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본서는 필자가 그동안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과 학부에서 “초대 교회사” 과목을 강의했던 강의안을 발전시킨 것이다.


차례

머리말8 제1장|예비적 지식 13 1.역사의 본질14 2.역사관의 유형들 21 3.기독교적 역사 이해 45 4.초대 교회사 범위 51 제2장|초대 교회의 배경55 1.유대적 배경57 2.헬라적 배경 116 3.로마적 배경 127 제3장|기독교의 시작과 전파 141 1.예수와 교회의 설립143 2.예루살렘 공동체 149 3.바울과 그의 교회들 153 제4장|속사도와 변증가들 159 1.속사도 시대161 2.변증가 시대 183 제5장|사도 교회의 모습들 201 1.그리스도인의 삶204 2.예배 212 3.성례 216 4.주의 날 221 5.교회의 직제 223 제6장|박해와 순교 231 1.로마에서의 기독교234 2.박해의 상황241 3.박해 이유 250 4.기독교인의 변호 257 제7장|이단들의 도전 263 1.에비온주의265 2.영지주의268 3.말시온주의 278 4.몬타누스주의 282 5.단일신론 286 제8장|사도적 권위 289 1.감독291 2.정경294 3.신경 301 제9장|교회의 교사들 305 1.리옹의 이레니우스306 2.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313 3.알렉산드리아의 오리게네스 318 4.카르타고의 터툴리아누스324 제10장|콘스탄티누스와 기독교 329 1.콘스탄티누스의 부상과 밀란 칙령330 2.콘스탄티누스 대제338 3.콘스탄티누스의 아이러니 342 4.콘스탄티누스의 영향348 제11장|유세비우스의 어용 신학 353 1.교회사의 아버지354 2.어용 신학자358 제12장|수도원 운동 365 1.수도원 운동의 태동368 2.수도원 운동의 확산376 제13장|분파주의 운동 383 1.3세기 분파주의: 노바티안파385 2.4-5세기 분파주의: 도나투스파388 제14장|삼위일체 논쟁 397 1.아리우스 이전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교리적 이해399 2.아리우스와 삼위일체 논쟁403 3.제1차 보편 공의회410 4.니케아에서 콘스탄티노플까지415 5.최종 단계420 제15장|기독론 논쟁 425 1.아폴리나리우스428 2.네스토리우스431 3.유티키스437 제16장|위대한 교회의 교사들 441 1.암브로시우스442 2.요한 크리소스톰451 3.제롬461 3.어거스틴468 제17장|고대 시대의 종말 479 참고문헌484


저자소개

박영실 저자 : 박영실박영실 교수는 전남대학교 영문학(B.A),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COVENANT THEOLOGICAL SEMINARY(T.M.) 그리고 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TEDS)를 졸업하였다. 지난 20년 동안 모교인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로서 후학들을 가르쳐왔으며, 복음주의 역사신학회 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교부 어거스틴을 전공한 학자(박사 학위 논문: DE CIVITATE DEI AND “POWERS THAT BE”)로서 초대 교회와 교부 신학, 어거스틴의 신학 사상, 그리고 역사 신학적 주제들에 대해서 연구하며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하나님, 인간, 그리고 시간』(2005), 『초대 교회의 신학자들』(2008), 『교회의 탄생』(2013) 등의 역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