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한국 교회 전도의 새로운 방향』은 한국선교신학회가 창립 30주년을 맞아 “전도”를 주제로 한 논문 15편을 선별하여 묶은 것이다. 초창기 한국 교회의 부흥과 이후 교회 성장에 이르기까지 복음 전도가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어떤 성과와 한계가 있었는지 그리고 시대 변화에 발맞춰 앞으로 전도 패러다임과 전략을 어떻게 발전시켜야 하는지를 매우 실제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성서에서 말하는 복음 전도의 의미와 선교적 공동체로서의 교회 정체성을 환기하도록 이끌어준다. 세계 유수의 연구 성과를 한국 실정에 맞춰 재해석할 뿐 아니라 종교다원주의, 가나안 성도, MZ 세대 등 목회 현장에서 치열하게 맞닥뜨리는 문제를 매우 실제적으로 다루고 있기에 목회자와 평신도 리더십에게도 매우 유익한 안내서가 될 것이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차례

머리말

1부 한국 교회 전도의 과거와 현재

1장 초기 한국 교회의 전도_ 구병옥
2장 한국 선교단체들의 전도 유형과 방법 _이선이
3장 한국 교회의 1970-80년대 전도 유형과 방법 _김종성
4장 한국 교회의 프로그램식 전도의 현실과 문제점 그리고 대안 _김남식
5장 한국 개신교 전도의 문제점과 대안 모색_ 최동규

2부 변화된 문화와 새로운 전도 방향

6장 포스트모던 문화의 출현과 효과적인 복음 전도_ 홍기영
7장 세속화 시대의 효율적인 복음 전도에 관한 연구_ 하도균
8장 한국 불신자 유형과 효과적인 전도_ 황병배
9장 ‘가나안 성도’의 교회 이탈 특징에 따른 효율적인 전도 전략_ 이경선·하도균
10장 재생산을 통한 회심 전도_ 남성혁

3부 다섯 가지 영역의 전도 전략

11장 관계 중심의 전도_ 김성욱
12장 소그룹 중심의 전도_ 전석재
13장 MZ 세대를 향한 전도_ 정기묵
14장 문화 사역을 통한 전도_ 박보경
15장 지역사회 중심의 전도_ 김선일


저자소개

건국대학교를 졸업한 후 개신대학원대학교에서 목회학석사(M.Div. equiv.)를 마쳤으며, 미국 Calvin eological Seminary에서 선교학 신학석사(.M.)를, Asbury eological Seminary에서 전도학 철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는 Transitioning from an Ethnic to a Multicultural Church: A Transformational Model (Wipf & Stock, 2019)가 있으며, 역서로는 『다문화 교회의 원리: 성공적인 다문화, 다인종 교회 세우기』 (CLC, 2018)가 있다. 현재 개신대학원대학교에서 실천신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