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NAC 레위기』는 고대 이스라엘 희생 제사의 상징성과 기능을 면밀히 탐구하여, 고대 이스라엘의 맥락에서 동시에 기독교 관점에서 레위기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독자들을 안내한다. 또한 비평적 이슈들에 맞서 레위기의 모세 저작권을 주장한다.


[시리즈 소개]

성경을 분명하게 이해하고 힘 있게 선포하도록 돕기 위해 기획된 뉴아메리칸 주석(NAC)은 끝없이 변화하는 이 시대의 다양한 도전 가운데 하나님의 복음을 바르게 이해하고 적용하도록 돕는다. 성경 각 권의 신학적 구조와 내용을 전달하고 각 부분의 상호 작용을 다룸으로써 성경의 역사적 의미와 현대적 의미를 모두 밝히는 이 주석 시리즈는 성경 각 권 및 전체의 신학적 통일성을 밝히며, 목사와 신학자 및 모든 성도가 그리스도의 온전한 몸으로 세워지도록 돕기 위해 학문적 주해를 바탕으로 하는 실천적 해설을 제공한다.

뉴아메리칸 주석은 성경 말씀의 권위를 인정하는 그리스도인을 위한 책으로서, 복음주의 신학자들이 심혈을 기울인 신학 저술로 대표되며, 설교와 성경 공부를 준비하는 데 적합하다. 성경의 무오성을 바탕으로 성경 각 권의 고유한 신학 및 주해의 문제를 다루는 이 주석 시리즈는, 신학적 뿌리가 깊고 성숙한 신앙을 지닌 교회를 세우도록 이끌 것이다.


차례

한국어판 서문
시리즈 서문
저자 서문
약어 소개

서론
1. 명칭
2. 저작 시기 및 저자: 문서설
3. 저작 시기 및 저자: 문서설 비판
4. 연대 및 저자: 성경의 증거
5. 문학적, 언약적 문맥
6. 레위기 해석
7. 레위기의 구조
8. 레위기의 신학
9. 율법과 그리스도인
10. 성경신학의 레위기
11. 레위기 본문

I. 제물 및 제사와 관련된 법 (1:1~7:38)
1. 하나님이 제사 제도를 지시하심 (1:1~2)
2. 번제 (1:3~17)
3. 소제 (2:1~16)
4. 화목제 (3:1~17)
5. 속죄제 (4:1~5:13)
6. 속건제 (5:14~6:7 [MT 5:26])
7. 제물의 처리 (6:8 [MT 6:1]~7:36)
8. 요약 (7:37~38)

II. 제사장 위임식 (8:1~10:20)
1. 아론과 그 아들들의 취임 (8:1~36)
2. 제사장들이 사역을 시작함 (9:1~24)
3. 이스라엘 종교의 제사장 역할 (10:1~20)
4. 결론 199

III. 정결법 (11:1~15:33)
1. 정결한 짐승과 부정한 짐승 (11:1~47)
2. 출산 후의 정결 (12:1~8)
3. 피부병과 색점 (13:1~14:57)
4. 신체적 유출 (15:1~33)
5. 정결법에 대한 결론

IV. 속죄일 (16:1~34)
1. 속죄일에 대한 일반 규정 (16:1~10)
2. 성소에서 대제사장이 드리는 제사 (16:11~14)
3. 성막 정화 (16:15~19)
4. 아사셀 염소 (16:20~22)
5. 아사셀 염소를 보낸 후의 절차 (16:23~28)
6. 영원한 규례가 되어야 할 속죄일 (16:29~34)
7. 속죄일에 대한 결론

V. 성결법 (17:1~26:46)
1. 희생 제물 및 피에 대한 규정 (17:1~16)
2. 성적 금지 사항 (18:1~30)
3. 거룩한 생활 방식 (19:1~37)
4. 거룩함을 위반한 것에 대한 형벌 (20:1~27)
5. 제사장들에 대한 규례 (21:1~22:33)
6. 절기 제정 (23:1~44)
7. 기름, 진설병, 성소 (24:1~9)
8. 신성 모독자를 돌로 침 (24:10~23)
9. 안식년과 희년 (25:1~55)
10. 복과 저주 (26:1~46)

VI. 서원과 십일조 (27:1~34)
1. 서원 규례 (27:1~29)
2. 십일조 규례 (27:30~33)
3. 결론
4. 레위기의 결론 (27:34)
참고문헌


저자소개

마크 루커
(Mark F. Rooker)
브랜다이스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Ph. D.)를 받았으며, 현재 사우스이스턴 침례 신학교에서 구약학과 히브리어를 가르치고 있다. 에스겔서의 언어를 다룬 책을 집필했으며, 구약의 해석 및 구약 성경 언어의 연대 결정에 대한 다수의 논문을 기고했다. 성경 번역가이자 『홀먼 크리스천 스탠더드 바이블』(Holman Christian Standard Bible)의 모세오경 편집자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