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20여 년 전부터 시작된 한국의 음악치료 주요 치료 대상은 신체적 이상 혹은 정신병리적 환자들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앞으로의 음악치료는 환자는 물론 삶의 질을 높이려는 일반인들을 위해서도 더욱 많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신분석과 정신역동에 근거한 정신분석적 심리치료, 대상 관계의 애착 이론을 배경으로 하는 심리치료, 인지·정서·행동치료를 위한 음악치료, 정태기박사의 치유상담학적 이론과 임상을 기반으로 한 정신보건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국내에 음악치료가 잘 알려지지 않았을 때 음악요법에 관한 도서가 나오면서 음악치료의 미래를 열어주는 촉매제 역할을 해 주었다. 현재는 음악치료에 관한 많은 도서가 나와 있다. 하지만 적지 않은 책들이 전문서적이라 일반인들은 소화하기 어려운게 사실이다. 이런 점에서 본 도서는 크게 세가지 부류의 사람들을 위해 제작되었다. 첫째, 음악치료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 그리고 현재 음악치료를 공부하고 있는 사람들, 마지막으로 음악치료사로 활동하고 있는 분들을 위한 핸드북으로 참고하는데 도움을 드리기 위해 쓰여졌다.

차례

저자 서문

1부 음악치료와 모델

제1장 음악치료와 음악치료사
1. 음악치료의 역사
2. 국내 음악치료 교육과 훈련
3. 외국의 음악치료사와 자격증

제2장 음악치료 모델과 프로그램
1. 음악치료
2. 음악치료 종류와 방법
3. 음악치료 기법
4. 음악치료 악기


2부 정신분석과 정신역동 음악심리치료

제3장 정신분석과 음악심리치료
1. 정신분석적 음악심리치료
2. 음악심리치료와 전이
3. 집단음악치료와 전이

제4장 정신역동 음악치료
1. 정신역동적 음악치료
2. 음악과 정신역동

제5장 음악치료의 꽃 즉흥연주
1. 즉흥연주 음악치료
2. 즉흥연주의 모델
3. 즉흥연주 악기
4. 언어화 과정
5. 요약과 즉흥연주 사례


3부 노래와 노래심리치료

제6장 노래심리치료 I
1. 노래란 무엇일까?
2. 노래심리치료의 치료적 기능
3.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
4. 토닝의 치료적 기능과 효과

제7장 노래심리치료 II
1. 노래와 회상 그리고 치료
2. 회상의 정의 및 치료적 기능
3. 노래 회상의 특징과 기능
4. 음악 인생 회고

제8장 노인을 위한 음악치료
1. 신체 및 생리적 영역의 음악심리치료
2. 인지, 정서, 심리적 영역의 음악심리치료
3. 사회적 영역의 음악치료


4부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제9장 자폐증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1. 자폐성 장애
2. 자폐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제10장 지적장애자를 위한 음악치료
1. 지적장애
2. 지적장애 아동 음악치료
3. 지적장애 아동 음악치료 기법

제11장 정신질환자를 위한 음악심리치료
1. 정신질환
2. 정신질환과 음악심리치료
3. 정신질환자를 위한 음악심리치료
4. 정신질환자를 위한 음악심리치료 프로그램



5부 의료분야 음악심리치료와 슈퍼비젼

제12장 일반 의료 분야에서의 음악심리치료
1. 수술과 마취와 음악심리치료
2. 수술 대기 환자와 음악감상 효과
3. 임산부를 위한 음악심리치료
4. 태교와 음악심리치료
5. 혼수상태 환자를 위한 음악심리치료
6. 예방의학으로서의 음악심리치료

제13장 호스피스 음악심리치료
1. 호스피스에 대한 이해
2. 종말기 환자를 위한 음악심리치료
3. 신체적 필요성
4. 심리적 필요성
5. 사회적 필요성
6. 국내 호스피스 음악심리치료 정착 과제

제14장 음악치료 슈퍼비전
1. 슈퍼비전의 개념
2. 음악치료 슈퍼비젼의 실행
3. 요약


저자소개

임종환
· 미국 미드웨스트대학교 음악박사
· 미국 미드웨스트대학교 기독교상담학 박사(2020.5.예정)
· 치유상담연구원 영성치유수련(2박 3일 치유프로그램)
· 1회~150회 음악심리치료 교수(2000~2020 현)
· 서울시 강서구 강서구민회관 노래심리치료 창립 및 지도교수(1989~2020년 현)
· 국립정신건강센터(구 국립정신병원) 음악치료사 역임
· 한국음악심리치료협회 슈퍼바이저(현)
· 한국치유상담협회 슈퍼바이저(현)
·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내 상담지원센터 서울음악치료연구소 소장(현)
· 치유상담연구원 음악치료 겸임교수(현)
·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음악치료 교수(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