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김성묵 대표l 두란노아버지학교 추천
★김근수 교수l 칼빈대학교 총장 추천
★정성욱 교수l 덴버신학대학원 조직신학 박사 추천
★서영석 목사l (사) 한국어린이전도협회 대표 추천

★ 칼빈대, 숭실대 청소년상담학과 주교재
★ 청소년신학의 교과서
★청소년지도자 지침서

청소년과 함께한 지 20여 년, 딘 보그먼 교수를 만나다
청소년과 함께한 지 20여 년인 마상욱 교수, 미국의 1세대 청소년지도자이자 60년 동안 같은 현장에 있었던 딘 보그먼 교수와의 만남은 새로운 시작이었다. 두 저자는 한 달 가까이 한국 사회와 교회, 그리고 개인에 대해 나누게 되었고, 특히 마상욱 교수는 신학적으로 삶과 사역이 해석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성경을 해석하듯이 다음세대를 해석하고, 청소년을 해석하고, 문화와 자아를 해석하면서 더 큰 걸음으로 나아갈 수 있었고, 청소년신학의 모델을 제시하게 되었다.

지금이 골든타임, 청소년신학이 필요하다!
미래세대가 교회를 떠난다는 위기 속에서 청소년을 올바르게 아는 ‘청소년신학’이자 ‘해석학’이다. 실천신학과 마찬가지로 현재 청소년들이 살고 있는 현재와, Z세대 디지털 원주민으로서 청소년에 대해 이해하게 하고 적용하고 있다. 현장에서 만나는 주제들을 조목조목 성경적으로 다가가도록 정립한 이 책은 현장사역자의 실천적 문제 의식 아래 인문학적 이해와 통섭한 성경적 답변이자 새 희망이다. 이 시대의 요청에 부응한 감동적인 복음의 가치를 보여주고 있다.

청소년지도자에게 새 희망을 보여주는 지침서
청소년신학은 다음세대의 삶을 해석하는 원리와 함께 청소년 사회와 문화, 개인의 삶을 해석하는 학문이다. 신학에서 찾은 근본적인 원리와 질문을 통해 청소년을 해석해야 하고, 하나님의 진리를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할지 계속해서 고찰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하신 말씀이 오늘날 우리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전인적인 사역의 담론을 제시하고 있다. 청소년지도자 자신을 올바로 해석할 때 이 시대가 요청하는 청소년지도자로 섬길 수 있을 것이다.


차례

저자의 말 어떻게 함께할 것인가? _딘 보그먼 교수
프롤로그 함께한 지 20년, 또 시작입니다 _마상욱 목사

part 1 청소년신학이 필요하다
01 교회와 청소년의 현주소 _ 27
02 실천신학에서 청소년신학으로 _34
03 왜 청소년지도자가 되었나? _45
Episode 우리는 청소년을 믿지 않습니다

part 2 청소년지도자가 해석해야 할 3가지
04 성경해석 _57
05 문화해석 _69
06 자아해석 _78
Episode 성경이 나가라고 하지 말라고 했지요?

part 3 문화를 해석하는 틀
07 터툴리안과 클레멘트, 그리고 어거스틴_87
08 이야기 청소년신학 _95
09 대중문화 다시 보기 _105
Episode 멱살 잡힌 전도사

part 4 자아를 해석하는 틀
10 제가 누구인데 돌보십니까? _117
11 진정한 자아로 만나기 _120
12 자아 돌보기 _125
Episode 피기 전에 떨어진 꽃

part 5 생태계 알아야 청소년이 보인다
13 청소년지도의 생태학적 접근 _135
14 청소년과 가정 _140
15 청소년과 또래압력 _158
Episode 또래압력이 있을 때 가능하다

part 6 인격과 성에 대한 접근
16 ‘성장’이라는 명령 _167
17 창조, 타락, 구속의 관점에서 _178
18 성문화의 역사적 흐름과 미래 _183
Episode 우린 결혼했어요

part 7 디지털 세대와 소비중심사회
19 Z세대는 디지털 원주민 _197
20 소비중심사회의 자기 정체성 _210
21 거짓 열정에서 자유하게 하라 _217
Episode 내가 안 버렸어요!

part 8 예수 중심의 청소년사역
22 청소년사역자의 위치 _225
23 예수 중심의 청소년사역 _231
24 총체적 접근 _239
25 제4차 산업혁명 시대와 청소년사역 _248
Episode 예수 믿는 교회

에필로그 청소년지도자에게
참고문헌


저자소개

딘 보그먼
고든코넬 신학대학원 교수
미국 고든코넬(Gordon-Conwell)신학대학원 교수, 문화 및 청소년 연구담당 이사. 보스턴 해밀턴 웬햄(Christ Church)교회 담임목사이다. 청소년지도자 훈련 및 청소년을 위해 일생을 보낸 저자는 CYS, 청소년문화연구소(www.centerforyouth.org)를 창립하였고, 2006년 청소년교육자협회(Association of Youth Ministry Educators)와 2013년 청소년 특별 프로그램(Youth Specialities)에서 청소년 부문 평생 공로상을 수상하였다. 청소년국제학술회의 명예 창립멤버이다.
저서 『청소년 사역을 위한 실천신학』(1997)과 『나의 이야기를 들어줘: 문제 청소년 이해하기』(2003), 『청소년신학의 토대: 십대의 삶과 문화의 신학적 연결고리』(2013)는 세계의 많은 대학과 세미나 및 워크숍에서 교재로 쓰이고 있다.

마상욱
(사) 청소년불씨운동 대표
숭실사이버대학교 청소년코칭상담학과 특임교수
칼빈대학교 아동청소년사역연구소 소장

총신대학교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교육학 석사와 박사과정을 마쳤다. 예수믿는교회 담임목사이다. (사)청소년불씨운동(YSM) 대표인 저자는 매년 여름과 겨울 파워캠프(1995~현재), 크자캠프(크리스천을 위한 자기주도학습캠프) 등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에 설리번국제기독학교를 설립하였고, 극동방송 청소년과 학부모를 위한 <클릭비전> ‘마멘토의 비전노트’를 진행했으며, ‘주5일제’ 이후 <크자미니스트리사역(교회학교사역)>을 보급하고 있다.
교회, 학교, 교육단체 등과 연계한 현장 중심 목회자로서 명지대, 연세대, 세종대, 호서대, 아세아연합신학대, 칼빈대, 국제사이버대 등 청소년지도자 양성을 위해 강의했으며, 현재 숭실사이버대학교 청소년코칭상담학과 특임교수, 칼빈대학교 아동청소년사역연구소장이다.
저서는 『청소년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청소년을 위한 멘토링 이해와 실제』, 『크자 멘토링』, 『크자 멘토링, 숨겨진 나 발견하기』, 『행복한 리더십』, 『숨겨진 나 발견하기』, 『아빠가 보낸 서른세 번째 편지』, 『꿈으로 학습플래너』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