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제104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주제연구 시리즈 세 번째 책인 『지구생명체의 위기와 기독교의 복음』을 발간하게 됨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본 교단 총회는 앞으로 4년간 대 주제를 ‘복음’으로 정하여, 이번 104회기는 ‘말씀으로 새로워지는 교회’를 주제로 삼았습니다.

본 연구원은 제 104회기 주제를 확산시키기 위해 주제연구 시리즈 첫 번째로 『느헤미야와 한국교회의 개혁』을 발간하여, 성경을 바탕으로 한국 교회와 사회개혁 방향에 대해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두 번째로는 『21세기 사회변동과 한국교회의 혁신』을 출간하여 한국교회가 사회변화에 어떻게 대처해나갈 것인가를 다루었습니다. 이번에 발간하는 세 번째 저작물 『지구생명체의 위기와 기독교의 복음』은 대한민국을 뛰어넘어 전 지구적으로 일어나는 문제들을 정리하여 그에 대한 기독교 비전을 찾고자 합니다.

스웨덴의 비영리 단체인 ‘글로벌 챌린지스 파운데이션(GCF)’은 2012년 출범이후, 세계 인구를 10%이상 파괴할 수 있는 위협에 관해 매년 보고서를 내고 있습니다. 2018년 보고서에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10가지 위험’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습니다. 1) 핵전쟁 2) 생화학전 3) 지구온난화 4) 생태계 붕괴 5) 새로운 전염병과 항생제 내성 6) 소행성 지구 충돌 7) 슈퍼화산 8) 양날의 칼 지구공학 9) 통제되지 않는 인공지능(AI) 10) 과학자들이 인지하지 못했던 위협입니다. 이 보고서는 향후 50년이 인류 미래 1만년을 결정한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인류는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일컬어지는 정보기술과 생명기술의 융합으로 인한 문명사적인 전환기를 맞이하였습니다. 근대민족국가의 등장과 과학기술의 발달, 자본주의 산업 활동의 발달, 민주주의의 전진 등을 뛰어 넘는 급격한 변화입니다. 한편으로 후기 근대사회는 전쟁과 갈등의 폭력적인 전개, 핵무기 경쟁과 핵발전소 사고에서 확인하는 지구생명 멸망 가능성의 대두, 지구온난화시대를 맞이한 생태계 위기로 인하여 지구적인 규모에서 인류문명과 생명의 파국 가능성을 안고 있습니다.

기독교의 복음은 회복입니다. 기독교의 생명이해는 하나님은 생명의 하나님이며 생명은 하나님에게 속한 것이라는 대전제에 근거합니다. 생명은 하나님의 선물로서 하나님으로부터 왔습니다. 구약에서 하나님은 천지를 창조하시고 보시기에 좋았더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인간은 하나님이 생기를 불어넣어 하나님의 형상대로 남자와 여자로 만드셨습니다. 신약에서는 피조물을 구원하기 위해 인간의 몸으로 성육하신 하나님이신 예수 그리스도가 참 생명이요 영원한 생명임을 증거하고 그를 믿는 신앙으로 영원한 생명을 얻고, 생명의 부활에 동참하는 소망을 지닌다고 합니다.

기독교의 생명이해는 결국 생명의 근원, 의미, 목적을 초월적인 하나님에게서 찾습니다.
하나님은 생명의 근원입니다. 따라서 우리 인간은 생명에 대한 권리 또는 소유권보다는 생명을 보전해야 할 책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미 지구는 정치, 경제, 사회, 환경, 질병, 전쟁 등 전 지구적으로 심각한 위험에서 놓여있습니다. 생명이 파괴되고 있는 곳에서 우리는 기독교의 복음으로 지구생명체를 위기에서 회복해야합니다. 치유해야 합니다. 이러한 시대적 사명 가운데 총회한국교회연구원이 깊이 고민하여 펴낸 이 책을 통해, 전 지구적인 생명체의 위기 가운데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에 대한 단초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책이 전 지구적 위기에서 하나님의 복음으로 지구생명체를 살리는데 일조하게 되길 바라는 것입니다.


차례

권두언/ 김태영 목사 (대한예수교장로회 제104회기 총회장) 6
발간사/ 채영남 목사 (총회한국교회연구원 이사장) 8
서 문/ 노영상 목사 (총회한국교회연구원 원장) 10

제1부 전쟁과 평화

제1장 전쟁(핵전쟁)을 바라보는 기독교의 입장 - 이은혜 교수(영남신학대학교) 18
제2장 한반도 평화의 위기와 평화통일의 현실성 - 유영식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 38
제3장 난민 문제에 대한 성경적 고찰 - 김진명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 64
제4장 IS 테러리즘과 한국교회 영성교육의 방향 - 김정준 교수(성공회대학교) 86

제2부 정치, 경제, 사회

제1장 다면적 경제양극화 현상의 진단과 교계의 접근방향에 대한 연구 - 최산 연구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122
제2장 한국의 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소고: 유신론적 인본주의에 기초한 민주주의를 지향하며 - 채승희 교수(영남신학대학교) 137
제3장 종교 간의 갈등 - 이상조 교수(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156
제4장 다문화와 인권 - 김형민 교수(호남신학대학교) 179


제3부 환경과 질병

제1장 기후위기와 기독교 신앙 - 최광선 박사(순천덕신교회) 194
제2장 생태위기와 기독교의 신앙적 윤리적 책임 조용훈 - 교수(한남대학교) 211
제3장 에너지 위기와 기독교 환경윤리 - 김창모 박사(광주기독병원) 228
제4장 지구생명체 위기 극복을 위한 윤리적 의사 결정의 모색 - 문시영 교수(남서울대학교) 254
제5장 질병의 진화와 우리의 대처: 인수공통 감염병과 동물보호 문제 - 이장형 교수(백석대학교) 276
제6장 기아 문제 진단과 기독교윤리적인 해결 방안 모색 - 성신형 교수(숭실대학교) 298
제7장 비만 - 박준수 박사(런던 세인트앤드류교회) 318

제4부 가정과 과학

제1장 가족의 위기, 가족의 재해석 - 안명숙 교수(서울장신대학교) 338
제2장 성(聖)과 성(性), 경계를 넘어 예수의 제자로: 교회 내 젠더갈등의 현실과 제언 - 송진순 교수(이화여자대학교) 361
제3장 중독 - 김상철 목사(파이오니아21) 386
제4장 인공지능의 시대에 항상성의 변증법적 성격을 메시아적 희생으로 읽기 - 신익상 교수(성공회대학교) 410
제5장 생명윤리의 미래와 기독교 - 김승호 교수(영남신학대학교) 431
제6장 우주의 대격변과 지구의 종말 - 강성열 교수(호남신학대학교) 448


저자소개

총회한국교회연구원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