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하나님의, 하나님과 함께한, 하나님을 위한 한국 교회
이 책은 신학도들과 목회자들, 교회지도자들 뿐만 아니라 인문사회학을 공부하는 학도들에게도 초점을 맞추었다. 기독교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시대 요구의 메커니즘을 이해할 수 있고, 기독교 복음의 진수를 이해해야 한국 교회를 향한 몰이해적 비판도 멈출 수 있다고 보았다.
저자가 신봉하는 19세기 영미복음주의는 ‘구원’, ‘성령’, ‘교회’의 삼각 축을 갖고 있다. 복음은 성령의 도움을 받아, 그리고 교회를 통해 복음의 목적, 곧 구원이 실현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기독교 복음은 한국 내부의 시각으로만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복음은 그 범위를 넘어서기 때문이다. 그래야 한국 기독교의 역사가 온전히 보일 것이다.


차례

발문
저자 서문



기독교 공식 선교 이전의 시대적 서설(序說)

1부 근대와의 충돌
1장. 조선과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충돌
2장. 근대문명과의 충돌-제너럴셔먼호 사건, 신미양요

2부 기독교 선교의 필연적인 조건과 그 시작
1장. 근대국가 구축의 이데올로기
2장. 새로운 근대사상 정립의 시도-신앙 영역에 대한 거부
3장. 이수정에 대한 배척



선교의 시대

1부 기독교 선교의 호기(好期)-합법적 선교의 시작
1장. 미 북감리교회의 조선 선교 시작
2장. 미 북장로교회의 조선 선교 시작
3장. 선구자 맥클래이(Robert S. Maclay)
4장. 만주의 스코틀랜드 선교사들을 통한 복음 전파
5장. 기독교 선교사들의 입국
6장. 의료와 교육 선교-복음 전파의 교두보
7장. 기독교 병원-선교신학의 분리
8장. 기독교 학교-복음적 목표와의 괴리 확인
9장. 의료·교육 선교의 확장-Pros와 Cons
10장. 교회의 공식적 시작-서울유니온교회, 벧엘교회, 정동장로교회의 출발
11장. 내륙(內陸)으로의 선교지 확보 모색
12장. 여러 교파의 조선 선교
13장. 선교지 분할과 예양의 문제
14장. 선교방식-복음 전도의 선교방식
15장. 기독교 선교사들과 정치와의 관계

2부 복음의 분화와 기독교 기호계 민족주의의 발흥
1장. 이승만과 한성감옥의 입교자들
2장. 황성기독교청년회(皇城基督敎靑年會, YMCA)의 창설과 그 전개
3장 복음 분화의 사회학-시대적 이유, 계급·계층적 이유,지역적 이유



한국 교회 시대의 도래

1부 시대적 상황과 한국 기독교의 대처 방식
1장. 시대적 상황-러일전쟁과 을사늑약
2장. 대응과 대처 방식의 분화

2부 1907년 영적 대각성 운동-역사의 필연
1장. 영적 대각성 운동의 토대
2장. 평양대각성운동
3장. 백만인구령운동(Evangelizing a Million Korea Homes)
4장. 한국 장로교회 정치제도의 수립-복음주의 신학의 전통 확인
5장. 1907년 평양대각성 운동의 해석학
6장. 동양선교회(Oriental Missionary Society)의 한국 선교 시작

3부 기독교와 민족운동
1장. 105인 사건
2장. ‘개정사립학교 규칙’과 ‘포교 규칙’ 공포
3장. 3·1운동
4장. 기독교와 상해임시정부

4부 기독교와 1920년대-분리와 분열의 시대
1장. 문화정치와 시대적 시련-한국 사회 분열 획책
2장. 기독교 민족주의계간의 격렬한 분열과 대립
3장. 한국 기독교의 분리와 분열
4장. 한국 교회의 분열-시대 상황 대처에 대한 이견, 지역적·신학적 갈등

5부 기독교와 공산사회주의
1장. 반기독교 운동과 공산사회주의의 기독교회 공격
2장. 공산주의에 대한 역사적 경험-신간회와 만주에서의 경험
3장. 기독교계의 반응과 대응
4장. 기독교 농촌 운동
5장. 교회부흥운동과 부흥회

6부 한국 감리교회의 형성과 한국 교회의 전향
1장 남북감리교회의 합동-사회복음주의로의 이향 선언과 미국 교회 지향 확인
2장 일본의 기독교 박해와 한국 기독교의 전향

색인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명구
김명구 교수는 2003년, 월남 이상재 연구로 연세대학교에서 신학박사(Ph.D.) 학위를 취득했다. 감리교 목사로 현재 연세대학교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YMCA 병설 월남시민문화연구소 소장, 해위 민주주의연구원 운영위원으로 학문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다. 선교사에 대한 꿈을 여전히 갖고 있고 현재 감리교회 산하 한국선교전략연구소 부소장으로 선교사 후보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월남 이상재의 기독교 사회운동과 사상』(2003년, 시민문화), 『창천교회 100년사』(공저), 『서울장신 50년사』, 『소죽 강신명 목사』(2009년, 서울장신대학교출판부), 『해위 윤보선-생애와 사상』, 『YMCA 운동사 100-110』(2004년, 월남시민문화연구소),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100년사』(공저, 2015년, 동연), 『윤보선과 1960년대 한국 정치』(공저, 2015년, 한국학중앙연구원), 『내한선교사 연구』(공저, 2016년, 대한기독교서회), 『해방공간과 기독교 I』(공저, 2017년, 선인), 『복음, 성령, 교회-재한선교사들 연구』(2017년, 예영커뮤니케이션) 등 십여 편에 이른다. 2013년, 영국 에딘버러대학(The University of Edinburgh)은 그의 영어 논문 Nationalism, Religion and Democracy를 책으로 출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