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신명기에서 모세의 말을 듣는 이들은 놀라운 창조의 하나님을 비교할 대상이 없는 분으로 이스라엘의 하나님으로 선포했다. 유진 메릴은 이 책에서 이스라엘 역사 가운데 이 “본질적인 의미가 규정되는 순간”을 서술하고 해석했다. 바로 이 순간에 모세는 새로운 승리의 나라를 준비하고 약속받은 땅에서 사는 새로운 삶의 복을 말했다는 것이다.본 주석서는 이스라엘 백성을 언약으로 받아들인 위대한 하나님의 은혜와 성실하심을 강조하면서도 하나님이 자기 백성에게 하나님에게 마음을 바치고 하나님을 향한 충성된 사랑 가운데 살라고 부른다는 사실도 강조한다. 신명기는 하나님의 백성에게 지상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모범을 제시한다. 그래서 믿음에 근본이 된다.


차례

시리즈 서문 저자 서문 약어 소개 서론 1. 책의 제목 2. 신명기의 연대와 저자 3. 신명기의 역사적 배경 4. 신명기의 저작 동기 5. 신명기의 구조, 문학적 형식, 문학적 특징 6. 신명기와 비평학 7. 신명기의 정경성 8. 신명기의 내용 개관 9. 신명기의 내용 분석 10. 신명기의 신학 11. 신명기의 본문 I. 언약의 배경(1:1-5) II. 역사 회고(1:6-4:40) 1. 주님과 이스라엘의 과거 관계(1:6-3:29) 2. 모세의 권면(4:1-40) III. 언약 본문을 위한 준비(4:41-49) 1. 도피성 관련 내러티브(4:41-43) 2. 배경과 서론(4:44-49) IV. 언약의 원칙(5:1-11:32) 1. 서두 권면(5:1-5) 2. 십계명(5:6-21) 3. 시내산 계시와 이스라엘의 응답과 관련한 내러티브(5:22-33) 4. 원칙의 성격(6:1-25) 5. 원칙의 내용(7:1-11:32) V. 구체적 언약 조항(12:1-26:15) 1. 여호와와 여호와 예배의 배타성(12:1-16:17) 2. 왕국의 관리(16:18-18:22) 3. 시민법(19:1-22:8) 4. 정결에 대한 율법(22:9-23:18[19]) 5. 대인 관계에 대한 율법(23:19[20]-25:19) 6. 언약 의식 및 비준에 대한 율법(26:1-15) VI. 권면과 내러티브 막간(26:16-19) VII. 저주와 복(27:1-29:1[28:69]) 1. 세겜 집회(27:1-13) 2. 구체적 조항의 불순종에 따르는 저주(27:14-26) 3. 순종에 따르는 복(28:1-14) 4. 일반적 조항의 불순종에 따르는 저주(28:15-68) 5. 내러티브 막간(29:1[28:69]) VIII. 에필로그: 역사 회고(29:2[1]-30:20) 1. 출애굽, 방랑, 정복(29:2-8[1-7]) 2. 언약의 배경(29:9-15[8-14]) 3. 언약 불순종의 결과(29:16-29[15-28]) 4. 언약 재확인의 결과(30:1-10) 5. 언약 순종에 대한 호소(30:11-20) IX. 율법 기탁 및 미래 시행을 위한 조항(31:1-29) 1. 여호수아의 승계(31:1-8) 2. 율법 기탁(31:9-13) 3. 여호수아의 임명(31:14-23) 4. 지도자들의 불순종 예상(31:24-29) X. 모세의 노래(31:30-32:44) 1. 서론(31:30) 2. 증인에 대한 호소(32:1-4) 3. 백성의 기소(32:5-6) 4. 과거의 복 회고(32:7-14) 5. 이스라엘의 반역(32:15-18) 6. 하나님의 심판 약속(32:19-25) 7. 다른 신들의 무력함(32:26-38) 8. 여호와의 주장(32:39-43) 9. 결론(32:44) XI. 내러티브 막간(32:45-52) 1. 모세의 순종 권면(32:45-47) 2. 모세의 죽음을 둘러싼 지시(32:48-53) XII. 모세의 축복(33:1-29) 1. 서론(33:1-2a) 2. 역사 회고(33:2b-5) 3. 르우벤(33:6) 4. 유다(33:7) 5. 레위(33:8-11) 6. 베냐민(33:12) 7. 요셉(33:13-17) 8. 스불론과 잇사갈(33:18-19) 9. 갓(33:20-21) 10. 단(33:22) 11. 납달리(33:23) 12. 아셀(33:24-25) 13. 일반적 찬양과 이스라엘에 대한 축복(33:26-29) XIII. 내러티브 에필로그(34:1-12) 1. 모세의 죽음(34:1-8) 2. 모세의 묘비명(34:9-12)


저자소개

유진 메릴 저자 : 유진 메릴EUGENE H. MERRILL밥 존스 대학교에서 구약 해석학(B. A., M. A., PH. D.)을, 뉴욕 대학교에서 유대학(M. A.)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중동 언어와 문화(M. PHIL., PH. D.)를 공부했다. 댈러스 신학교에서 40여 년을 구약학 교수로 섬겼고, 『구약신학』, 『제사장의 나라』 등을 출간했으며, 은퇴 후에도 특임교수로 강연과 저술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역자 : 신윤수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M. DIV.) 및 성서학(TH. M., TH. D.)을 전공했으며, 장로회신학대학교와 서울장신대학교 등 여러 신학교와 비블리카 아카데미아에서 가르쳤다. 역서로 『AOTC 레위기』, 『NICOT 에스겔I』, 『PNTC 골로새서ㆍ빌레몬서』, 『마가신학』(이상 부흥과개혁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