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출애굽기는 구약성서의 두 번째 책이다. 그렇다고 신학적으로나 경전의 순서로나 창세기 다음이라는 뜻은 아니다. 이 책은 모세와 이스라엘의 이집트 탈출을 이야기 형식으로 서술한다. 자세히 보면 이집트에서 탈출과 구원, 이스라엘과 하나님의 계약 그리고 성막 건설이다. 차례로 탈출 ‘이야기’( אנדה ), 생활의 ‘율법’( הלכה ) 그리고 ‘예배’( סדר )에 해당한다. 따라서 출애굽기의 세 주제 중 어느 한 가지만 집중하면 곤란하다. 세 변의 삼각형에서 무엇이 더 중요하며 무엇이 덜 중요하달 수 없다. 수많은 사연이 켜켜이 쌓인 나루가 점점 사라지고 흔적만 남는다. 나루는 이제 역사의 유적지로 표시되거나 사전에 갇힌 낱말이 되어 간다. ‘출애굽기 나루’는 희미한 나루의 기억과 설레는 내일을 되살리려는 이름이다. 나루의 부풀던 열망과 새날의 부푼 기대를 담은 것이다. 출애굽이 자유와 구원과 해방을 이스라엘에게 열어 주었듯 이 책이 과거와 현재를 잇고 지금과 영원을 아우르는 작은 여백이 되기를 빈다.

차례
책을 펴내며

머리말 



1장 _ 아가다(hd'G'a;): 탈출 이야기 I

01 이름들(출 1:1) 

02 애굽(출 1:1, 5) 

03 모두 칠십이요(출 1:5) 

04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출 1:8) 

05 바로는 누구인가?(출 1:11) 

06 히브리(출 1:19) 

07 바로의 딸(출 2:5) 

08 모세(출 2:10) 

09 모세와 알파벳 

10 모세와 유일신(출 2:10) 

11 모세와 H2O(출 2:10) 

12 미디안 제사장(출 2:16) 

13 모세 ․ 메시야(출 2:17; 사 45:1) 

14 르우엘 ․ 이드로 ․ 호밥(출 2:18; 민 10:29) 

15 하나님의 산(출 3:1) 

16 신발(출 3:5) 

17 젖과 꿀이 흐르는 땅(출 3:8) 

18 내가 누구이기에(출 3:11) 

19 내가 너와 함께(출 3:12) 

20 섬기다? 일하다?(출 3:12) 

21 하나님 이름(출 3:14) 93

22 하나님은 동사다(출 3:14) 

23 있다 ․ 잇다 ․ 이다(출 3:14) 

24 하나님 이름과 ‘피휘’(출 3:14) 

25 하나님 이름과 소문자(출 3:14)

26 출애굽 ․ 엑소더스 ․ 예치아

27 출애굽 거리(출 3:18)

28 지팡이와 뱀의 변증적 관계(출 4:2-3)

29 내가 네 입과 함께?(출 4:12)

30 마음을 완악하게(출 4:21)

31 피 남편(출 4:24-26)

32 내 백성을 내보내라(출 5:1)

33 광야(출 5:3)

34 나는 야웨라(출 6:2)

35 출애굽의 4중적 의미와 유월절 포도주(출 6:6-7)

36 요게벳(출 6:20)

37 ‘기도’의 참뜻(출 8:8)

38 역병(출 9:3)

39 캄캄한 흑암(출 10:21-23)



2장 _ 아가다(hd'G'a;): 탈출 이야기 II

40 출애굽 자세(출 12:11) 

41 넘 절(출 12:11)      

42 유월절과 엘리야의 잔 

43 유월절 식탁과 할렐 

44 유월절 ‘떡’과 교회의 분열 

45 603, 550(출 12:37) 

46 수많은 잡족(출 12:38) 

47 야웨의 밤(출 12:42) 

48 비아 마리스(출 13:17) 

49 얌 수프(출 13:18) 187

50 ‘갈대’ 바다(출 13:18) 

51 대열을 지어(출 13:18) 

52 요셉의 유골(출 13:19) 

53 출애굽 ‘브렉시트’ 

54 구름기둥 불기둥(출 13:21) 

55 봄의 언덕(출 13:4) 

56 규례과 율례(출 13:10) 

57 믹돌(출 14:2) 

