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베드로서_노마드로 읽다!
성경 속 그리스도인 정체성을 사무치게 드러낸 나그네신학, 위로와 희망의 편지


성경 전체는 온통 나그네 이야기,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중심 주제
성경은 ‘흩어진 나그네’ 이야기로 가득 차 있다. 창세기부터 시작되는 원 역사, 아브라함 같은 믿음의 족장들, 출애굽 사건, 광야 이후 가나안 정착, 왕정 시대 후 포로기, 그리고 열방에 흩어진 디아스포라의 이야기가 그것이다. 저자는 초대교회 성도들과 다름없이 나그네된 우리에게 희망과 위로,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하는 개혁의 새 길을 안내한다.

베드로서를 일상 언어로 안내한 위로와 희망의 메시지
이 땅에서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정확하게 가슴 아프게 말하고 있다. 노마드 프리즘으로 재해석한 저자의 베드로서는 단순 주석서에서 벗어나 인문학적 상상력으로 안내할 뿐만 아니라 베드로서의 나그네신학을 선교의 관점에서 현실성 있게 실천적으로 도전하게 한다. 성경의 가르침을 폭넓게 인식하게 한다. 목회자와 신학생은 물론 성도들이 읽고 함께 나누는 책이다.

흩어진 나그네, 노마드의 궤적을 지닌 저자, 그 부르심에 대하여
베드로전후서의 진리를 ‘나그네’로서 바르게 인식하게 하고, 그 부르심이 얼마나 놀라운 선물인지 반복하여 말하고 있다. 베드로전후서의 가르침이 이 시대에 꼭 필요한 통찰임을 저자는 깊이 있는 말씀 묵상, 폭넓은 지식과 지혜으로 전하며 교회를 향한 아픔과 사랑에 공감하게 한다. 세상의 신분과 지위와 상관없는 나그네의 정체성에 기초한 삶일 때 그리스도인이다. 저자는 한국과 필리핀, 미국이라는 노마드 삶의 궤적을 지나면서 성경적인 정체성과 삶의 태도로 ‘흩어진 나그네’되어 살아간다. 그 증거가 바로 이 저서이기도 하다.


차례

책머리에
추천사
프롤로그 인류의 역사는 흩어짐의 역사이다

PART 1 흩으심의 역사

01. 하나님의 문화 명령 _20
02. 떠남, 흩어짐, 낮아짐 _26
03. 나그네 신앙의 모범, 요셉 _33
04. 하나님 나라의 동력, 광야 생활 _40
05. 변화된 삶이 복음의 가치를 드러낸다 _47
06. 이주 사회의 다니엘 사상 _51
07. 언어와 문화와 종교와 국경 너머 _57
08. 복음을 위한 디아스포라, 나그네 _64

PART 2 베드로서에 관한 7가지 질문

01. 저자는 베드로인가? _70
02. 다섯 지역은 어디인가? _75
03. 베드로서 수신자는 누구인가? _80
04. 지도자 베드로의 리더십은? _85
05. 베드로의 인종적 회심이란? _94
06. 베드로서의 사회적 책임이란? _100
07. 베드로후서는 거짓 뉴스? _105

PART 3 희망의 가르침, 베드로전서

01. 흩어진 나그네 베드로전서 1:1-1:10 _112
02. 기독교는 나그네의 종교 베드로전서 1:11-25 _119
03. 하나님과 함께하는 모험 베드로전서 2:1-10 _126
04. 그리스도인 정체성과 살아남기 베드로전서 2:11-25 _132
05. 초대교회가 여성에게 보인 태도 베드로전서 3:1~6 _139
06. 나그네 신학 베드로전서 3:8-22 _147
07. 공유 리더십, 수평적 리더십, 관계형 리더십 베드로전서 4:1-10 _152
08. 고난과 고통에 대하여 베드로전서 4:11-19 _159
09. 나그네의 리더는 낮은 자리 베드로전서 5:1-10 _164
10. 부활의 신앙, 종말론적 신앙 베드로전서 5:11-14 _171

PART 4 교회를 향한 편지, 베드로후서

01. 약자의 종교여야 한다 베드로후서 1:1-4 _178
02. 부르심과 택하심 베드로후서 1:5-10 _185
03. 실천하지 않는 진리는 진리가 아니다 베드로후서 1:12-15 _192
04. 우리가 종교개혁을 오해했다? 베드로후서 1:16-17 _199
05. 하나님 나라는 하나님께서 이루신다 베드로후서 1:17~21 _206
06. 내 안에 그리스도께서 사시는 것이라 베드로후서 2:1-5 _214
07. 도시 속 나그네 베드로후서 2:6-8 _221
08. 마라나타 베드로후서 3:3,5,9 229
09. 십자가 정신과 하나님 나라 베드로후서 3:11-17 237
10. 마지막 인사, 영광 받으소서 베드로후서 3:18 244


저자소개

배경락
배양찬 목사와 한옥수 사모 사이의 맏아들로 태어난 저자는 목사 되기를 원했던 부모의 뜻을 따라 믿음과 기도로 엄격하게 성장했다. 사춘기에 기독교에 회의를 느껴 불교, 허무적 실존주의 등 비기독교적 사상에 심취하고, 문학과 철학에 심취하면서 다양한 책을 섭렵하였다.
총신대학교에 아버지의 강요로 입학한 저자는 학교에서 가르치는 보수 신학에 답답함을 느끼고, 당시 교수들이 비판하는 독일 신학, 토착화 신학, 여성 신학 등 다양한 학문을 탐닉하면서 이들이 왜 비판받는지 연구하였다. 보수 신학을 공부하면서도 칼 바르트, 본 회퍼, 구티에레즈, 한스 큉 등의 저서를 탐구하면서 사상의 폭을 넓혀 갔다.
그는 목회 초기 4년간 필리핀 선교사로 섬겼으며, 서울 은평구 신사동 서북교회에서 20년간 담임 목회를 하면서 백석신학대학원에 출강하였고, 지금은 미국 로고스교회 협동 목사로 섬기고 있다.
그는 계속하여 인문학적 성경 읽기와 선교적으로 성경 해석하기 작업을 시도하면서 글을 쓰고 있다. 저서는 포토 에세이 『곧게 난 길은 하나도 없더라』, 이야기 역사신학 『성경 속 왕조실록』, 이야기 나그네신학 『성경 속 노마드』가 있으며, 현재 요한계시록을 선교적으로 읽기를 시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