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 책은 52주라는 1년의 시간에 착안해서 모두 52개의 에피소드로 채워져 있다. 1년이라는 반복되는 사이클 속에 사는 인생들이 진정으로 무엇을 가지고 품고 살아야 하는가를 오직 하나의 주제만으로 완성된 책이다. 그 하나의 주제의식은 죽는 하나님의 일이었다. 그간의 교회와 성도들은 자신들이 모두 살고자 하는 사람의 일에 착념하여 살았다고 이 책은 말한다. 그래서 자기 번영과 자기 힘을 지키기 위해 빚어낸 구약의 신을 찾고, 히스기야 왕 때까지도 백성들이 품고 있었던 놋 뱀, 느후스단 앞에서 비나이나를 외쳤다는 의미였다. 모세에게 알려준 모든 제사는 모두 자기 자신이 삭제되거나 부정되어야 했는데 오히려 자기를 살찌우는 투자금 정도의 어린양 영수증 예배였다고 이 책은 두들기고 있다. 종교의 힘을 이용해서 자신을 강화하고 자신을 영생의 존재로 둔갑시키고자 염원했던 것이 시내산 아래에서 뛰어놀고 춤추게 했던 금송아지 예배였다고 이 책은 말한다. 이것이 에덴동산부터 존재한 짐승, 뱀의 논리였다고 한다. 선악과를 먹고 반드시 죽는 존재로 지음 받았던 인간에게 먹어도 죽지 않는다고 왜곡했던 비진리의 논리에 잡혀 살아왔다는 의미였다. 곧 하나님의 일은 인간을 죽이시는 것이었지만, 반대로 마귀의 일은 인간을 긍정하고 살리는 것이었다고 지적한다. 그래서 이 책은 자기 부정, 자기 부인, 자기 죽음만이 진리의 그리스도를 온전히 깨달을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자기 해체가 이루어졌을 때 노아 홍수 때의 40일의 비와 모세의 시내산 40일의 금식, 그리고 예수님의 광야 40일의 금식이 이 땅을 부정한 진리의 비와 말씀으로 이해될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결국 이 책은 이 땅의 교회와 성도들이 노아의 윗물과 모세가 받았던 산 위의 말씀과 하늘에서 내린 만나와 예수님이 전해주신 산상수훈의 팔복을 향해 믿음의 눈을 위로 향하도록 권면하고 있다. 결국 이 위는 이 땅을 죽이고 올라간 성령의 다락방이었다고 말한다.


차례

차례
책 소개
머리말

#에피소드 1. 굼벵이에서 기둥으로
#에피소드 2. 씨와 푸른 풀
#에피소드 3. 가죽옷에서 세마포 옷으로
#에피소드 4. 노아의 방주
#에피소드 5. 우리를 부르신 이유
#에피소드 6. 히브리인
#에피소드 7. 바늘귀로 들어간 야곱
#에피소드 8. 벽돌과 만나
#에피소드 9. 메추라기
#에피소드 10. 불로 녹인 금송아지 신
#에피소드 11. 물두멍
#에피소드 12. 여리고성
#에피소드 13. 질그릇
#에피소드 14. 사르밧 과부와 수넴 여인
#에피소드 15. 나봇의 포도원
#에피소드 16. 쇠도끼와 나뭇가지
#에피소드 17. 엘론과 아일
#에피소드 18. 마아세르(십일조)
#에피소드 19. 성경
#에피소드 20. 예수 그리스도
#에피소드 21. 기록되었으되 1
#에피소드 22. 기록되었으되 2
#에피소드 23. 기록되었으되 3
#에피소드 24. 양의 우리에서 꺼낸 복음
#에피소드 25. 갈릴리
#에피소드 26. 가이사랴 빌립보에서
#에피소드 27. 너는 율법을 어떻게 읽느냐
#에피소드 28. 십계명 제7계명
#에피소드 29. 열 처녀 비유
#에피소드 30. 옛 주인과 새로운 종
#에피소드 31. 양은 오른편 염소는 왼편
#에피소드 32. 율법을 벗고 의를 덧입자
#에피소드 33. 주기도문
#에피소드 34. 젖과 밥
#에피소드 35. 조각과 몸
#에피소드 36. 성전세
#에피소드 37. 오늘 밤에 너희가 다 나를 버리리라
#에피소드 38. 이제는 지팡이, 주머니, 전대, 양식, 돈, 두 벌 옷을 가지고 가라
#에피소드 39. 방언
#에피소드 40. 베드로와 가룟 유다
#에피소드 41. 너는 죽을 때까지도 강도다
#에피소드 42. 다시 찾은 153
#에피소드 43. 팔복 1
#에피소드 44. 팔복 2
#에피소드 45. 팔복 3
#에피소드 46. 팔복 4
#에피소드 47. 팔복 5
#에피소드 48. 팔복 6
#에피소드 49. 팔복 7
#에피소드 50. 팔복 8
#에피소드 51. 모래 위에 지은 집과 반석 위에 지은 집
#에피소드 52. 구제와 다락방


저자소개

김평강은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했다. 지금은 제주도에서 민박을 운영하며 일터 목회와 요나고래 출판사 대표를 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