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감사의 글

약어표

역자 일러두기

서론


제1장이정표: 정치적, 교회적, 영적 이정표

1. 정치, 인구, 공간

2. 교회적 지형

3. 영적 지형

4. 잉글랜드 국교회

5. 잉글랜드의 비국교도

6. 웨일즈, 아일랜드, 스코틀랜드

7. 미주 식민지

8. 영적 현실과 정치적 현실


제2장 과거 사례와 시작

1. 폭넓은 유럽 배경

2. 청교도와 국제 칼빈주의자

3. 대륙 경건주의

4. 고교회 영성

5. 합류점

6. 시작


제3장부흥, 1734-1738년

1. 1734년 말부터 1735년 초까지

2. 1735년 중간에서 말까지

3. 1735년 말에서 1737년까지: 조지아 식민지

4. 1736-1737년: 잉글랜드, 웨일즈, 뉴잉글랜드

5. 1738년


제4장부흥, 분화, 통합, 1738-1745년

1. 1739년

2. 조지 휫필드와 아메리카의 복음주의(1740년)

3. 스코틀랜드 복음주의와 조지 휫필드(1742년)

4. 출판의 조직화(1740년 후반부)

5. 신학 차이

6. 감리교의 조직화(1744년)

7. 세계 칼빈주의의 갱신

8. 복음주의 설교의 정교화


제5장해설

1. 성령 운동

2. 행위자와 행동 단체

3. 역사의 흐름

4. 구조 전환

1) 사회-교회적 구조변화

2) 지적 구조변화

3) 심리적 구조변화

5. 결론


제6장발전, 1745-1770년

1. 잉글랜드 국교회의 복음주의

2. 잉글랜드 비국교회

3. 웨일즈

4. 스코틀랜드

5. 아일랜드

6. 아프리카계 미국인

7. 북미주 본토

1) 회중주의자

2) 침례교인

3) 장로교인

4) 시민 종교

5) 감리교인


제7장분화, 1770-1795년

1. 기성교회로서

2. 기성교회 밖으로

3. 기성교회와 함께

4. 기성교회의 종언 이후

5. 기성교회에 대항하여

6. 기성교회를 완전히 넘어


제8장세상 속으로

1. 특색 있는 접근법

2. 귀족(Patrician)

3. 평민(Plebeian)

4. 부르주아지(Bourgeois)

5. 노예 제도 반대

6. 복음주의적 노예 반대 운동의 한계

7. 세상 속으로


제9장참된 신앙

1. 성별

2. 신학

3. 찬송가

4. 크리스천의 체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