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이후 500년,
한국 개신교가 가야 할 길을 묻는 냉철한 시도

이 책은 2017년 10월 31일,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종교개혁 당시의 개혁 정신과 그 이후 기독교의 500년 역사를 돌아보고, 

더불어 한국 교회의 역사에 대한 검토와 현재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을 담은 책이다. 

2017년은 1517년 마르틴 루터가 면죄부에 반대하는 95개조의 반박문을 게시한 지 500년이 되는 해다. 

루터가 당시 아래로부터 끓어오르던 문제의식을 폭발시키며 개신교의 출발을 알린 지 500년이 된 것이다. 

이 책은 하나의 종교적 사건이 아닌 세계 문명의 거대한 흐름을 바꾸어 놓은 정치, 경제, 문화적 사건인 종교개혁의 의미와 과정을 돌아보되 당시의 개혁 운동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이 책의 특징은 종교개혁 태동부터 그 이후 500년의 시간 동안 종교개혁가들의 개혁 정신이 어디로 흘러왔는지, 개신교는 어떤 길을 걸어 왔는지 돌아본다는 데 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기독교가 처한 현실을 냉철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앞으로의 미래를 전망하며 종교개혁 500주년에 우리가 반드시 던져야 할 질문들에 답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는 글

1부 종교개혁과 500년 기독교의 역사
서장 종교개혁이 태동하기까지
1장 16세기 이야기: 격동과 혼란
1. 루터파 종교개혁
2. 개혁파 종교개혁
3. 영국 종교개혁
4. 스코틀랜드 종교개혁
5. 네덜란드 종교개혁
6. 반종교개혁
7. 교훈
2장 17세기 이야기: 베이비부머 시대
1. 30년전쟁
2. 영국의 청교도 운동
3. 스코틀랜드의 언약도
4. 프랑스의 얀센주의
5. 네덜란드의 아르미니우스파 논쟁
6. 교훈
3장 18세기 이야기: 이성과 부흥
1. 계몽운동과 이성의 시대
2. 부흥주의
3. 교훈
4장 19세기 이야기: 혼란과 분열
1. 독일의 자유주의
2. 프랑스의 실증주의
3. 영국에서의 여파
4. 스코틀랜드의 개혁과 분열
5. 네덜란드의 신칼뱅주의
6. 미국의 2차와 3차 대각성 운동
7. 교훈
5장 20세기 이야기: 가공의 시대
1. 신예루살렘을 꿈꾸며
2. 사도적 운동
3. 자유주의
4. 복음주의
5. 교훈

2부 한국 교회의 역사: 선교사의 내한부터 오늘까지
1장 근대 선교 운동과 한국 선교
1. 19세기 선교 운동과 한국 기독교의 연원
2. 미국에서의 선교 운동
3. 미국 교회의 한국 선교
2장 선교사들의 내한과 한국 교회의 형성
1. 기독교와의 접촉
2. 선교사들의 내한
3. 한국 교회의 조직과 신학 교육
4. 초기 선교 정책과 교육, 의료 활동
5. 교회 부흥과 민족주의
3장 일제강점기의 교회
1. 일제의 조선 침략
2. 조선총독부의 기독교 정책
3. 교회와 기독교 학교에 대한 탄압
4. 3.1운동과 기독교의 참여
5. 신사참배 강요와 저항
4장 광복과 교회의 분열
1. 친일 청산의 좌절
2. 1950년대 교회의 분열과 연합을 위한 시도
3. 한국 교회와 사회, 6.25전쟁
5장 1960년대와 1970년대의 교회
1. 정치권력과 교회
2. 교회 성장 제일주의
3. 사회참여와 민주화 운동
6장 1980년대 이후의 교회
1. 통일 운동과 선교 각성
2. 교회 성장의 정체
3. 여성 안수 문제
4. 시한부 종말론
5. 세계교회협의회의 부산 총회
6. 맺는말

3부 지금 여기의 한국 교회
1장 한국 개신교는 어디에 있는가?
1. 개신교의 약진
2. 개신교 내부의 고민
3. 개신교는 보수 우파인가?
4. 개신교의 사회적 자리
5. 개신교의 역사적 자리
6. 기독교 신앙 자체에 대한 질문
2장 지금은 패러다임 전환기
1. 메가처치 넘어 기가처치
2. 성직주의
3. 성장주의
4. 승리주의
3장 종교개혁의 교훈과 한국 개신교의 새로운 패러다임
1. 종교개혁의 동력, 저항 정신
2. 종교개혁의 두 가지 핵심 교훈
3. 만인 제사장과 직업 소명론의 함의
4. 개신교 생태계
5. 새로운 교회를 상상하라
6. 평양대부흥에서 3.1운동으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