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원치 않는 습관에서 벗어나는 최고의 선택”중독사회를 사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렌즈는 무엇인가. 자각, 나눔, 변화의 틀! 이 3가지가 모두 충족되도록 구성되었다.★센트럴침례신학대학원 상담학 교재★중독이란 공허함을 채우려는 잘못된 전략이다!이 책은 중독이 무엇인지, 왜 그것이 우리의 삶에 자리잡았는지, 어떻게 갖가지 관계를 무너뜨리는지를 확인하게 한다. 저자는 혼자 빠져나오기 어려운 중독에서 벗어나는 법을 낱낱이 성경에서 제시하며 중독에서 자유로워진 이후의 삶까지 구체적으로 조명하고 있다.급변하는 삶의 환경에 노출된 현대인은 알코올 중독, 마약 중독, 성 중독, 게임 중독뿐만 아니라 스마트폰과 인터넷, SNS 중독에 빠져 있다. 그밖에 나쁜 습관을 반복적으로 행동한다. 이처럼 자신의 공허함을 채우려는 잘못된 전략들이 중독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사회와 가정과 공동체에게 치유와 회복의 메시지! 우리의 삶을 돌아보는 중요한 렌즈이기도 한 자각, 나눔, 변화의 틀! 중독에서 자유로워지려면 이 세 가지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각 챕터마다 ‘중독에서 자유로운 삶을 위한 질문’을 제시하여 변화의 틀을 제시하며 소그룹 나눔이 가능하게 한다. 지난 40여 년간 학자이자 목회자로서 상담 사역을 해 온 저자는 내담자가 먼저 중독의 본질을 이해하고 깨닫도록 안내하고, 간단하고 명쾌하게 결박된 사슬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아가도록 치유와 회복의 해법을 제시한다.


차례

저자의 말 4 추천사 6 프롤로그 | 중독에서 자유로워진 후에도 14 PART 1. 왜 나쁜 습관에 중독되는가 1. 중독이란 무엇인가 21 2. 관계와 목적을 잃어버린 삶 28 3. 공허함을 채우는 잘못된 전략들 33 4. 습관이 중독이 되기까지 53 5. 의존성은 중독의 시작 60 PART 2.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6. 오직 자유로워지기를 기대하라 69 7. 자신의 한계를 인정해야 하는 이유 77 8. 밑도 끝도 없이 채우시는 사랑 87 9. 중독의 해방구 세 가지 106 PART 3. 중독에서 자유로운 삶 이후 10. 재발하고 다시 시작하고 129 11. 당신의 트리거는 무엇인가 137 12. 중독이 없는 삶을 사랑하는가 145 13. 중독에서 자유로운 삶을 유지하려면 157 14. 솔직한 고백의 능력 167 에필로그 | 올바른 전략을 알면 바꿀 수 있다 169


저자소개

마이클 그럽스 저자 : 마이클 그럽스저자 마이클 그럽스 박사(DR. F. MICHAEL GRUBBS)는 펜실베니아 주 랭혼의 케언대학교에서 기독교상담학 석사 학위를, 미주리 주 캔자스시티의 미드웨스턴침례신학대학원에서 상담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지도교수 래리 코나인 박사(DR. LARRY CORNINE)와 함께 상담학을 가르쳤다.지금은 캔사스 주 스와니의 센트럴침례신학대학원(WWW.CBTS.EDU)에서 래리 코나인 박사와 함께 대학원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캔자스시티 린든센터(THE LYNDON CENTER)의 상담자이자 코치인 저자는 40여 년 동안 목회사역과 상담사역을 함께 해오고 있다. 누구든지 원치 않는 중독에서 자유로워지기를 바라고, 예수 그리스도가 주시는 풍성한 삶을 영위하도록 권면하고 있다.역자 : 박찬영한국 성서침례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면서 가정회복에 관심을 가졌다.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석사(M.DIV.)를, 미국 리버티침례신학대학원에서 신학 석사(TH.M.)를, 리버티대학교에서 목회 상담(PASTORAL CARE AND COUNSELING)을 전공하고 철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 버지니아 한인 신학교 상담대학원에서 강의하였으며, 미국 남침례교회에서 2020년까지 담임목회를 하였다.지금은 버지니아 주 리치몬드의 VIRGINIA INSTITUTE OF PASTORAL CARE(WWW.VIPCARE.ORG)에서 상담하면서, 센트럴 침례신학대학원 한국어 과정 상담학을 가르치고 있다. 박사 논문은 〈청소년 자녀를 둔 이민1세 아버지들의 자녀양육 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아버지 정체성의 조정 효과, “FACTORS INFLUENCING KOREAN IMMIGRANT FATHERS’INVOLVEMENT WITH ADOLESCENT CHILDREN: THEMEDIATING EFFECT OF FATHER IDENTITY.” 〉이다. 가족은 아내정영지와 슬하에 세 자녀(은상, 주희, 은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