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출판서평]

방언문제를 신학적으로 완벽하게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탐구는 고린도전서 14장, 특히 21-22절에 집중되었다. 그렇지만 오랫동안 미해결로 남아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연구자들의 현격한 입장 차이는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하도록 관심을 증폭시켰다. 첫째, 바울이 이사야서의 본문을 인용한 이유(21절), 둘째, 방언이 목표하는 대상이 신자들인지 또는 불신자들인지(22절), 그리고 셋째, 21-22절의 원문의 번역에 관한 문제로 요약된다. 최소한 이 세 가지의 핵심테제가 거뜬히 해명된다면 일치되지 않았던 바울의 방언문제가 종결될 가능성이 예상되었다. 그러한 기대가 본서의 출판을 통해 서서히 민낯을 드러낸다면 독자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이다. 오랫동안 바울의 방언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한 본서는 새로운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핵심을 꿰뚫는다.


신약성경에서 두 번 언급되는 ‘다른 방언으로 말하다'라는 독특하면서도 중요한 표현을 언어학적 방법에 기초한 회고적 읽기(Retrospective Reading)에 의해서 고린도전서 14:21-22을 해석하고 그리고 거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신약성경의 동시대 문헌들과의 비교연구를 통해서 그 표현을 위한 의미론(Semantics)을 고찰해 본 것이다. 그리고 그 새로운 증거에 근거해서 고린도전서 14장의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하늘의 비밀을 말하는 은사로 여겨지는 방언이 AD 1세기 유대-기독교 세계 안에서 중요한 연결고리가 된다. 다시 말해서, 방언은 유대교와 기독교가 함께 공유한 세계관을 반영한다. 동시에 초기 기독교의 오순절적 방언 이해는 기독교 고유의 정체성에 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차례

추천서 - 4 서문 - 10 약어 - 18

I. 서론

연구동기 26
연구목적 27
연구방법 30
1. 회고적 읽기
2. 언어학적 연구

II. 연구사

선행연구와 그 한계38
본 연구의 의의44

III. 고린도전서 14장 회고적 읽기

고전 14:21의 전향적 읽기와 회고적 읽기 60
1. 전향적 읽기(사 28:11, 3 Hodayot 그리고 고전 14:21)
2. 회고적 읽기(사 28:11 LXX와 고전 14:21)
3. ‘다른 방언으로 말하다’에 대한 공시적 이해
고전 14:22의 새로운 번역79
1. ‘ε?? σημε??ν ε?σιν+여격’의 새로운 읽기
2. 고전 14:21-22의 새로운 번역
3. 요약

IV. 회고적 읽기를 통한 고전 14장의 새로운 구조

고전 14장의 번역과 구조104
고전 14장의 새로운 구조 배경114
1. ?γ?πη의 주제와 고전 14:20-25에서 바울의 진술
2. ?γ?πη의 주제와 고전 14:20-25의 새로운 구조적 위치

고전 14장의 새로운 구조 분석130
1. 알아들을 수 있는 은사가 교회의 덕을 세운다(14:1-19)
2. 완전한 지혜, 사랑과 화평의 하나님, 그리고 성령의 은사의 올바른 사용(14:20-40)
요약211

V. 고린도전서 14장 결론215

VI. 고린도전서 14장 더 생각해 보기


(‘다른 방언으로 말하다’에 대한 공시적 이해: 바울과 누가의 전문 용어)
요약224
서론: 문제제기226
1. 행 2:4의 λαλε?ν ?τ?ραι? γλ?σσαι?를 위한 기존의 연구 경향: 언어적 특성에 집중된 연구
2. 사도행전 방언에 대한 새로운 범주화: 예언적 유형의 범주에서 오순절 성령의 범주로

사도행전의 3 방언 코텍스트에서 누가의 방언 이해239
1. 방언으로 말하다(λαλε?ν γλ?σσαι?)를 통한 언어학적 통일성
2. 방언은 오순절 성령의 언어

바울과 누가의 공시적 상호 텍스트에서 언어학적 통일성 245
1. ‘다른 방언’: 바울과 누가에 의해서 사용된 전문 용어
2. 바울과 누가 사이의 언어학적 통일성: 방언은 오순절 성령의 은사

결론251
참고문헌 - 253


저자소개

김성종
- 인천외국어고등학교 프랑스어과
- 한세대학교 BTh
- 한세대학교 MDiv
-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MA Biblical Studies
-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MPhil - PhD Thesis(Theory)
- 서울신학대학교 PhD

논문
- Prophecy and the Problem of Judgment by Outsiders: Reading 1 Corinthians 14:20-25 in Regular Order(PhD Thesis;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2015).
- ‘1 Cor 14:21, and its Intertexts of Is 28:11 and 3 Hodayot’, Journal of Youngsan Theology vol. 37 (2016).
- 『고전 14:21-22의 새로운 읽기와 14장의 구조에 관한 분석』 (PhD Thesis; 서울신학대학교, 2018).

약력
- 전 한세대학교 신약학 강사
- 순복음은빛교회 협력목사
- 바울성령신학 연구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