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포스트모던 시대인 현재 교회론에 대한 다양한 주장이 난무하고 있다. 각 교파별 교회론과 더불어 이머징교회, 선교적 교회 등등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기 위한 몸부림으로서 등장하는 교회론들이 생겨나지만, 그것들 각각의 장점과 단점이 존재함을 부정할 수는 없다. 본서는 이러한 교회론들의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초기 사도 바울의 교회에 대한 관점을 성경 본문을 통해 추적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특히 초대교회의 상황에서 바울이 어떤 교회를 세웠으며, 그 교회를 어떤 교회론에 따라 성장시켰는지를 본서는 잘 보여 준다.


차례

추천사
류 호 영 박사_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그레이엄 H. 트웰프리 박사_리젠트대학교(School of Divinity, Regent University) 교수
데이비드 다운스 박사_풀러신학교(Fuller eological Seminary) 교수
에버렛 퍼거슨 박사_에벌린크리스천대학교(Abilene Christian University) 교수
마이클 고먼 박사_세인트메리신학교(ST. Mary’s Seminary) 교수
레이먼드 F. 콜린스 박사_브라운대학교(Brown University) 교수
비벌리 로버츠 가벤타 박사_베일러대학교(Baylor University) 교수
폴 포스터 박사_에딘버러대학교(School of Divinity, University of Edinburgh) 교수

저자 서문 13
역자 서문 15

서론 다시 그려 보는 교회상 19
1. 교회론에 대한 도전들 21
2. 교회 갱신에 대한 최신 견해들 31
3. 바울과 교회 갱신 44

제1장 세상과 구별된 공동체 54
- 바울의 첫 번째 서신의 핵심 주제
1. 데살로니가교회의 기원 55
2. ‘하나님의 백성’으로 공동체적 정체성 세우기 60
3. 바울의 교회론을 바라보는 창, 데살로니가전서 93
4. 결론: 공동체 형성의 그때와 지금 96

제2장 단지 개인의 모임이 아닌 교회 99
- 바울의 공동체적 기독론과 교회
1. 그리스도 안에서 101
2. 고린도전서에서 이야기하는 성령의 전과 그리스도의 몸 124
3. 결론: 하나님의 백성과 그리스도 안에서의 새 인류 143

제3장 교회 공동체와 성례 145
- 고린도전서, 갈라디아서, 로마서에서 이야기하는 세례와 주의 만찬
1. 고린도전서에서 이야기하는 세례와 주의 만찬 147
2. 갈라디아서에서 이야기하는 세례 170
3. 로마서에서 이야기하는 세례 175
4. 결론: 바울이 이야기하는 세례와 주의 만찬 182

제4장 공동체의 영적 성장 184
- 로마서와 고린도후서에서 이야기하는 교회 공동체의 변화
1. 기억의 공동체 187
2. 소망의 공동체와 변화 194
3. 현재 일어나는 변화 197
4. 결론: 대항문화로서의 교회 219

제5장 칭의와 공동체의 연합 221
- 로마서와 갈라디아서에서 이야기하는 예수의 죽으심과 하나님의 백성
1. 유대 문헌에서의 죄와 칭의 224
2. 갈라디아서에서 이야기하는 칭의와 교회론 226
3. 로마서에서 이야기하는 칭의와 교회론 233
4. 결론: 칭의와 교회의 연합 259

제6장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에 대한 고찰 261
- 바울에 따른 복음 전도와 사회적 행동
1. 바울의 선교 264
2. 세상을 향한 교회의 선교 271
3. 바울 서신에서 이야기하는 교회와 세상 284
4. 결론: 바울과 교회의 선교 298

제7장 보편교회로서의 지역교회 301
- 바울에 따른 코이노니아(koinonia)의 의미
1. 로마 제국과 회당 305
2. 바울의 선교에 나타난 교회의 연합 307
3. 유대인교회와 이방인교회 312
4. 결론: 교회들 간의 코이노니아(koinonia), 어제와 오늘 337

제8장 진정한 메가처치(Megachurch) 발견하기 339
- 바울의 후기 서신에서 이야기하는 우주적 교회와 가정교회
1. 에베소서와 골로새서에서 이야기하는 우주적 교회 341
2. 목회 서신에서 이야기하는 가정교회 364

제9장 구별된 공동체를 위한 구별된 리더십 374
- 바울의 초기 서신에서 이야기하는 권위와 사역
1. 고린도에서 일어났던 지도자들 간의 경쟁 375
2. 지도자 바울 377
3. 바울의 부재중에도 계속된 그의 권위와 사역 387
4. 결론: 이야기로 형성된 리더십 407

결론 기독교 제국주의 이후의 교회 410
1. 오늘날의 교회론적 모델 411
2. 바울의 교회론적 비전의 결과 417
참고 문헌 418
주제 색인 441


저자소개

제임스 W. 톰슨
후기 기독교 분위기인 이 시대에 교회는 무엇을 해야 하고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 속에서 사라진 목소리들 중 하나가 바울의 목소리이다. 신약 시대의 최고의 교회 개척가이자 확산의 중심이었던 사도 바울 역시 다양한 문제들에 직면했다. 제임스 W. 톰슨(James W. Thompson)은 바로 이 부분을 파고 들어, 이 시대에 정말로 필요한 것은 사도 바울이 외친 참된 교회라고 주장한다. 어쩌면 톰슨이 제시하는 바울의 교회관이 이 시대의 모든 교회론에 대한 좋은 잣대가 될 수 있지 않을까?
Abilene Christian University를 졸업(B.A., M.A.)한 후, Vanderbilt University에서 철학박사(Ph.D.) 학위를, 뉴욕에 위치한 Uni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성서학박사(B.D.)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는 Abilene Christian University의 신학대학원 부학장이자 신약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Restoration Quarterly 편집자이다. 저서로는 The Church in Exile: God's Counterculture in a Non-Christian World(2011), Moral Formation according to Paul: The Context and Coherence of Pauline Ethics(2011), 그리고 Pastoral Ministry according to Paul: A Biblical Vision(2006)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