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모든 질문은 ‘나와 너’, ‘나와 나’의 관계로부터 시작한다.“난 이 남자가 좋은데 왜 만나기만 하면 싸우지?”“과장님에게 기분 나쁘지 않게 의견 피력하는 방법 없을까?”“이런 또 실수를 저지르다니... 이 바보같은 놈! 나란 놈은 도대체 왜 이럴까?”“내 할 일도 많은데...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겠어. 뭐가 문제지?”이런 질문들에 대한 명쾌한 답을 직장인 신대리의 삶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소설 미생의 주인공이 소공성의 상담가를 만난다면 어떨까? 4차 산업시대에 인간이 A·I를 넘어설 수 있는 영역 중 하나는 소통과 공감이다. 맘에 안드는 직장상사, 어긋나기만 하는 연애전선, 풀리지 않는 관계의 문제로 고민하는 이들을 위한 필독서.소통과 공감을 통해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추구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소공성”을 만나보자.실제 상담 사례를 바탕으로 소설화하여 독자들에게 재미와 유익을 함께 선사한다. 신대리의 소공성을 통해 다양한 상황에서의 대화법, 상사에게 의견 말하는 법, 자신의 실수를 용서하는 법, 지혜롭게 거절하는 법, 서로의 오해를 푸는 법 등 실생활에 필요한 소통, 공감 능력을 배우게 될 것이다.


차례

1부 감정이 풀리면 문제가 풀인다 01 삐죽삐죽 올라오는 감정 18 새로운 팀 / 남자친구 / 「소공성」 교육 / 감정 해소 방법 / 처리되지 못한 감정 / 먼저 다가가기 02 해소된 불편한 감정 52 대화의 기술 / ‘나-전달법’ 3요소 / ‘나-전달법’ 사용시 주의할 점 / 대화의 기술 실제 2부 마음을 풀어주는 기적의 약 ‘공감’ 01 공감 72 의견 대립 / 공감 02 상대방 중심의 철학 86 새로운 갈등 / 공감을 잘 하려면 / 공감해 줄 기분이 안 날 때 3부 갈등해결을 위한 인식의 변화 01 탁월하네! 104 포괄적 칭찬 VS 구체적 칭찬 / 결과 칭찬 VS 과정 칭찬 / 칭찬이란? / 칭찬의 효과 02 실수에 대한 건강한 이해 116 실수는 필연적이다 / 실수는 나중에 깨닫는 것이다 / 실수를 거울삼아 배울 수 있다 / 실수를 인정하고 두려워하지 말자 / 실수에 대처하는 마음의 자세 / 실수를 재구성하면 얻는 이익 / 생각 회로 바꾸기 03 역지사지 (易地思之) 142 뺀질이 박사연 / 관점의 변화 / 마음 문 열기 04 오해를 이해로 150 오해의 시작 / 오해를 풀려는 시도 / 오해를 이해로 / 갈등 해결 상담 4부 어려운 대화를 풀어가는 지혜 01 어려운 대화를 풀어가는 첫 단추, 공감 168 어려운 대화 / 공감 실습 / 장과장과의 갈등 해결 02 눈에 보이지 않는 자신의 영역 세우기 189 경계선 세우기 / 경계선 세우기 갈등 / 경계선 세우기 상담 / 경계선 세우기 결과 03 「자존감 노트」로 비난 대처하기 208 비난이란? / 자존감 노트 04 공감과 인정으로 비난 대처하기 224 공감과 인정으로 비난 대처하기 / 하영이 사례 / 혜미의 사례 05 감정 달래기 230 감정 달래기 / 감정 달래기 연습 / 위로의 말 5부 자존감회복을 위한 여정 01 ‘예스맨’이 ‘당당맨’으로 246 거절의 심리적 부담감 / 독립성과 존재가치를 알리는 과정 / 거절하는 방법 / 거절 근육 단련시키기 / 끊임없이 부탁과 요청을 받을 경우 / 어려운 거절 쉽게 하기 / 거절 실천하기 02 수치심 치유로 자존감 회복 271 수치심이란 / 수치심의 특징 / 수치심의 치유 / 수치심 대처 방법 / 수치심 치유 상담 03 변덕스런 감정 294 교육의 효과 / 반가운 소식 / 요동치는 감정 맺는 이야기 309 인사이동 / 진급과 결혼 / Good & Bad 부록 : 「소공성」 교육 소개 316


저자소개

이정현 저자 : 이정현전문 상담사이자 스테디셀러의 저자로서 올바른 대화방법, 공감능력과 감정조절 능력의 필요성을 느끼고 「소공성」 교육을 개발했다. 유투브 방송(소공성 마음 표현과 감정 조절)을 통해 생활 속의 감정 대립, 갈등 상황, 가치관의 차이와 같은 상황에서 일어나는 감정조절을 코칭한다. 저자는 매일 아침마다 소통과 공감에 관한 글들을 책에서 발췌하고 정리하여 「소통과 공감 코칭편지」를 보낸다.(구독 : HTTPS://CAFE.NAVER.COM/SOGONGSEONG)저자는 교육, 방송, 편지, 상담을 통해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방법들을 제안한다. 그러한 일들을 위해 여전히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저자 : 장혁란15년 전, 가정사역의 비전을 안고 「포항 HOME 상담센터」를 시작으로 변화와 성장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소통과 공감을 통한 행복한 삶의 방향을 제시하는 전문상담사로 활동하고 있다.상담학 박사로서 포항대학교 사회복지과교수로 재직 중이며, 학생상담센터 센터장으로 상담과 가르치는 일을 소중히 여기며 살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