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사랑하는 사람에게 치매가 찾아온다면,크리스천은 어떻게 이해하고 도와야 할까?”치매 교인과 가족, 교회 공동체에 전하는 치매 안내서


차례

추천사 4 들어가는 말 6 1부 치매를 잘 몰라서 벌어지는 일들 01 기억력의 문제로 이런 일들이 생겨요 설령 “예수님이 누구예요?” 하고 되물을지라도 21 ‘마태복음이 어디에 있더라…’ 24 같은 구역 식구를 못 알아봐서 27 교회 가는 일이 어려워지다 30 “저, 그 교회 다닌 적 없는데요” 32 어느 때는 딸, 어느 때는 며느리 34 독일요양원에서 한국말을 하는 치매 환자들 38 자신이 치매임을 담화로 발표한 레이건 대통령 40 02 소통이 어려워서 이런 일들이 있어요 상대방 이름이 떠오르질 않아서 45 “오늘 점심은 뭘 드셨나요?” 48 질문을 받으면 ‘그냥 웃지요!’ 50 치매 환자에게는 개방형 질문보다 양자택일형으로 53 열 명의 식구들 앞에 놓인 삼계탕 한 마리 55 03 이런 이상행동들이 보여요 망상: 과거와 현재를 혼동해서 망상이 생긴다 59 배회: ‘집’에 가야 한다며 자꾸 집을 나가려 한다면 64 공격성: “내가 왜 기저귀를 차냐?” 66 수집 행위: 쌓아두지 않으면 불안감을 느낀다 69 착각: “저 남자가 너를 뚫어지게 쳐다보는데 왜 그러는 거니?” 71 이상행동은 개인의 삶의 역사와 관련이 있다 73 치매자가진단과 예방 수칙 76 치매자가진단(SMCQ) 문항, 치매예방수칙 333 교회에서 파악할 수 있는 치매 의심 증상들 80 2부 치매 환자의 내면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01 치매 환자의 이상행동들 뒤에는 이것이 있어요 영화 〈엄마의 공책〉 들여다보기 85 마음속 감정 응어리들은 치매가 와도 비껴가지를 못하더라 90 “우리 며느리가 최고” 92 나에게 치매가 온다면 어떤 이상행동을 보일까? 94 02 치매 환자와 ‘연결’되기 위한 키워드는? 치매가 와도 감정기억은 생생하다 99 치매 환자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공감’ 101 치매 환자라고 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게 아니다 103 치매 환자에게 긍정적인 감정이 쌓여가도록 106 돌보는 이가 알아야 할 ‘감정기억’ 108 이 세상 모든 이들이 듣고 싶어 하는 말 ‘사랑해요’, ‘고마워요’ 110 03 치매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지식들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은 같은 말일까? 115 건망증과 치매, 그리고 경도인지장애 118 기억의 종류와 기능에 따라 분류한 뇌 120 치매의 진행단계_어터몰렌의 자화상 122 무감동증상_온종일 소파에 그림같이 앉아 있다 126 치매 리스크란?_때를 놓쳐선 안 된다 128 치매와 정서 지능 130 *치매 교인에게는 이렇게 대해 주세요 132 3부 치매 교인과 함께하는 은혜의 여정 01 치매가 와도 여전히 소중한 ‘하나님의 형상’입니다 하나님과 하는 숨바꼭질 놀이 137 하나님이 나의 아버지임을 기억하세요 140 하나님의 형상을 드러내는 능력에 문제가 생길지라도 144 02 하나님은 절대로 치매 환자를 잊지 않으십니다 “하나님, 하나님 하며 외우는 거야” 147 언약을 잊지 않으시는 하나님 150 우리가 가만히 있어도 되는 것은 아니다 154 치매 판정 이후에도 삶은 계속된다 157 03 치매 환자에게 남겨진 ‘은혜의 섬’ ‘칵테일 파티 효과’와 성령님 161 ‘기도’라는 은혜의 섬 163 ‘찬양’이라는 은혜의 섬 166 ‘예배’라는 은혜의 섬 171 ‘기억’이라는 은혜의 섬 173 *치매의 진행을 늦춰주는 신앙 활동들 176 4부 치매 교인의 가족을 위하여 01 치매 환자를 돌보는 이들이 경험하는 ‘광야’ 치매 환자 가족들이 겪는 심리 단계 181 하나님이 함께하시면, 광야에서조차 살아갈 수 있다 184 4가지 광야 189 주님 앞에 서는 날, 치매 환자를 돌본 이들이 듣게 되는 말 195 02 나를 돌보는 만큼 치매 환자를 돌볼 수 있습니다 딱딱한 ‘얼음’에서 부드러운 ‘물’이 되는 여정 199 사랑의 4단계 201 ‘가족지지 모임’에 참여하기 209 구원이라는 복음에서 복음을 살아내는 공동체로 211 03 하나님은 내 인생의 공동 저자이시다 하나님과 함께 써 내려가는 나의 인생 이야기 215 이 세상이라는 연극무대의 연출자, 하나님 217 내가 바꿀 수 없는 조건들이 나의 사명이 될 수 있다 219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 3가지 방법 222 하나님은 우리의 고통스러운 경험들까지 사용하신다 226 치매 교인 가족을 위한 방안 230 가족지지 모임, 치매 가족 지원 사업 교회에서 치매 교인 가족을 도울 수 있는 방법 232 끝맺는 말 234 주 238 참고문헌 239


저자소개

강현숙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석사학위(기독교 상담)를, 숙명여자대학교에서 박사과정(상담 및 생활지도 전공)을 마쳤다. 인생 전반부에는 대학 강사로 서울여대, 강남대, 성신여대 등에서 학생들의 인성교육과 더불어 노인 상담, 심리학 개론, 그리고 인간 관계론을 가르쳤다. 인생 후반부를 맞이해 신중년·신노년들을 상담하고 강의하는 일로 전환했다. 그동안 서호노인복지관에서 전문 상담사로 근무했으며, 동작노인복지관에서 ‘알기 쉬운 심리학’ 과목을 맡아 강의했다. 현재는 KBS 라디오 “출발, 멋진 인생 이지연입니다”에서 ‘강현숙의 마음공부’라는 코너의 고정 게스트이다. 지은 책으로는 『내 마음과의 거리는 10분입니다: 묵은 감정을 풀어내는 나만의 감정노트, 2019』, 『50+를 위한 심리학 수업, 2017』, 『나 자신과 화해하기, 2013』, 옮긴 책으로는 『정신치료와 영적탐구, 2000』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