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종교의 옷, 도그마의 굴레를 벗어버린 성서는 어떤 모습일까? 이 책은 성서와 인문학, 성서적 삶, 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 사회, 연화(連和) 등의 주제를 담은 ‘성서 인문학’ 에세이다. 에세이가 지향하는 방향은 다음과 같다. -경전으로서의 성경이 아닌 고전으로서의 성서, 도그마적 정답서가 아닌 인문학적 질문서로 서의 성서 재인식. -성서를 종교 도그마에서 해방하고 인문학적 담론의 텍스트로 재조명. -제도권 기독교에 의해 종교 헤게모니의 상징으로 오용된 성서가 실상은 인간과 인생을 위한 자상하고 현명한 안내자임을 소개 . -감성과 창의력, 융화와 통섭 등 21세기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화두와 관련한 성서의 도전 과 대안 제시. -정치 경제 사회 교육 등의 시사 문제들을 ‘성서인문학’의 관점에서 조명, 분석하여 인간다 움의 회복을 위한 로드맵 제시. -무수한 나무와 꽃, 다양한 새와 곤충, 미생물들이 한데 어우러져 사는 공생과 상생의 터전 이 숲이듯 이데올로기, 빈부격차, 사회적 지위 등으로 인한 한국 사회의 갈등과 차이를 극 복하고 따로 또 같이 살아가는 ‘성서 숲BIBLE FOREST’ 조성.성서에게 질문하고 성서가 질문하는 질문의 선순환을 제시하는 이 책은 독자들로 하여금 과정의 정당성이 담보되지 않은 목적 지향적 삶의 대열에서 빠져나와 질문의 도상으로 걸어가도록 안내한다. 이 책과 함께 성서에게 묻고 성서의 물음을 들음으로써 종교 헤게모니의 낡은 부대를 벗어 버리고 새 술을 담을 새 부대가 되어가는 성서적 삶의 지평이 독자 제위에게 활짝 열리게 될 것이다.


차례

프롤로그 01. 미투 운동과 성서 02. 대한민국은 독립했는가 03. 두 개의 독립 선언문 04. 따로 또 같이1 05. 따로 또 같이2 06. 사소한 것에 영생이 달렸다 07. 100원의 위력 08. 뭣이 중헌디 09. 예수 그리스도 단상斷想1 10. 예수 그리스도 단상斷想2 11. 예수 그리스도 단상斷想3 12. 별리別離, 출향出鄕, 그리고 버림1 13. 별리別離, 출향出鄕, 그리고 버림2 14. 별리別離, 출향出鄕, 그리고 버림3 15. 변방신학邊方神學과 종교 개혁 16. 대작代作 인생, 내 작作 인생 17. 은밀 휴머니즘1 18. 은밀 휴머니즘2 19. 은밀 휴머니즘3 20. 흥할 자, 쇠할 자 21. 왕따당하는 PA 22. 의문투성이 PA 23. 구원의 시나리오 PA 24. 순수 이타성 유감 25. 구유에 누인 아기 ㅣ부록ㅣ 01 대한민국 민유방본民惟邦本 유감 02 성격 차이와 부부1 03 성격 차이와 부부2 04 성격 차이와 부부3 05 산타와 울음 에필로그


저자소개

김형근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신약학 박사(Th.D.)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정회원으로 동 학회 학술지 『신약 연구』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현재 명지대학교 방목기초교육대학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다. 「크리스천설교신문」, 「크리스천인사이드」 고정 칼럼니스트이다. 논리에 갇혀 서로를 배타하는 제도권 기독교의 모순된 현상이 성서를 인간의 기호에 맞춰 함부로 재단한 결과임을 직시하고 성서 원의 재생을 통한 기독교 개혁 및 성서의 인문학적 해석과 적용을 지향한다. 저서로는 『성서 휴머니즘』(한국학술정보, 2017)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