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다면성을 지닌 해석학은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학문으로 다뤄진다. 이는 예배학에서도 마찬가지다. 예배는 언어를 사용하고, 예배에 참여하는 우리는 모두 그 예배 텍스트의 해석자다. 해석학은 무엇인가? 예배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예배 해석에서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 이런 궁금증으로 예배를 적절하게 해석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예배 해석학에 관한 책을 찾는 일은 쉽지 않았다. 그 갈증을 해결해 줄 책이 여기 있다. 이 책은 해석학의 흐름부터 해석학이 예배와 예배 연구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까지, 예배 해석학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이 복잡하고 많은 내용을 간결하게 정리해 준다.


차례

추천사 김세광 박사 | 서울장신대학교 예배 설교학 교수 나형석 박사 |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예배 설교학 교수 한재동 박사 | 나사렛대학교 일반대학원 실천신학 교수, 「신학과 실천」 편집위원장저자 서문역자 서문제1장 예배 해석, 무엇이 중요한가? 1. 누가 예배를 해석하는가? 2. 무엇을 해석하는가? 3. 어떻게 텍스트를 해석하는가? 4. 답변제2장 해석학 이론과 쟁점1. 해석학 발전의 개괄2. 해석학의 논점들과 예배학에서의 그 중요성3. 결론제3장 비평 방법들 1. 통시적, 역사 비평 방법들 2. 공시적, 문학 비평 방법들 3. 비평 방법들의 이점과 한계제4장 비평 이후 방법들 1. 언어학적 전환 2. 구조주의와 기호학 3. 구조주의를 넘어서 4. 요약제5장 해석학과 오늘의 예배학 1. 예배학을 위한 새로운 방향 2. 비평 이후 방법들과 예배학 3. 언어 이슈와 철학적 틀맺음말


저자소개

조이스 앤 짐머맨 저자 : 조이스 앤 짐머맨JOYCE ANN ZIMMERMAN성혈수녀회(C.P.P.C.) 수녀이며,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턴 소재의 예전목회연구소 소장이다. 학술 서적의 저술뿐 아니라 예배에 관한 컨설팅을 제공하는 수많은 워크샵을 주도하며, 목회 현장에 도움을 주는 목회적 저술 활동에도 열심이다. 정기간행물 「예전 목회」의 편집자이기도 하다. 북미 예전학회장을 역임했으며, 2020년 베라카상을 수상했다.저서『예배와 음악』(LITURGY AND MUSIC, 한국어 번역본-2007)THE MINISTRY OF LITURGICAL ENVIRONMENT (2016)THE MINISTRY OF THE ASSEMBLY (2016)WORSHIP WITH GLADNESS: UNDERSTANDING WORSHIP FROM THE HEART (2014)SILENCE - THE SACRED ART (2007)THE MINISTRY OF LITURGICAL ENVIRONMENT (2004)MORNING AND EVENING (1996), LITURGY AS LIVING FAITH (1993)역자 : 안선희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기독교학과와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 개신교 신학부에서 공부했으며, 세부 전공은 예배학이다.평신도를 위한 예배지침서 『예배 돋보기』 (바이북스, 2011)와 예배학 이론서 『예배 이론·예배 실천』 (바이북스, 2013), 기도집 『참 보기 드문 아름다운 사람』 (꿈꾸는 터, 2013), 젊은이를 위한 말씀집 『담담하게 단단하게』 (바이북스, 2013)의 저자이다.또한, 네이선 미첼(NATHAN MITCHELL)의 『예배, 신비를 만나다』(MEETING MYSTERY, 바이북스, 2014), 『예배, 사회과학을 만나다』(LITURGY AND SOCIAL SCIENCES, CLC, 2018), 그리고 『예배, 디지털 세상을 만나다』(@WORSHIP: LITURGICAL PRACTICES IN DIGITAL WORLDS, CLC, 2020)의 역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