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팀 켈러의 센터처치 3

센터처치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돕는
팀 체스터의 논평과 팀 켈러의 답변!

도시, 문화, 교회, 그리고 성경을 기반으로 한, 30년 동안의
성공적 사역에 기초를 둔 탁월한 목회 코칭



한 사람의 교리적 믿음과 사역 방법들 사이에는, 특정 문화적 상황과 역사적 순간 속으로 복음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 잘 정립한 비전이 있어야 한다. 이것은 단순한 교리적 신념보다 훨씬 더 실천적인 것이며, 사역을 위한 ‘이렇게 하라’는 식의 방법론보다 훨씬 더 신학적이다. 일단 이 비전이 서있고, 바르게 강조되고, 가치가 부여되면, 교회 지도자들(도심에 있든, 주택가에 있든, 시골에 있든 간에)이 예배, 훈련, 전도, 봉사, 사회참여 등에서 적절한 결정을 내리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된다.

팀 켈러는 이 책에서 교회 사명의 본질을 살피며 각각의 그리스도인이 세상에서 하는 일과 사명의 관련성을 살펴보려 한다. 그는 ‘선교적 교회’가 되는 것이 오늘날 어떤 의미이며 또 교회들이 어떻게 실질적으로 사람들을 구비하여 선교적 삶을 살아가도록 도울 수 있는지 제시한다. 교회들은 의도적으로 통합적인 사역을 만들어야 하며, 사람들을 하나님께, 각 사람에게, 각각의 도시에, 그리고 우리 주변의 문화에 연결해야 한다.

*센터처치 시리즈 소개

팀 켈러 30년 목회의 집대성,
센터처치가 새로운 버전으로 탄생되다

이 시리즈는 《팀 켈러의 센터처치》(2016년 출간)를 복음 중심, 도시 중심, 운동 중심이라는 세 중심 주제로 분권한 것에 권위 있는 교계 지도자들의 논의를 추가한 것이다. 즉 마이클 호튼을 비롯한 교계 유력 학자들이 《팀 켈러의 센터처치》 내용에 제기한 반론과 평론, 그리고 거기에 대한 팀 켈러의 답변을 실었다. 각각의 논의는 《팀 켈러의 센터처치》의 중심 주제들을 더 심도 깊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차례

이 책을 향한 찬사들
프롤로그
《센터처치》 시리즈를 내놓으며
역자의 글

Part 1
{선교적 교회} 교회는 선교적 공동체다
1. 선교적 교회 운동의 흐름
2. 선교적 교회 운동의 중심잡기
3. 모든 성도들을 선교사로 세우는 사역
‘선교적 공동체’에 대한 논평(팀 체스터)
팀 체스터에 대한 답변(팀 켈러)

Part 2
{통합적 사역} 통합적인 사역을 추구하라
4. 사역 영역들의 균형
5. 하나님을 만나도록 연결하라
6. 공동체를 만나도록 연결하라
7. 지역 사회를 만나도록 연결하라
8. 일터를 만나도록 연결하라
‘통합적 사역’에 대한 논평 (다니엘 몽고메리 & 마이크 코스퍼)
다니엘 몽고메리 & 마이크 코스퍼에 대한 답변(팀 켈러)


Part 3
{운동 역동성} 하나님 나라의 운동에 참여하라
9. 교회, 운동인가 제도인가?
10. 교회는 조직화된 유기체다
11. 운동 역동성이 나타나는 교회 개척 사역
12. 도시 속에 복음의 생태계를 만들라
‘운동 역동성’에 대한 논평(앨런 허쉬)
앨런 허쉬에 대한 답변(팀 켈러)



기고자들에 대하여
《센터처치》 시리즈 소개


저자소개

팀 켈러
맨해튼을 비롯해, 미국 뉴욕 세 군데 지역에서 약 6천 명의 성도들이 예배드리는 리디머교회(Redeemer Presbyterian Church)의 설립 목사이다. 팀 켈러의 설교는 철저히 예수 복음 중심이며, 따뜻하면서도 예리한 지성으로 이 시대를 통찰력 있게 읽어 준다. 그래서 신실한 그리스도인뿐 아니라, 구도자와 회의론자들에게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삶의 모든 현장이 복음에 깊이 뿌리박히는 데 집중하는 설교는, 교인들을 “맨해튼에서 가장 활력 넘치는 회중”으로 변모하게 했다. 나아가 지역을 넘어 매주 3만여 명 이상이 교회 웹사이트를 통해 그의 설교를 듣고 있다.
또한 팀 켈러는 한 시대의 문화와 사상이 만들어지고 집약되는 ‘도시 지역’ 선교에 헌신했다. 실제로 지금까지 전 세계 100개 이상 도시에 430개 교회의 개척을 도왔다. 한편 〈뉴스위크〉에서 “21세기의 C. S. 루이스”라는 찬사를 받을 만큼 변증가로서도 영향력 있는 행보를 보인다.
펜실베이니아주에서 태어나 자랐고, 버크넬대학교(Bucknell University), 고든콘웰신학교(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 웨스트민스터신학교(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에서 수학했다. 대학 시절 IVF 활동을 통해 복음을 받아들였고, 신학교를 갓 졸업한 스물네 살의 나이에 버지니아 웨스트호프웰교회에서 사역을 시작했다. 1984년부터는 5년간 모교인 웨스트민스터신학교 강단에서 설교학을 가르치기도 했다.
저서로는 《팀 켈러의 답이 되는 기독교》, 《팀 켈러의 예수, 예수》, 《팀 켈러, 하나님을 말하다》, 《팀 켈러의 내가 만든 신》, 《팀 켈러의 묵상》, 《팀 켈러의 설교》, 《팀 켈러의 탕부 하나님》, 《팀 켈러의 센터처치》, 《팀 켈러의 기도》, 《팀 켈러의 일과 영성》, 《팀 켈러, 결혼을 말하다》, 《팀 켈러의 왕의 십자가》, 《팀 켈러의 정의란 무엇인가》, 《당신을 위한 로마서 1, 2》, 《당신을 위한 사사기》(이상 두란노)가 있다.
www.redeemer.com www.timothykell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