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전도 중심의 전통교회 모습에 문제를 느낀 저자는 섬김을 통해 전달되는 복음에 능력이 있음을 주장한다. 이 책은 교회 본질 회복을 위해 우리가 실천하고 알아야 하는 사실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했다. 이와 함께 저자가 목회하면서 형성하고 진행했던 '전도 소그룹 운동'을 본보기로 제시하고 있으며, 전통교회의 성장과 부흥 더불어 건강한 회복에 관심이 있는 성도들에게 길잡이가 되어 줄 것이다.


차례

감사의 글

서 론

1장 상황과 도전
1. 한국 전통교회의 상황
1) 신뢰성과 사회적 공신력 추락
2) 신자 수의 급격한 감소
3) 교회학교의 급격한 감소
2. 지역적 상황
1) 역사적 상황
2) 현재적 상황
3) 종교적 상황
3. 교회적 상황
4. 이상적 상황
5. 장애 요인
6. 도전 및 과제

2장 이론적 기초
1. 포스트모던 상황
1)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전환
2) 탈권위주의
2. 교회론에 근거한 교회의 본질과 사명
1) 교회의 본질
2) 개혁교회의 교회론
3) 레슬리 뉴비긴의 선교적 교회론
3. 한국적 전통교회
1) 전통교회의 특징
2) 한국적 전통교회의 한계
4. 설교 유형의 변화와 시대적 요청
1) 설교의 역사적인 고찰
2) 새롭게 등장하는 설교 유형
3) 설교가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5. 패러다임의 변화를 요구하는 현대 전도 방식
1) 전도의 배경
2) 한국교회의 전통적인 전도 유형
3) 성장의 한계에 부닥친 전통교회

3장 변화이론
1. 전공 변화이론
1) 에디 깁스와 라이언 볼저의 이머징 교회론
2) 선교적 교회론
2. 구조 변화이론
1) 해빙 단계
2) 변화 단계
3) 재결빙 단계

4장 타개책
1. 전도 공동체를 위한 전도 소그룹 비전 제시
1) 가좌제일교회의 전도 방법과 한계
2) 전도축제에 대한 한계와 극복 방안
3) 전도 소그룹의 정의
4) 가좌제일교회 전도 소그룹의 핵심가치
5) 가좌제일교회 전도 소그룹으로의 전환 전략
6) 전도 소그룹 비전 제시
7) 전도 소그룹의 비전 공유화 과정
2. 설교를 통한 전도 소그룹 비전 제시
1) 가좌제일교회 주일 설교 분석
2) 전도 소그룹 비전 제시를 위한 설교 기획
3) 설교가 가좌제일교회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
4) 교우들의 전도에 대한 인식
5) 전도 소그룹 활성화를 위한 설교 계획
6) 설교 후 전도에 대한 인식의 변화
3. 위원회의 조직과 훈련
1) 위원회 구성
2) 위원회의 비전 수립 교육
3) 위원회의 역할 분담
4) 전도 소그룹의 수립 과정 및 비전 제시
4. 전도 소그룹의 준비 및 계획과 실행
1) 준비
2) 계획
3) 실행
4) 규범화

5장 평가
1. 목회자의 평가
2. 당회원의 평가
3. 위원회의 평가
4. 교우들의 평가

6장 결론
1. 의의
2. 배운 점
3.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1. 설교 이해도와 영향력에 대한 설문지
2. 전도 인식에 대한 1차 설문지
3. 전도 인식에 대한 2차 설문지
4. 전도 소그룹 비전 공유를 위한 주일 설교


저자소개

김명서
호서대학교에서 신학(B.A.)을 공부한 뒤,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과 동 대학원 목회전문대학원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을 마쳤으며(예배설교학 전공) 신학대학원 재학 시절 상당교회 교육전도사로 섬겼고, 이후 천안중앙교회에서 교구와 교육부서 사역을 하며 괄목할 만한 부흥을 경험하였다.
2005년 가좌제일교회 담임목사로 부임 후 지속적으로 교회를 성장케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호서대학교 신학과(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Th.M. in Min.)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박사(Th.D. in Min. 예배설교학 전공)

현) 대전신학대학교 이사

- 저서
《새가족 양육교실》(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