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 책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21세기 목회적 성령론’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스도의 지상명령(마태복음 28장 18~20절)에 따라 사역하는 모든 목회자는 모두 동일하게 거룩한 질문을 하나 가지고 있다. 그것은 어떻게 하면 “주님의 몸된 교회가 진정한 성장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그 질문에 대한 대답이 본 저서의 주제인 “교회 성장에 있어서 성령의 주도적 역할”(LEADING ROLE OF THE HOLY SPIRIT IN THE CHURCH GROWTH)이다. 교회의 진정한 부흥과 성장은 오직 하나님 그분 자신의 영인 성령의 주도적 역사로만 이뤄지는 것이다.그러므로 모든 하나님의 종들은 시대의 상황적 문화와 인위적 방법을 버리고, 그의 영인 성령의 부으심을 위해 기도하고 기다리며, 성령의 임재와 충만을 통한 진정한 교회의 부흥과 성장으로 하나님의 나라를 성취해가길 기도해야 할 것이다.본서는 바로 이 길을 성취하기 위해 그 본질을 교회사적, 교리적, 신학적으로 논하고 나아가 목회의 현장과 교회 안에서의 실천을 위한 효과적이고도 구체적인 방법을 논하고 있다.아울러 이 모든 전체를 이해함에 있어서 우리가 늘 주의해야 할 것은 우리가 아는 대로 기독교의 모든 이단은 하나님께 대한 신관이 잘못되어서 발생한 것이다. 기독교의 신관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신관입니다. 그 삼위일체 하나님을 잘못 이해함으로 이단이 출현하게 되었는데, 그 삼위일체 하나님에서 특히 성령론에 대한 오류가 수많은 이단들을 발호하게 하였다. 다시 말해서 모든 이단은 성령에 대한 오해와 기본적인 이해의 부족으로 일어난 것이다. 우리 한국의 선교역사 속에서 일어난 모든 기독교 이단 역시 성령에 대한 왜곡된 사상들에서 수많은 이단들이 일어났고, 지금도 기독교에 기생하여 일어나고 있다. 그래서 본 저서는 그동안 한국에서 일어난 이러한 잘못된 성령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고, ‘삼위일체론에 입각한 바른 성령론’을 제시함으로써, 주님의 몸된 교회가 성령에 의해 시작되고 성장하며 열매 맺음으로 하나님나라의 도래를 준비하는 큰 그림을 완성하도록 제시하고 있다.


