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로잔운동은 WCC(세계교회협의회)와 함께 세계 선교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운동 중 하나다. 이 중요한 운동은 2024년에 50주년 희년을 맞게 되며, 대한민국 서울(인천)에서 제4차 대회를 열게 된다. 이런 역사적인 시점에 이 책은 탁월한 학문성 위에서 로잔운동의 과거, 현재, 미래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 조망한다. 저자는 로잔운동의 핵심을 짚어줄 뿐만 아니라, 로잔운동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조언도 아끼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로잔운동과 세계 선교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필독서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차례

추천사 1
프롤로그 23

제1부 로잔운동의 역사와 신학 로잔운동의 어제 33

제1장 구원과 선교 개념 변천의 흐름과 로잔 신학의 좌표 34
1. 선교에 있어 구원 이해의 흐름과 평가 35
2. 통전적 구원 개념의 한계점 39
3. 선교 개념의 변천 역사 43
4. 바람직한 선교 개념 정립의 기준들 47
5. 요약 및 전망 55
제2장 로잔운동에 나타난 에큐메니컬 선교신학의 영향 57
1. 세상에 대한 긍정적 견해 강화 58
2. 폭넓어진 선교의 대상과 과제 63
3. 선교에 있어 사회적 책임의 강화 67
4. 약화한 선교의 핵심 사역 72
5. 약화한 복음 전도의 긴급성과 전도에의 헌신 76
6. 요약 및 전망 80
제3장 로잔이 말하는 총체적 선교의 의미와 영향 81
1. 총체적 선교 개념의 태동과 의미 변천 82
2. 총체적 선교 개념이 로잔운동에 미칠 잠재적 영향력 91
3. 요약 및 전망 103
제4장 로잔 신학에 있어 우선순위 문제 105
1. 세 번의 로잔 대회에 나타난 우선순위 106
2. 여전히 우선순위를 구해야 하는 이유 117
3. 요약 및 전망 125

제2부 로잔운동과 선교 현장 - 로잔운동의 오늘 127

제1장 로잔운동과 북한선교 128
1. 복음 전도의 우선순위와 미전도 종족 선교 130
2. 성령의 사역과 기도 134
3. 북한선교에서의 협력 방향 137
4. 북한선교에 있어 기독인의 사회적 책임 142
5. 디아스포라와 평신도 선교 145
6. 요약 및 전망 150
제2장 로잔운동과 기독교 박해 현장의 성도들 152
1. 기독교 박해의 상황 및 유형 154
2. 기독교 박해의 원인들 160
3. 박해 지역 성도들을 위한 로잔의 제언들 166
4. 박해 문제 해결을 위한 보다 더 근본적인 방안들 171
5. 요약 및 전망 176
제3장 4차 산업혁명과 로잔운동 178
1. 4차 산업혁명의 의미와 예상되는 영향 179
2. 4차 산업혁명이 종교와 선교에 미칠 영향 187
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선교 방향 193
4. 요약 및 전망 201
제4장 로잔운동과 뉴 노멀 시대의 선교 203
1. 코로나19가 선교에 미친 영향 204
2. 로잔 LGA 문서들이 제시하는 코로나 위기 시대의 선교 방향 210
3. 구체적인 선교 전략들 214
4. 요약 및 전망 221

제3부 로잔운동의 전망과 제언 - 로잔운동의 내일 223

제1장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에 대한 로잔의 바른 이해 224
1.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개념이 바라보는 하나님의 관심 이해 경향 226
2. 출애굽 사건에 나타난 하나님의 관심 231
3. 하나님의 선교 개념에서 고민해야 할 점들 238
4. 요약 및 전망 246
제2장 로잔이 추구할 선교와 윤리의 바람직한 관계 248
1. 선교와 윤리 중 어느 한 편에 강조점을 두는 관점들 250
2. 윤리적 과제와 선교적 과제를 분리할 수 없다고 보는 관점 255
3. 선교에 있어 윤리의 바람직한 위치 259
4. 요약 및 전망 269
제3장 로잔의 선교 개념에서 재고해야 할 점들 272
1. 로잔 선교 개념의 변화 흐름 273
2. 로잔 선교 개념 변화에서 고민해야 할 점들 282
3. 요약 및 전망 292
제4장 세계 선교를 위한 로잔운동의 기여 방향 295
1. 로잔운동의 태동과 흐름 296
2. 세계 선교를 위한 로잔의 기여 방향 304
3. 요약 및 전망 314

에필로그 316
부록 로잔운동의 역사, 회의, 문서 등의 종합 정보 336
1. 로잔운동의 유래와 시작 336
2. 로잔운동의 명칭과 로고 336
3. 로잔운동의 목적 337
4. 로잔운동의 조직 338
5. 제4차 로잔 대회 한국준비위원회 조직 339
6. 로잔운동의 주요 활동 영역 339
7. 로잔운동의 주요 대회들 340
8. 로잔운동 관련 회의들과 문서들 343
9. 로잔운동의 주요 문서들 347


저자소개

유럽을 중심으로 서구 교회들이 심각한 퇴조의 모습을 보이며 제2/3세계 선교의 핵심 주자 역할을 감당하던 한국 교회마저 내우외환으로 위기를 겪는 모습을 보면서 기독교의 회복과 건강한 성장 방향을 찾아 고뇌하는 선교학자이다. 특별히 대안 선교인 ‘제4 선교신학’을 주창하면서 위기의 기독교를 살리는 선교 방향 찾기에 힘쓰고 있다.성결대학교를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원(M.Div.)에서 수학한 후, 미국 풀러신학대학원에서 선교학으로 신학 석사(Th.M.) 학위와 철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총회 파송을 받아 필리핀에서 선교 사역을 했으며, 풀러신학대학원 객원 교수, Journal of Asian Mission 편집 위원, 한국로잔연구교수회장 등을 역임했고, 현재는 「선교와 신학」 편집위원, 「복음과 선교」 편집 위원, 「선교와 교회」 편집장, 영남신학대학교 대학원 원장, 선교신학 교수 등으로 일하고 있다.저서로는 7 Key Principles of Dynamic Church Growth, 『선교사가 그린 선교사 바울의 생애』, 『능력 있는 예배를 위한 7가지 질문』, 『건강한 교회 성장을 위한 핵심 원리 7가지』, 『사도행전에서 배우는 선교 주제 28가지』, 『현대 선교학 개론』(공저), 『한 권으로 읽는 세계 선교 역사 100장면』, 『성장하는 이슬람 약화되는 기독교』, 『현대 선교신학』, 『현대 선교의 핵심 주제 8가지』, 『이슬람의 어제와 오늘』, 『현대 선교의 프레임』, 『제4 선교신학』, 『성경이 말씀하는 선교』, 『현대 선교 신학』, 『현대 선교의 목표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