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 책은 성경적 교훈만을 참고하여 성령론을 연구하는 것에서 시작했다.처음에는 성경적 자료 자체만으로 연구하고자 했으나, 오순절주의자들과 쇄신주의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과의 상호 대화를 시작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이차적인 목적으로 삼았다. 나는 양 진영을 존중하면서 글을 쓰기를 원했고 위험할 정도로 확대된 교회 관습의 깊은 균열을 가로지르기로 했다.결국 나는 수 세기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성령론에 관한 자료를 더욱더 많이 견했고, 내 책이 진지하게 받아들여지려면, 성경의 가르침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사상과 현대 사상의 본질과 내용을 살피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것은 사실 원래 책보다 서너 배나 되는 책을 써야 함을 의미했다. 일부 오순절주의 작가들과 쇄신주의 작가들의 작품이 그 작업에 추가되었다.


차례

서문 1부·성경 속의 성령 1. 구약 속의 성령 15 2. 유대교의 성령 43 3. 공관복음 속의 성령 60 4. 사도행전 속의 성령 83 5. 바울서신의 주요 주제들 113 6. 또 다른 성령의 은사와 해석학을 포함하는 더 논쟁적인 주제들 151 7. 요한 저작 속의 성령, 보혜사 205 8. 베드로전·후서, 히브리서, 야고보서, 유다서, 요한계시록 230 2부·역사 속의 성령 9. 사도적 교부들과 초기 기독교 변증가들 251 10. 니케아 이전 교부들 265 11. 니케아 이후 서방 교부들 294 12. 니케아 이후 동방 교부들 316 13. 초기 중세 시대 337 14. 후기 중세 시대 : 보나벤투라와 아퀴나스부터 노르위치의 줄리안과 월터 힐튼까지 364 15. 주요 종교개혁자들 386 16. 17세기 18세기 : 존 오웬에서 조나단 에드워즈까지 409 3부·근대 신학과 현대 신학 속의 성령 17. 19세기 : 노선의 분리 441 18. 20세기 초기 475 19. 20세기 후반부터 1985년까지 517 20. 오순절주의 또는 쇄신운동 신약학자들 : 피, 스트론스태드, 터너 558 21. 5명의 주요 신학자들 : 콩가르, 몰트만, 판넨베르크, 로스키, 지지울라스 589 22. 20세기 말의 작가들 : 1986-2000 628 23. 21세기 661 24. 요약, 결론, 상호 대화, 개인적인 성찰 698 참고문헌 746


저자소개

앤서니 티슬턴 현대 성서학계의 백과사전적 학자. 그의 연구는 현대 신학, 신약학, 종교 철학, 철학적 해석학을 아우른다. 영국 셰필드 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더럼 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그 후 세인트존스 칼리지, 노팅엄 대학교 등 여러 학교에서 가르쳤다. 잉글랜드 성공회 사제이기도 한 티슬턴은 노팅엄 대학교 신학대학 학장을 지냈으며, 2011년에 은퇴한 후에도 노팅엄 대학교 신학대학 교수 및 레스터 주교좌 교회 정경 신학자로 봉사했다. 잉글랜드 성공회 왕위 지명위원회, 신학 교육위원회, 교리위원회 등의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정부 위촉을 받아 인간수정배아관리국 활동에 관여했다. 영국 신학연구회 회장을 지냈으며, 2010년에는 영국학사원 회원으로 임명되었다.티슬턴은 어릴 적 앓은 뇌수막염으로 “교구 목회에 필요한 독서를 할 수 없다”는 소견을 들을 정도로 눈이 좋지 않았지만 자신의 한계를 이겨 내며 크고 작은 책들을 저술했다. 우리 시대 중요한 신학자로 자리매김한 그는 신학과 철학, 해석학, 문학 이론, 사회학 등을 넘나드는 통합적 연구를 지향한다. 교회의 전통에 깊이 뿌리내린 성서학자이면서도 하이데거, 비트겐슈타인, 가다머, 리쾨르, 데리다 등의 현대 철학자와 몰트만, 판넨베르크 등의 현대 신학자를 연구함은 물론, 해방 신학, 여성 신학 등 현대 신학의 최신 주제에 대한 폭넓은 관심사를 두고 있다.저서로는 『두 지평』 외에도 『해석의 새로운 지평』 『고린도전서』(이상 SFC출판부), 『성경해석학 개론』 『기독교 교리와 해석학』(이상 새물결플러스), 『살아 있는 바울』(기독교문서선교회), Systematic Theology(IVP 출간 예정), The First Epistle to the Corinthians (NICNT), Discovering Romans, Life After Death, A Concise Encyclopedia of the Philosophy of Religion, Doubt, Faith, and Certainty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