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나는 너를 한순간도 내버려 둔 적이 없단다.”


아프고 찢긴 그 어떤 삶이라도
하나님은 처음부터 끝까지 곁에서 함께하신다!



절망에서 동행의 기쁨에 이르기까지,
들꽃같이 여린 사모의 단내나는 분투기

근심하는 자 같으나 항상 기뻐하고
가난한 자 같으나 많은 사람을 부요하게 하고
아무것도 없는 자 같으나 모든 것을 가진 자로다
고후 6:10



폭풍우 치는 인생의 밤에
주님의 손 잡고 믿음으로 함께 걸어라



오늘 하루를 살아가며 날마다 주님의 도움을 구하라
저는 예수님을 믿은 후로 언제나 하나님께 질문을 드리며 살았습니다.
“하나님은 누구이시고 인생은 무엇입니까?
이 폭풍우 치는 인생에서 믿음으로 산다는 건 어떤 것입니까?”
이 질문을 날마다 드렸던 것은
유독 제 주변에 아프고 약한 이들이 많았을뿐더러,
저 자신이 연약한 상태로 오랜 세월 폭풍우를 지나야 했기 때문입니다.
오늘 이 하루를 어떻게 살아야 할지
날마다 그분께 도움을 구해야 하는 세월이었습니다.

상처가 별이 된 사람들이 전하는 따뜻한 위로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와 동일한 고난을 겪고 있는
형제자매들에게 이 책을 바칩니다.
이 책은 어쩌면 그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 싶은 마음으로 쓴 한 권의 편지입니다.
저의 이야기가, 아니 상처가 별이 된 사람들의 이야기가
당신에게 따뜻한 위로가 되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_ 프롤로그 중에서


출판사리뷰

상처가 별이 된 사람들의 따뜻한 위로

아프고 다치고 실패했을 때 그 모습을 정직하게 내보일 지체나 공동체가 있는가? 숨은 죄를 회개하라거나 무조건 낫고 성공하게 해달라고 기도하기 전에 따뜻하게 안아주며 괜찮다고 다독여주고, 어쩌면 먼저 겪은 자신의 상흔을 담담히 내어 보이며 공감해주는 사람들이. 고난만으로도 아픈데 긍휼 없는 사람들 때문에 더 아플 때가 많다. 사랑의 공동체여야 할 교회마저 잘못된 성공주의 신화에 빠져 부(富)와 건강을 축복의 척도로 보고 고난당한 자를 함부로 정죄하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이 왜 우리 삶에 굳이 고난을 허락하실까. 한순간에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는 분이 왜 인생의 밤길을 내내 걷게 하실까. 하나님은 우리가 그때에야 비로소 묻게 되는 날 것의 질문에 귀 기울이시고, 정직한 토설을 기뻐하시며, 한순간도 떠나지 않고 동행하신 그분을 발견하기를 기다리신다.

부교역자의 아내로 소박한 행복을 꿈꾸었던 저자는 남편의 희귀난치성 진단을 시작으로 거듭된 고난을 통하여 비로소 인생이란 내 집에 찾아오신 주님의 손 잡고 함께 살며 주님의 집까지 함께 걸어가는 여정임을 배웠다. 고난 가운데 주님이 맡기신 양을 돌보면서 어느덧 자신도 약하고 찢긴 인생을 품는 그릇으로 자라갔고, 아픈 목회자를 위해 기도하던 작은 개척교회의 지체들은 어려운 이웃에 대한 긍휼이 남다른 공동체로 성장했다.

상상도 하기 힘든 고난의 과정이지만 읽기에 무겁지 않은 것은 아픈 사람들이 읽을 수 있는 책을 써달라는 친구의 부탁 때문이었을까? 아마도 광야 같은 시간 속에 하나님이 허락하신 이슬과 오아시스의 은혜, 동행의 발걸음에 순종하고 말씀에 귀 기울이며 누린 기쁨이 가득하기 때문일 것이다. 저자뿐 아니라 아픈 사람들이 고통 중에 토해내는 정금 같은 한마디 한마디가 지치고 외롭고 아픈 삶을 감싸주는 따뜻한 위로로 다가온다.


차례

추천사
프롤로그

CHAPTER 1
만남이 시작될 때

압도적인 역경
불면의 세상에서
내 병도 고쳐주세요


CHAPTER 2
그래도 발을 떼렴

끝이 안 보일 때도요?
사막 위의 로뎀나무
가난해야 보이는 것들


CHAPTER 3
담트고 길닦는 사람들

가보지 않은 길로
주님이 세우신다
동행, 앞서가거나 뒤처지거나
아프니까 오는 거야


CHAPTER 4
불의 고리(ring of fire)

막다른 절벽에서
성장해야 산다
별이 되려고
오아시스


CHAPTER 5
찬란한 나날

주님 말씀하시면
한 걸음씩의 기적
하나님의 시간표


CHAPTER 6
우리는 주님만 따라간다

머리카락 한 올만큼
터를 견고케 하시리라
여호와는 선한 목자시니

에필로그


저자소개

한근영
압도적인 역경을 만날 때 우리는 비로소 하나님께 묻는다. 왜 인생이 고통스러운지, 하나님은 인생을 왜 이렇게 설계하셨는지, 그 고난의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가난한 부교역자 사모로 살면서 어지간한 어려움에도 웃음을 잃지 않고 들꽃 같은 작은 행복도 족하게 여기던 서른한 살의 그녀에게 감당하기 힘든 고난이 닥쳐온다. 마음의 버팀목이던 남편 조혁진 목사가 ‘섬유근육통 증후군’이라는 희귀난치성 질환 진단을 받은 것이다. 원인도 치료법도 알 수 없는 병으로 남편이 사임과 요양, 새 사역지 부임, 사임을 거듭하고 큰아들마저 ‘불안증’으로 힘겨워하는 동안 저자는 연약한 몸으로 사모의 일은 물론 간병과 살림, 생계까지 짊어지고 인생의 벼랑을 걸어야 했다.
인생의 고난에 대해 하나님께 절절한 질문을 던지던 저자는 폭풍우와 흑암 속에 빛으로 찾아오신 주님을 붙들면서 자신이 결코 혼자가 아님을 깨달았다. 저자는 이 책에서 인생의 밤길을 지나는 핵심이 혼자 힘으로 살고 혼자 길을 가고 혼자 영광을 받으려 하는 본성을 거슬러, 하나님의 손을 잡고 그분과 같이 살며 같이 걸어가는 데 있다고 말해준다.
숨쉬기도 힘든 고난 속에서 이슬과 오아시스의 은혜를 경험하며 성장하고 성숙해간 그녀는 2008년 1월 개척한 인천 ‘담트고 길닦는 교회’(담임목사 조혁진)의 사모로서 아프고 힘들고 연약한 사람들을 품고 돌보면서 주님과 동행하는 기쁨을 나누고 있으며, 남편과의 사이에 두 아들을 두고 있다.

저자 연락처 874791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