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존더반 신약주석, 주석과 강해를 한 책에서 만나다!
정확하고 분명한 주석, 완벽하게 도해된 문맥 구조, 설교자를 위한 강해적 설명의 삼박자를 모두 갖춘 존더반 신약 주석. 메인 아이디어 신·구약 주석 시리즈와 찰스 스윈돌의 신약 인사이트 시리즈에 이어 영적인 감각을 불러일으킬 새로운 주석과 강해의 세계가 열립니다.

[존더반 골로새서, 빌레몬서 소개]

1세기의 신자와 21세기의 신자는 모두 같은 갈림길 앞에 서 있다.

한때 쓰이고는 없어질 사람의 명령과 가르침을 따를 것인가?
통치지와 권세를 무력화하고 십자가로 그들을 이기신 그리스도를 따를 것인가?

그리스도를 주로 고백하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전혀 다른 패러다임으로 살아가라는 바울의 외침!


1세기 소아시아에서는 다양한 종교적 풍토에서 비롯된 각종 도전이 교회를 혼란스럽게 하고 있었다. 바울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교회로 하여금 그리스도가 행하신 사역의 충분성과 성도의 삶에 대한 그분의 주재권에 집중하게 한다. 그는 이러한 기독론적 렌즈를 통해 진정한 복음에 부응하지 못하는 종교적 관행을 비판하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그리스도의 주재권을 드러내는 생활 방식을 제시한다. 한편, 바울은 빌레몬서에서 그리스도의 주 되심에 비추어 기본적인 인간관계를 재정립할 것을 요청한다. 두 서신은 그리스도가 만유의 유일한 주라는 신앙고백과 신자의 믿음과 행위가 일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존더반 신약주석 시리즈 전체 소개]

존더반 신약주석은 한 권에 모여 있는 경우가 좀처럼 없는 주석의 특징들을 한데 묶어놓았다. 시리즈 각 책은 헬라어 원문에서 본문의 전후문맥과 구조를 다루고, 각 저자는 문학적 구조에 기초한 독창적 번역을 제공해준다. 이 시리즈는 모든 주석 각 부분에서 요점, 석의적 개요, 구절별 주석, 적용에서의 신학 등을 제공한다. 학자들은 각 단계에서 정보를 제공하지만 주석을 지배하지는 않는다.

그럼으로써 독자가 성경 저자의 메시지가 전개되는 것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리한 통찰과 시기적절한 신학적 적용으로 가득 찬 이 주석은 목사, 교회 지도자, 신학생을 비롯하여 학계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이 스스로 신약 본문을 이해하기 위해서뿐 아니라, 하나님의 진리에 굶주린 사람들에게 말씀을 가르치고 설교하는 데도 유용한 ‘원스톱’(one-stop) 자료가 될 것이다.

[존더반 신약주석의 특징]

* 본문의 전반적 구조를 묘사한다.
* 광범위한 전후문맥 안에서 본문의 역할을 논의한다.
* 본문의 큰 개념 혹은 중심 취지를 한두 문장으로 기술한다.
* 헬라어 본문에 대한 각 주석가의 번역을 도해로 제시한다.
* 본문에서 각 절의 관계에 관한 해석적 결정들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설명한다.
* 비전문가들에게도 쉽고 유용한 헬라어를 사용하여 심도 깊은 주석을 제시한다.
* 본문의 신학적 메시지를 요약하고, 그것이 이 시대 교회에 무엇을 말하는지 탐구한다.

* 신약 전20권 출간 예정


차례

시리즈 서론. 11
저자 서문. 15
약어표. 17
골로새서 서론. 23
골로새서의 참고문헌. 39
골로새서 주석. 47
골로새서의 신학. 335
빌레몬서 서론. 349
빌레몬서의 참고문헌. 363
빌레몬서 주석. 367
빌레몬서의 신학. 439
성구 찾아보기. 449


저자소개

데이비드 W. 파오
트리니티 복음주의 신학교(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의 신약학 교수이자 신약분과 분과장이다. 저서로는 『Acts and the Isaianic New Exodus』(사도행전과 이사야적 새 출애굽), 『Thanksgiving: An Investigation of a Pauline Theme』(감사: 바울의 주제 탐구), 『Early Christian Voices: In Texts, Traditions, and Symbols』[초대교회의 목소리: 본문과 전승과 상징(공저)], 『Commentary on the Gospel of Luke』(누가복음 주석), 『After Imperialism: Christian Identity in China and the Global Evangelical Movement』[제국주의 이후: 중국 그리스도인의 정체성과 세계적 복음주의 운동(공저)] 등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