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 책은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유디스 베커(Prof. Judith Becker),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페터 오피츠 교수(Prof. Peter Opitz) 등 종교개혁에 정통한 국내외 학자들의 총 16편 무게 있는 논문들이 실려 있다. 특히 종교개혁 과정에서 일찍 사라진 개혁교회 창시자 츠빙글리의 교회 개혁의 모습을 5백 년 후 오늘날 다시 살려내고 있다. 츠빙글리 연구에 대한 한국 신학계의 큰 성과를 국제 학계에 제시하는 역작이다. 츠빙글리의 삶과 개혁신학을 통해 오늘날 개혁교회 후예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큰 지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책의 일부 내용을 미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 미리보기


차례

추천사6
프롤로그 츠빙글리의 생애와 신학 사상12
주도홍(츠빙글리 종교개혁 기념대회 대회장, 전 백석대학교 부총장)

01. 울리히 츠빙글리와 개혁교회의 역사40
Ulrich Zwingli und die Geschichte der reformierten Kirche
유디스 베커(Prof. Judith Becker)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교수(Humboldt University of Berlin in Germany)
Prof. Dr. Judith Becker, HU Berlin/IEA Nantes

02. 1523년 츠빙글리의 논쟁과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교회의 시작86
Zwinglis Disputationen von 1523 und die Anfange einer auf
“Gottes Wort” horenden Kirche
페터 오피츠(Prof. Peter Opitz)
스위스 취리히대학교 교수(University of Zurich in Switzerland)

03. 예배, 어떻게?118
주도홍(총신대학교 초빙교수)

04. 정의란 무엇인가?150
이은선(안양대학교 교수)

05. 통일, 어떻게?184
안인섭(총신대학교 교수)

06. 설교, 어떻게?212
서창원 교수(전 총신대학교 교수)

07. 츠빙글리와 루터의 성만찬 논쟁에 나타난 그리스도 신앙 이해248
(Understanding the Faith in Christ in Zwingli and
Luther’s Controversy for the Lord’s Supper)
조병하(전 백석대학교 교수)

08. 불링거와 칼빈의 만남284
이승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09. 국가와 가난한 자들에 대하여 326
이신열(고신대학교 교수)

10. 다시 세례를 받아야 하나?368
박찬호(백석대학교 교수)

11. 성찬식 어떻게 해야 하나?398
Reflections on Zwingli and Calvin’s Sacraments
임종구(대신대학교 교수)

12. 그리스도인의 삶, 어떻게?432
우병훈(고신대학교 교수)

13. 참 자유는 무엇인가?470
유정모(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14. 기독교 평화, 어떻게?504
Zwingli’s Understanding of Freedom as an impulse
for Christian Peace Ethics for the Korean Peninsula
조용석(안양대학교 교수) Yong Seuck Cho

15. 어떻게 살아야 하나?530
주도홍(총신대학교 초빙교수)

16. 하나님의 언약, 어떻게? 566
이은선(안양대학교 교수)

에필로그 재발견된 츠빙글리, 한국 교회에 말하다.606
안인섭(츠빙글리 종교개혁 기념대회 편집위원장, 총신대학교 교수)


저자소개

백석대학교 서울캠퍼스 부총장을 지낸 송천(松川) 주도홍은 1996-2019년까지 백석대학교에서 역사신학 정교수로 봉직하다 정년으로 퇴임하였다. 총신대학교에서 개혁신학을 공부한 후, 독일 보쿰대학교 Ruhr-Universitaet Bochum 신학부에서 17세기 독일과 네덜란드의 개혁교회 역사인 개혁교회 경건주의 연구로 신학석사(Mag.theol. 1990년)와 신학박사(Dr.theol. 1993년) 학위를 취득했다. 『새로 쓴 세계교회사』(1996년 문화관광부 우수도서 선정), 『개혁교회 경건주의』, 『통일, 그 이후』, 『통일로 향하는 교회의 길』, 『설교』, 『페네라의 빵』(수필집) 등 20여 권의 저서와 『모차르트, 음악과 신앙의 만남』(한스 큉),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학』(콘라드 체리) 등의 역서가 있다. 지금까지 저자가 걸었던 주요 길을 돌아보면, 독일에서 도르트문트제일교회 담임목사(고신, 1982-1992년), 미국에서 시카고 개혁교회(현, 예본교회) 담임목사(CRC, 1992-1996년), 한국에서 광주 아델리안교회 설교목사(합동, 2006-2008년, 20014-20016년), 기독교 통일학회 설립 및 회장(2006-2014년), 명예회장(2014년-현재), 한국개혁신학회 회장(2014-2016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백석) 남북위원장(2016-2018년), 아시아복음주의협의회(AEA) 신학위원장(2017-현재), 개혁교회종교개혁 500주년기념대회 대회장(2018-2020년)을 역임했고, 사단법인 평화통일연대 공동대표(2020- 현재), 정년 후 세계 선교사들의 신학교육을 돕는 국제개발대학원(GSID)의 교수로 섬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