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기독교의 역사는 우리의 현재를 비추는 거울이며, 기독교회의 미래를 가늠하는 나침반이 된다.” 저자가 서문에서 밝히듯, 이 책은 이천 년 기독교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주요 사건들을 통하여 교회의 과거 현재 미래를 바라보고자 한다.

저자 이성덕 교수는 오늘날 한국 기독교의 정체와 위기는 도덕적 영향력과 영적 권위의 상실에 기인하며, 이와 같은 원인을 특별히 역사의식의 빈곤이라고 본다. 저자는 한국 교회가 기독교 역사를 외면한 채, “성서와 현재의 내가 있을 뿐”이라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은 오만한 일이며, “역사로부터 배우지 못하는 교회는 어리석은 행위를 반복할 수밖에 없다.”고 말함으로써 우리가 왜 기독교 역사에 주목하여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예수의 출현과 교회의 성립, 박해와 기독교 공인, 마르틴 루터의 종교개혁, 근대과학과 이신론의 등장, 존 웨슬리와 메소디스트 운동, 대각성 운동, 에큐메니칼 운동 등 책에 소개된 31가지 사건은 역사의식을 바로 세우고, 새로운 역사를 위해 다시 한 번 힘차게 나아가게 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차례

글머리에 5


나사렛 예수의 출현과 교회의 성립 16
사도 바울과 이방 선교 24
영지주의 32
박해와 기독교 공인 40
삼위일체론의 확립 48
정경(Canon)의 확정 56
수도원의 탄생 64
라틴(서방) 신학의 패러다임 등장 72
교황의 등장 80
이슬람의 발흥 88
동방교회와 서방교회의 분열 96
십자군 전쟁 104
스콜라 신학 112
아씨시의 성 프란체스코 120
마르틴 루터와 종교개혁 128
스위스 종교개혁과 개혁교회의 탄생 136
재세례파 운동 144
영국 성공회와 청교도의 등장 152
로욜라의 이그나티우스와 예수회 160
기독교 종파주의와 종교 전쟁 168
근대과학과 이신론의 등장 176
경건주의 운동 184
존 웨슬리와 메소디스트 운동 192
대각성 운동 200
자유주의 신학의 등장 208
칼 바르트와 신정통주의 216
바르멘 선언과 교회의 투쟁 224
에큐메니칼 운동 232
제2차 바티칸 공의회 240
해방신학의 등장 248
새로운 종교 지형도와 기독교의 미래 256


참고문헌 265



저자소개

이성덕
이성덕은 서울대 인문대 독어독문과(B.A), 감리교 신학대학교 대학원(Th.M), 독일 뮌스터대학 신학부(Dr.Theol)에서 공부한 저자는 현재 배재대 복지신학과 역사신학 교수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Der Deutsche Pietismus und John Wesley(Brunnen Verlag/Brockhous), 『종교개혁 이야기』(살림지식총서 221, 살림), 『소설 존 웨슬리』(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기독교와 현대사회 : 우리시대의 기독교를 이해하기 위한 입문서』(공저, 대한기독교서회), 『우리를 자유케 하는 진리』(공저, 배재대출판부)가 있으며, 역서로는 에른스트 벤츠의 『기독교 역사와의 대화』(시리우스 총서 01, 한들), 『니고데모, 인간에 대한 두려움에 관하여』(생명의말씀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