리교육서 안에 담긴 참된 의미와 그에 따른 현대적 적용을 생각해보다!이 책은 영어교육과 교리교육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군다나 주일학교 교육을 위한 소교리교육서보다 그 내용이 더 깊고 풍성한 대교리교육서를 번역 및 설명한 책이기 때문에 장로교회의 교리를 보다 깊고 풍성하게 배우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의미 있는 책이 될 것이다. 특히 이 책은 단순히 번역 및 설명만 한 것이 아니라 「교리교사 카테키즘」이라는 챕터를 두어 대교리교육서를 가르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을 다루고 있다는 큰 특징이 있다. 오늘날과 같이 다양한 신학과 신앙, 이야기들이 우후죽순 생겨나는 때에 장로교회가 전통적으로 고백하고 전승해 온 교리의 핵심을 잘 배우고 익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 책은 그러한 교회의 필요와 상황에 매우 도움이 되는 책이다. 교회들이 이 책으로 전통적인 장로교회의 신앙고백과 교리 위에 튼튼히 서 가고, 그로부터 다시 한 번 부흥의 때를 경험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나에게 있어서 이번에 출간되는 『1647 대교리2』는 너무나 값지다. 이 책의 출간으로 웨스트민스터 소교리교육서, 대교리교육서, 신앙고백의 이 세 문서의 원문을 분석하고 정리한 자료가 한국에 처음으로 소개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거기에 더해 이 작업을 할 수 있는 상황과 기회가 나에게 주어졌다는 것이다. 모든 것이 다 하나님의 은혜와 섭리가 아닐 수 없다. 『1647 대교리』의 출간과 함께 웨스트민스터 교리표준문서 세 가지의 번역과 원문분석을 세상에 내놓으며 나는 이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바라는 것이 하나 있다. 나는 독자들이 나의 책을 최대한 자세히 살피고 연구하여 더 정확한 분석과 더 적절한 번역을 제시해주었으면 한다. 한국교회에 유익이 된다면 심지어 내 번역과 분석을 신랄하게 비판해도 좋다. 언제든지 환영한다. _서문에서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차례

추천의 글 _6
저자 서문 _12

사랑 제91-153문답 _16
교리교사 카테키즘: 사랑 _150
십계명 _150
※ 행위언약의 효력과 율법 _150
※ 칼뱅을 통해 십계명 이해하기 _152
※ 주요 교리교육서들의 십계명 교육 _155
※ 주요 교리교육서들의 십계명 교육방법 비교분석 _203

소망 제154-196문답 _218
교리교사 카테키즘: 소망 _316
말씀 _316
※ 말씀에는 언제나 믿음이 열매 맺나? _316
※ 너그러운 마음으로 설교 듣기 _321
성례 _326
※ 성례와 신앙고백 _326
※ 할례와 유월절, 구약성도들의 은혜의 방편 _327
※ 성경이 소개하는 연합들(unions) _329

기도 _329
※ 신자의 바른 기도 _329
※ 하나님의 뜻을 따라 산다는 것은? _330


저자소개

고신대학교 신학과(B.A.)를 졸업한 후, 동 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석사과정(M.A.)에서 고대교회 신앙교육을 연구하며 교리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더 깊은 연구를 위해 2002년 영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London Theological Seminary(M.Div. 1년 수료)와 Birmingham Christian College(선교학 석사 과정 1년 수료)를 거치며 서양 신학의 흐름과 학문하는 방법을 더 깊이 연마한 후, University of Wales에서 역사신학과 교회교육을 교리신학으로 풀어낸 논문인 The Importance of Catechism for the Presbyterian Church in South Korea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고려신학대학원에서 M.Div.를 이수한 후, 고신교단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 2003년부터 영국 현지에서 유학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동시에 학사관을 세워 기독교 유학생들을 양육하고 있고, 2009년에 본머스 장로교회를 개척하여 유학생들을 섬기고 있다. 이와 함께 유럽 종교개혁 전문 투어 사역도 병행해 왔으며, 현재는 교리교육 교수 선교사의 신분으로 개혁주의 교리교육에 더욱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는 『교리교육의 역사』(세움북스, 2016), 『키워드 카테키즘』(세움북스, 2019)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