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승문 박사가 한국기독교학회 2018년 제13회 소망학술상 받은 “초기 그리스도교회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신약성서에 반영된 그리스도인 공동체를 중심으로”라는 글로서, 한국교회의 목회적 상황과 그에 대한 대응 모델로 신약성경에 반영된 초기 그리스도교회 공동체를 선택하여 초대교회의 목회적 정황과 신학적 대응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가장 적합한 방법 하나인 사회과학적 전망을 일관되게 적용하여 신약성경의 복음서와 역사서와 주요 서신에 대한 주석적 시도가 담겨 있다. 목회와 신약신학이 사회과학적 관점으로 연결되어, 학술적으로 충실하면서도 실천적으로도 적실성이 있는 작품이다.


차례

* 추천사
구 제 홍 박사(명지대학교 인문교양학부 교목실장, 신약학 교수)
김 재 성 박사(한신대학교 신약학 교수)
박 경 미 박사(이화여자대학교 신약학 교수)
윤 철 원 박사(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신약학 교수)
정 승 우 박사(연세대학교 신약학 교수)
최 흥 진 박사(호남신학대학교 총장, 신약학 교수)
* 저자 서문 11
* 서 론 15

제1부 서신서에 반영된 초기 그리스도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33
제1장 갈라디아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34
저주와 복과 약속의 삼중 대상인 ‘그리스도’(갈 3:10-14)를 중심으로
제2장 고린도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57
고린도교회 공동체의 동반자적 리더십과 장회익의 온생명 사상을 중심으로
제3장 로마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96
로마교회 공동체의 상황과 바울이 납세를 권면한 이유(롬 13:1-7)
제4장 히브리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124
히브리 공동체의 리더십 경쟁 상황과 신학적 대응(히 13:10-14)

제2부 복음서에 반영된 초기 그리스도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148
제5장 마태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149
베드로의 상(像)(마 16:16b-19)과 마태 공동체의 제도화: 피터 버거(P. L. Berger)와 토마스 럭크만(T. Luckman)의 “완전한 제도화”를 중심으로
제6장 마가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182
마가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제자도
제7장 요한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201
요한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상호 세족 요구

제3부 누가-행전에 반영된 초기 그리스도교회 공동체의 목회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230
제8장 누가교회 공동체의 인종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231
예수의 재판 단락(눅 22:66-23:25)과 ‘불가피성의 심리의 기제(機制)’를 중심으로
제9장 누가교회 공동체의 경제적 상황과 신학적 대응 262
누가교회 공동체와 바리새파 공동체의 관계를 중심으로
제10장 누가교회 공동체의 리더십 상황과 신학적 대응 290
사도행전 1:6-11과 리더십 승계의 모델과 기능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331
* 본서에 수록된 필자의 논문 362


저자소개

이승문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B.A.)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성서신학과(Th.M., 신약학 전공)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학과(Ph.D., 신약학 전공)
.미국 New York eological Seminary(D.Min.)
.전, 명지대학교 조교수(전문), 교목
.전,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겸임교수
.전, 한국대학선교학회 편집위원장
.전, 한국신약학회 총무, 편집위원
.전, 미국 뉴저지 길벗교회 담임목사
.현, 명지전문대학 부교수, 교목실장
.현, 한국대학선교학회 대학과 선교(등재지) 편집위원
.현, 신학사상(등재지) 편집위원
저서
.『산상수훈과 제자의 삶』(에스포럼, 2015)
.『바울의 복음과 다른 복음』(대원당출판기획, 2008)
.『마가, 예수의 길을 가다』(세복, 2008)
.『예수의 비유』(공저/대한기독교서회, 2009)
.『 2018 성결교회 설교핸드북』(공저/기독교대한성결교회출판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