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본서는 퀴어 신학이 무엇인지를 소개하면서 퀴어 신학이 가지고 있는 성경해석에 있어서의 문제와 퀴어신학의 삼위일체론이 가지고 있는 이단성에 대하여 밝히면서 퀴어 신학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다룬다.

차례
편집자 서문 004

퀴어 신학이란 무엇인가? _ 이승구
들어가는 말 012
I. 퀴어 신학의 형성배경 014
II. 퀴어 신학 개관 018
1. 마르셀라 알트하우스-리드 | 2. 테오도르 제닝스 | 3. 다니엘 헬미니악
III. 퀴어 신학의 논증과 정통 기독교의 논증 025
1. 절대적 하나님 대(對) 퀴어 하나님 | 2. 인간과 죄에 대한 이해의 대립 | 3. 정통적 그리
스도 대(對) 퀴어 그리스도 | 4. 동성애를 극복하는 구원 대(對) 동성애를 포용하며 조장
하는 구원 | 5. 동성애 등의 죄와 싸우는 전투적 교회 대(對) 동성애를 포용하는 교회 |
6. 명확한 성경적 종말론 대(對) 미래적 성적인 종말론(Sexchatology)

나가는 말 035

퀴어 신학의 왜곡된 성경해석 _ 곽혜원
들어가는 말 038
I. 퀴어 신학 개관 043
1. 퀴어 신학의 정의 | 2. 퀴어 신학의 기원
II. 퀴어 신학의 왜곡된 성경해석 048
1. 데릭 셔윈 베일리 | 2. 존 보스웰 | 3. 다니엘 헬미니악 | 4. 테오도르 제닝스
나가는 말 074

퀴어 신학의 이단성 _ 이상원
들어가는 말 084
I. 퀴어 신학의 정의, 방법론 그리고 철학적 배경 087
1. 퀴어 신학의 정의 | 2. 퀴어 신학의 신학적 방법론 | 3. 퀴어 신학의 종교적, 철학적 배경
II. 퀴어 신학의 삼위일체론(1): 성부 하나님 098
1. 계시론: 하나님의 계시는 하나님의 커밍아웃 | 2. 탑(top)의 위치에서 성교에 참여하시
는 범신범성적 성애의 하나님 | 3. 삼위일체의 관계는 난교(亂交)와 다자성애 | 4. 창조:
하나님의 범신범성적 성애의 쏟아부음
III. 퀴어 신학의 삼위일체론(2): 성자 하나님 105
1. 죄: 범신범성적 성애의 거부 | 2. 예수 그리스도: 자웅동체적 남녀양성자 | 3. 구속: 범
신범성적 성애를 통한 희생양삼기를 끝내기
IV. 퀴어 신학의 삼위일체론(3): 성령 하나님 111
1. 성령: 범신범성적 성애로 인도하는 보혜사 | 2. 교회: 범신범성적 성애의 외적 공동체 |
3. 성례: 범신범성적 성애의 미리 맛보기 | 4. 종말론적인 지워짐
V. 퀴어 신학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비판 118
1. 퀴어 신학의 정의의 문제 | 2. 범신론의 문제 | 3. 신성모독적인 범신론(1): 하나님을 반
창조질서적이고 반생물학적인 성전환자와 동일시함 | 4. 신성모독적인 범신론(2): 하나님
을 성적인 불륜행위자와 동일시함 | 5. 신성모독적인 범신론(2): 중요한 교리적 사건들을
커밍아웃으로 해석함
나가는 말 132

미주 134

저자소개
이승구
이승구 박사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B.A.)
서울대학교 대학원(M.Ed., 윤리교육)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M.Div.)
영국 세인트앤드류스대학교(M.Phil., Ph.D., 조직신학)
현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곽혜원
곽혜원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B.A.)
한세대학교(M.Div.)
장로회신학대학교(Th.M.)
독일 튀빙겐대학교(D.Th., 조직신학)
현 경기대학교 초빙교수, 21세기교회와신학포럼 대표


이상원
이상원 박사

총신대 신학과(Ba)
총신대 신학대학원(M.Div.)
미국 웨스트민스터신학교(Th.M)
네덜란드 캄펜신학대학교(Th.D.)
총신대 신학대학원 기독윤리학 교수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