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큄멜(W. G. Kummel)의 『신약정경개론』을 잇는 최고의 신약학 개론서!신약성서 각 책의 역사적 기원과 신학적 개념을 포괄적으로 규명한 책.저자 우도 슈넬레는 소위 독일 신약학 거장의 시대(1960, 70년대)를 잇는 대표적인 학자로서 신약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 저서를 남겼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저서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 여러 나라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이 책은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1994년에 초판이 나왔으며, 이번에 번역되어 출시된 것은 제8판 개정판이다. 이 책은 1998년 대한기독교서회가 번역 출판한 베르너 게오르그 큄멜(Werner Georg Kummel)의 『신약정경개론』 이후 독일 신약학의 연구 경향을 포함시킨 최고의 신약학 개론서라 할 수 있다.이 책은 입문, 바울서신, 공관복음, 사도행전, 제2바울서신, 히브리서, 공동서신, 요한 학파의 문헌, 요한계시록 등 전체 9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약성서 27권의 역사적 기원과 배경을 깊이 있게 다룬다. 이와 함께 신약성서 각 권의 내용 및 구성, 신학적 기초 사상, 최근 연구 경향 등을 체계적으로 소개하고, 아울러 바울의 연대기, 바울 학파, 요한 학파, 방법론적 고찰로서의 분할가설, 복음의 장르, 차명문서, 정경 형성사 등을 일목요연하게 소개한다. 저자는 개론학 주제의 다양한 이론을 신중하게 다루면서도 이전에 독일에서 출간된 개론서들과는 달리 영미권 학자들의 주장을 보다 비중 있게 소개하는데, 이 점에서 학문적인 지평을 확장했다고 볼 수 있다. 이 책은 신약학 연구에 충실한 개론서를 찾고 있는 독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차례

제8판 서문
초판 서문
한국어판 서문
참고문헌 표시 방법에 대한 안내

■ 제1장 입문

1.1 참고문헌
1.2 정경과 신약성서 개론학
1.3 개론의 구성과 목적

■ 제2장 바울서신

▶ 2.1 바울 사역의 연대기
절대적 연대기 / 상대적 연대기
▶ 2.2 바울 학파
바울 학파의 전통 / 바울이 세운 학파
▶ 2.3 고대 서신
유형으로 본 고대 서신 / 바울서신의 양식
▶ 2.4 데살로니가전서
참고문헌 / 저자 / 기록 장소와 시기 / 수신자 / 내용 구성, 구조, 형식 / 문학적 통일성 / 전승, 자료 / 종교사적 위치 / 신학적 기본 사상 / 최근 연구 경향 (이하 ‘…’로 줄인 곳은 이와 같음)
▶ 2.5 고린도전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보론 1: 바울서신의 분할가설에 관한 방법론적 고찰
▶ 2.6 고린도후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2.7 갈라디아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2.8 로마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2.9 빌립보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2.10 빌레몬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보론 2: 바울 해석의 모델

■ 제3장 공관복음

▶ 3.1 ‘복음’ 장르
참고문헌 / ‘복음’ 개념 / ‘복음서’ 문학 장르 / ‘복음서’ 장르의 문학 역사적 위치
▶ 3.2 공관복음 문제
참고문헌 / 공관복음 문제의 역사 / 두 자료설 / 특수자료 / 두 자료설 도해 / 공관복음 전승의 구성 / 공관복음 문제에 대한 추가 이론
▶ 3.3 로기온 자료
참고문헌 / 로기온 자료의 추정 범위 / 기록 장소와 시기 / 로기온 자료의 전승과 언어 / 로기온 자료의 생성 / 로기온 자료의 구조와 장르 / 로기온 전승의 전달자 / 로기온 자료와 마가복음 / 로기온 자료의 신학적 기본 사상 / 최근 연구 경향
▶ 3.4 마가복음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3.5 마태복음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3.6 누가복음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제4장 사도행전

참고문헌 / 저자 / 기록 장소와 시기 / 수신자 / 내용 구성, 구조, 형식 / 사도행전의 본문 / 전승, 자료 / 신학적 기본 사상 / 최근 연구 경향

■ 제5장 제2바울서신

▶ 5.1 역사적 및 신학적 현상으로서 차명문서
▶ 5.2 골로새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5.3 에베소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5.4 데살로니가후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보론 3: 바울서신의 수집과 정경의 형성

■ 제6장 히브리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제7장 공동서신

▶ 7.1 야고보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7.2. 베드로전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7.3 유다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7.4 베드로후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제8장 요한 학파의 문헌

▶ 8.1 요한 학파
참고문헌 / 요한 학파의 존재에 대한 준거 / 요한 학파의 문헌 / 요한 학파의 장소 / 요한 문헌의 순서
▶ 8.2 요한2서
요한2서와 요한3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8.3 요한3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8.4. 요한1서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8.5 요한복음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 제9장 요한계시록

참고문헌 / … / 최근 연구 경향

역자 후기
문서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저자소개

우도 슈넬레(1952-)는 독일의 성서학자이자 루터교 신학자이다. 괴팅엔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게오르그 슈트레커(Georg Strecker)의 지도 아래 교수자격을 취득(1985)했다. 괴팅엔 기볼데하우젠 교회에서 2년간(1984-86) 목회를 한 후 에얼랑엔대학교(1986-92)와 할레대학교(1992-2017)에서 교수로 봉직하다 은퇴했다. 그는 소위 독일 신약학 거장의 시대(1960, 70년대)를 잇는 대표적인 학자로서 신약학의 거의 모든 분야에 저서를 남겼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저서가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지은 책으로는 『노이어 베트슈타인: 신약성서 관련 그리스·헬레니즘 본문 I/1.2-1―마태복음 1-10장』(2012), 『요한서신』(2010), 『요한복음』(2009), 『노이어 베트슈타인: 신약성서 관련 그리스·헬레니즘 본문 I/1.1―마가복음』(2008), 『신약성서 주석 입문』(2008, 7판), 『신약성서 신학』(2007), 『바울. 생애와 사상』(2003), 『노이어 베트슈타인: 신약성서 관련 그리스·헬레니즘 본문 I/2―요한복음』(2001), 『노이어 베트슈타인: 신약성서 관련 그리스·헬레니즘 본문 II―서신문헌과 요한계시록』(슈트레커와 함께, 1996), 『신약성서 인간론. 예수-바울-요한』(1991), 『바울 사상의 변화』(1989), 『요한복음의 반가현설적 기독론』(1987), 『의와 그리스도의 현재?바울 이전과 바울의 세례신학』(1986, 2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