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오늘날 공공연히 득세하고 있는, 그러나 목적도 방향도 없는 무작위적(無作爲的)인 진화론과 그 이론이 도출한 비참한 사회적 진화에 내 인생을 맡길 것인지, 아니면 또 다른 선택은 있는지? 처음과 나중과 목적과 방향을 계시하고 당당히 선포한다는 성경의 우주 기원과 창조역사는 이 갈등을 해결해 줄 수 있는지? 성경의 창조와 인류의 원역사(原歷史) 또는 태고사(太古史)인 창세기 1-11장은 추상(Abstract)이 아닌 실제적인 역사성과 과학성이 있는지? 그렇다면 당대나 지금이나 메시아라 일컫는 나사렛 예수와 그의 사도와 제자들이 온 인류를 성경으로 정복하면서 성경의 창조역사와 그 목적과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전파했을까?이와 같은 일련의 본질적 삶의 의미와 연관된 진지한 지성적 사고와 갈등을 본서에서는 성경을 통해 확인하는 동시에 역사-과학을 통해서 그리고 현존하는 고증자료를 통해서 독자와 함께 진솔하게 조명하며 탐구한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차례

추천사

이 상 명 박사 미주장로회신학대학교 총장 1
김 의 원 박사 전 총신대학교 총장, 현 AETA 대표 3
AETA: 글로벌 지도자개발 연합회
박 신 배 박사 강서대학교 구약신학 교수 6
최 용 준 박사 한동대학교 교수 8
한 도 수 선교사 전 바울선교회 본부장, 전 KWMF 대표회장, 9
현 브라질선교사협의회 회장

서문 18

제1장 창세기 원역사(창 1-11장, Primeval History)의 신앙 20

1. 우주 기원의 두 가지 모델: 창조론과 진화론 20
2. 플라비우스 요세푸스의 창조 신앙 21
3. 히포의 아우렐리안 어거스틴(354 -430)의 성경신앙 22
4. 종교개혁 이전의 창조 신학자 - 캔터베리 안셀름 23
5. 종교개혁의 창조신학 - 루터와 칼빈 24
6. 종교개혁 이후의 창조 신학자 - 빌헬름 류트거르트 27
7. 창조신학의 선포와 적용 28
8. 창조의 바른 인식과 예수의 복음이 주는 자유 32

제2장 창세기 1-11장의 특성 39

1. 비유가 아닌 실제성 39
2. 기록 시대 고찰 40
3. 성경 전체의 통일성 41
4. 구조와 주제들 42

제3장 창세기 1장 44

1.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 44
2. 창조 동사 ‘바라’(??????)와 ‘아사’(??????)의 용법 47
3. 구약의 헬라어 칠십인역(LXX)과 신약성경에서 48
창조 동사(크티조)의 사용법
4. 간격이론(Gap Theory)의 타당성 여부 50
5. 하나님이 “말씀하시기를”의 특성과 용법 57
6. 하나님의 창조적 권능과 지혜 - 철새와 콜리박테리(Coli-Bakterium) 62
7. 빛의 창조와 사도의 증언 62
8. 날(하루)의 개념과 정의 63
9. 넷째 날 광명(태양과 별들)의 창조와 지구의 조명 관계 65
10. 사람(아담)의 창조와 그 의미 70
11. 보시기에 좋았던 창조 - 창조주의 평가 78

제4장 창조의 역사성과 과학성 고찰 80

1. 바벨론의 창조신화 - 에누마 엘리쉬(Enuma eli?)의 서사시 80
2. 생명체의 생성: 유기물과 정보의 조합 85
3. 육일 간의 창조 기간 89
4. 지구 연대에 관한 고찰 93
5. 방사성 탄소(14C)의 연대 측정 방법의 한계성 94

제5장 창세기 2장 99

1. 하나의 창조 - 두 가지 다른 서술 99
2. 창조동사 아사(??---????)의 사용법 102
3. 아담과 아내 - 신적인 돕는 배필 103
4. 에덴의 장소 107
5. 하나님의 계명 - 정녕 죽으리라! 108

제6장 창세기 3장 109

1. 아담의 언약 파괴 109
2. 뱀의 머리를 상하게 하는 여자의 후손 111
3. 하나님의 심판 - 땅이 받은 저주의 결과: 인간과 피조물의 탄식 116