58 믹돌과 ‘막달라’(출 14:2; 막 15:40) 

59 바알스본(출 14:2) 

60 출애굽 경로와 바알스본 

61 비하히롯(출 14:2; 민 33:7-8) 

62 믹돌-비하히롯-바알스본: 압제-자유-유혹 

63 천사가 물러선 이유(출 14:19) 

64 새벽(출 14:24) 

65 주의 콧김(출 15:8) 

66 미리암 ․ 마리아(출 15:20) 

67 너의 하나님 너의 치유자(출 15:26) 

68 고기 가마 곁(출 16:3) 

69 ‘아멘’ ․ ‘버티기’(출 17:12) 

70 천부장 ․ 백부장 ․ 십부장(출 18:21) 



3장 _ 할라카(hk'l'h): 새 삶의 원칙

71 믿음의 시제(출 19:1) 

72 ‘이스라엘’이 되어(출 19:2) 

73 야곱의 집 이스라엘 자손(출 19:3) 

74 내 언약(출 19:5) 

75 제사장 나라(출 19:5-6) 

76 우리가 준행하리이다(출 19:8; 24:3, 7) 

77 우레와 번개와 구름(출 19:16) 

78 역사적 서언인가? 제1계명인가?(출 20:2) 

79 ‘너의 하나님’ vs ‘너희들의 하나님’(출 20:2) 

80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하게 지키라(출 20:8) 

81 부모를 공경하라(출 20:12) 

82 살인하지 말라(출 20:13) 

83 탐내지 말라 … 탐내지 말라(출 20:17) 

84 긍정 계명과 부정 계명(출 20:2, 8, 12-17) 

85 다듬은 돌로 쌓지 말라(출 20:25) 

86 청동률(출 21:23-25; 신 19:21) 

87 나그네(출 22:21)

88 과부(출 22:22) 

89 이자(출 22:25) 

90 내 이름이 그 안에(출 23:21) 

91 언약의 책(출 24:7) 

92 하나님을 보고 먹고(출 24:11) 

93 돌판(출 24:12) 

94 토라와 밀가루(출 24:12; 왕상 4:22)



4장 _ 세데르(rd,se): 예배와 질서

95 성막과 교회 

96 ‘규빗’과 길이(출 25:10) 

97 진설병(출 25:30) 

98 복수의 의미(출 25:8, 10; 28:4, 6) 

99 성막을 위한 일곱 가지 예물(출 25:2) 

100 궤(출 25:10) 

101 시은소(출 25:17) 

102 두 그룹(출 25:18) 

103 등잔대(출 25:31-40; 37:17-24) 

104 등잔 일곱(출 25:37; 37:23) 

105 한 성막을 이루라(출 26:6; 고전 12:12) 

106 지성소(출 26:33-34) 

107 석류(출 28:33-34) 

108 방울(출 28:33-34; 39:24-26) 

109 우림과 둠밈(출 28:30) 

110 출애굽과 성막 

111 반 세겔(출 30:11-16; 38:24-26) 

112 브살렐과 오홀리압(출 31:2, 6a) 

113 브살렐과 오홀리압: 솔로몬과 히람(출 36:1) 

114 야웨가 모세에게 이르시되(출 31:12) 

115 안식일 중의 안식일(출 31:15) 

116 이스라엘: 네 백성? 이 백성? 내 백성?(출 32:7) 

117 내 ‘이름’을 지우소서(출 32:32-33) 

118 야웨라 야웨라(출 34:6) 

119 창조하다 ․ 만들다(출 34:10) 

120 모세의 광채(출 34:29) 

121 서른두 개의 전치사 에트(출 39:33-40) 

122 충만 ․ 충일(출 40:34) 

123 어제 ․ 내일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창주
한신대학교 신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시카고신 학교에서 목사 앙드레 라콕과 랍비 헤르만 샤알만의 지도로 구약학 및 유대교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신대학교 신학부 구약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 『창세기 마루』(2017) 외에 『시편: 우리 영혼의 해부학』(2006), 『토라의 신학』(2010) 등의 공저, 『다니엘과 그의 시대』(2001), 『성서의 새로운 이해』(2006) 등의 역서가 있으며, “메노라에 비친 시편 67”(2019) 외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기독교와 유대교를 잇는 연구를 학문적 과제로 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