차례

추천사 서문 PART 1. 진정한 교회 성장을 말하다. PART 2. 사도행전을 중심으로 교회 성장을 말하다. Chapter 1.성령과 교회 A. 성령과 삼위일체 하나님 (1) 성령기독론 (2) 이중발현설 (3) 종교개혁시대의 견해 (4) 현대신학의 견해 B. 인류 구원사에 있어서 약속된 성령(행 1장) (1) 약속된 성령에 대한 구약 안에서의 고찰 ① 어원적 고찰 ② 약속된 성령 (2) 약속된 성령에 대한 신약 안에서의 고찰 ① 어원적 고찰 ② 약속된 성령과 그리스도 C. 약속하신 성령의 임재와 교회(행 2장) (1) 오순절 성령 강림 사건 (2) 성령 받은 교회와 복음 전파 D. 성령과 교회 (1) 성서적 고찰 (2) 신학적 고찰 ① 로마 카톨릭적 입장 ② 프로테스탄트적 입장 ③ 영 숭배론자의 입장 Chapter 2. 성령과 교회 성장 A. 성령에 의한 교회 성장 (1) 교회성장에 대한 정의 (2) 성령에 의한 교회성장과 하나님 왕국 성장 B. 예루살렘 교회의 성장(행 2∼7장) (1) 마가의 다락방에 모인 예루살렘 교회와 성령 (2) 사도들의 사역과 성령 C. 사마리아 교회의 성장(행 8장) (1) 예루살렘 교회의 핍박과 스데반의 순교 (2) 빌립과 사마리아 교회 (3) 사마리아 교회와 성령 D. 안디옥 교회의 성장과 선교(행 9∼28장) (1) 흩어진 제자들에 의해 개척된 안디옥 교회 (2) 안디옥 교회의 선교와 성령 ① 바울의 1차 전도여행 ② 바울의 2차 전도여행 ③ 바울의 3차 전도여행 ④ 바울의 로마 전도 Chapter 3. 성령과 교회의 선교 A. 선교의 동역자로서의 성령(행 1장 8절) B. 선교의 추수자로서의 성령(행 2∼6장) C. 선교정신의 고취자로서의 성령(행 4장; 7장; 10장) D. 선교의 전략가로서의 성령(행 8장; 13장; 16장) E. 선교의 주도자로서의 성령(행 15장) Chapter 4. 사도행전에서 성령과 교회성장의 결론 A. 삼위일체 안에서 성령의 역사와 교회 성장 (1) 삼위일체 하나님과 성령의 구원 역사 (2) 사도행전의 구조와 성령에 의한 교회 성장 B. 삼위일체와 한국교회 목회 편중의 문제 (1) 한국교회의 영향을 준 서구신학의 성령론적 맹점 (2) 한국교회의 목회편중의 문제와 성령론 PART 3. 삼위일체 안에서 성령의 주도적 역할을 통하여 성장하는 교회 Chapter 1. 성령과 교회의 목표 A. 성령과 교회의 지역봉사 (1) 성령의 가르침에 순종한 초대교회 (2) 지금까지의 한국교회와 지역봉사 (3) 성령과 교회의 지역봉사 B. 성령과 교회의 민족적 사명 (1) 성령의 가르침에 순종한 한국교회 (2) 성령의 공동체와 성만찬 정신 (3) 민족문화를 변혁시키는 교회와 성령 C. 성령과 교회의 세계선교 (1) 성령과 세계선교 ① 선교의 정의와 임무 ② 하나님의 선교 ③ 성령과 선교를 위한 교회 (2) 성령과 아시아 선교 ① 제3세계의 자각과 아시아 선교 ② 아시아 선교에 대한 문제점 인식 ③ 성령에 의한 아시아 선교의 대안 Chapter 2. 성령과 교회의 중점 사업 A. 성령과 목회자의 지도력 개발 (1) 성령과 지도력 (2) 성령과 목회자의 인격 (3) 성령과 목회자의 영성 개발 B. 성령과 교회 교육으로써의 제자훈련 (1) 성령과 제자훈련의 필요성 (2) 제자훈련의 목적 (3) 제자훈련 커리큘럼 ① 제자훈련을 위한 교회 기구표 ② 제자훈련 과정을 통한 교회활동 계획 ③ 제자훈련 일정표 ④ 일정표에 따른 제자훈련 흐름 C. 교회 성장을 위한 성령의 은사개발 (1) 그리스도인의 은사 발견 (2) 그리스도인의 효과적인 은사 개발 (3) 성령의 은사를 통한 교회 성장 (4) 성령의 은사 개발에서 주의해야 할 일들 ① 성령의 은사가 아닌 것들 ② 은사를 남용하는 일 ③ 성령의 은사운동의 위험과 방향 Chapter 3. 성령과 예배갱신 사항 A. 성령과 예배 (1) 한국교회의 예배현실과 문제점 (2) 교회 예배의 제 형태와 오늘의 예배 (3) 성령과 예배 B. 성령과 말씀 (1) 설교자의 사명 (2) 설교자가 반포해야 할 좋은 소식 (3) 성령과 말씀 C. 성령과 기도 (1) 설교자와 성령의 능력 (2) 성령의 능력과 설교자의 인격 (3) 성령과 기도 D. 성령과 성례 (1) 한국 개신교 예배, 예전의 문제점과 성례 (2) 성례전에 대한 바른 이해와 리마 예전 예배 (3) 성령과 성례 PART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Bibliography)


저자소개

전명기 전남 광양에서 출생하여 유년시절은 곡성에서 자라면서, 조부 때부터 출발한 신앙의 유산을 받들어 1978년부터 신학과 목회를 동시에 시작하였다. 특히 “너는 남의 터 위에 교회를 세우지 말고 교회 없는 곳에 가서 교회를 세우라”는 부친의 신앙적 모범과 지도를 따라 순천노회와 순천남노회의 교회 없는 지역 3곳에 교회를 개척하여 세웠다. 그동안 사역의 대부분을 생태도시 순천에서 목회하면서, 한 지역에 매이지 않고 전국 교회를 대상으로 부흥운동을 하며 하나님의 나라 복음을 선포하였다. 특별히 소외되고 그늘진 곳에 있는 가난하고 병든 자들과 갇혀 있는 자들에게 복음을 전하는 특수선교분야에 헌신하였다. 호남신학대학교와 장로회 신학대학원,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대학원(ACTS)에서 제자훈련에 대하여 공부(M. A.)하였고, 미국 하워드대학교(Howard Univ.)에서 ‘성령론’으로 박사학위(D. Min.)를 받았다. 현재 총회 호남부흥전도단 단장, 총회 부흥전도단 부단장, 총회디아코니아 지도자협의회 부회장, 법무부 교정위원, 총회교정선교협의회 부회장, 전국교정선교협의회 대표회장, (재)아가페 소망교도소 재정위원 및 자문위원, 총회 군경교정선교부 상임부장, 순천은혜교회 위임목사로 봉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본서 외에 ‘한국 토착화 신학’, ‘제자훈련을 통한 교회개척’, ‘뜨거운 심장을 가진 영웅들’, ‘총회군선교백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