제7장 창조와 예수 그리스도 복음의 연관성과 통일성 119

1. 인간의 탄식과 하나님의 구원 역사 119
2. 예수의 복음 - 참된 로고스(λ?γο?) 124
3. 예수의 복음 - 성경적 선교(Missio)의 원리 151
4. 예수의 복음 - 속죄제물과 화목제물 160
5. 예수의 복음 - 예수의 부활: 영광된 승리 163
6. 예수의 복음 - 다윗 시편110의 성취: 다윗의 주(???????) 182
7. 예수의 복음 - 하나님의 원수의 양자법 190
8. 예수의 복음 - 하나님과 화목 195

제8장 창세기 4장 199

1. 가인은 누구를 두려워했나? 199
2. 가인의 아내(에녹의 어머니)는 누구였나? 200
3. 두발가인이 사용한 철기 - 고고학적 고찰 202

제9장 창세기 5장 208

1. 아담에서 노아까지 10대 후손들의 계보 208
2. 선조와 공존하던 원역사(창 1-11장) 시대의 특성(아담-노아, 창 1-5장) 211

제10장 창세기 6-9장 213

1. 하나님의 아들, 사람의 딸들 그리고 네피림 213
2. 노아의 홍수 - 역사적 사건 219

3. 노아의 방주에 관한 조선 공학적 고찰 225
4. 바벨론의 길가메시(Gilgamesh)의 홍수신화 226

제11장 창세기 10-11장 229

1. 노아의 후손 칠십(70) 종족과 인류의 구속사관 229
2. 노아에서부터 아브라함까지 계보 232
3. 선조와 공존하던 원역사 시대의 특성(노아-아브라함, 창 10-11장) 233
4. 바벨탑 사건(창 11:1-9) 235
5. 세계 인구 성장률을 통한 노아 후손 시대 인구 조명 236

제12장 오늘의 인류 - 노아의 후손 240

1. 동일한 조상으로부터 민족의 분산 - 미토콘드리알DNA 240
2. 피부와 멜라닌의 작용 241
3. 피부와 신체의 특징 - 자연환경의 선택 압력(selections pressure) 243

제13장 진화론의 실상과 창조의 과학성 248

1. 진화론 학자들의 창조 비판 248
2. 진화론의 실상 250
3. 사회적 진화의 허구성(虛構性) 251
4. 진화론의 객관적 평가 254
5. 유신론적 진화와 구속사(Salvation History)의 상충 256
6. 창조의 과학성 259
7. 글을 마치면서: 올바른 분별과 순종 263

참고 문헌 273


저자소개

1952년 출생. 독일 쾰른 공과대학교에서 전자공학 석사 과정을 졸업하고, 독일 기쎈의 자유신학대학(FTH: Freie Theologische Hochschule)에서 목회학 석사(M.Div.)와 신학 석사(Th.M.) 과정을 졸업했다. 기쎈 주립대학교에서철학과 자연철학을 전공하고 윗필드신학교(Whitefiled Theological Seminary 플로리다/독일 본)에서 세계복음주의협의회(WEA)의 신학부 부장이며 총재인 독일 토마스 쉬어마허(Thomas Schirrmacher) 교수 지도 하에 신학 박사(신약학과 선교신학, 이슬람학) 과정을 마쳤다.저자는 신학교 재학 때부터 10여년 동안 목회(유학생과 나토 영어권 군인가족 그리고 교포)를 하면서 선교 사역을 하던중 1996년에 바울선교회에 허입되었다. 현재 독일에서 아내인 국루디아 선교사 그리고 아들 나사로와 함께 무슬림 난민 선교와 다민족 선교를 감당하고 있다. 난민 사역의 한 분야로써 현재 A-Pen의 대표 코디로 섬기고 있다(A-Pen은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중동과 유럽 난민 선교 네트워크다). 또한, 선교지의 몇 신학교와 미주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 섬기도 있다. 가족으로는 국루디아 사모와 아들 나현우, 딸 나찬미 그리고 막내 아들 나사로가 있다.저서『사도가 전했던 복음으로 복음을 전하라』(전주: 도서출판 바울선교회, 2009)『구속사적 관점에서 사도 바울의 복음과 선교』(DasEvangelium und die Mission vom Apostel Paulus unter demheilsgeschichtlichem Aspekt [Bonn: VKW,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