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왜 구속사적 내러티브 설교인가?
사람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읽을 때 지루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의 설교를 듣고 있는 사람들은 하나님이 지루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우리가 단조롭고, 단순하며,일괄적이고, 천편일율적인 접근법으로 설교함으로, 그들이 그렇게 생각하도록 훈련시켰기 때문이다.
이것은 매우 다양한 하나님의 말씀을 잘못 전달한 것이다.
본문의 다양성, 설교 현장과 청중의 다양성, 설교 기회의 다양성 등은 설교자가 다양한 설교형식에 정통하고 또 시도해야 할 것을 요구한다.,
설교에 있어서 형식은 본문의 의미를 살리고, 메시지의 효과적인 전달과 함께 청중에게 들리는 설교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문을 정당하게 다루면서도 청중을 고려하고 청주의 삶에 파고들어 변화에 이르게 하는 효과적인 설교를 위하여 한 가지 획기적인 설교 형식을 벗어나 다양한 설교 형식의 시도가 요구되는 것이다.


차례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 제기
제2절 연구 동기와 연구목적
제3절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

제2장 구속사적 설교에 대한 이해
제1절 구속사적 설교의 정의
1.구속사의 정의
2.구속사적 설교의 정의
제2절 구속사적 설교의 배경과 발전
1.구속사적 설교의 배경
2.구속사적 설교의 발전
제3절 구속사적 설교의 주창자들
1.에드문드 클라우니
2.시드니 그레이다누스
3.브라이언 채팰

제3장 구속사적 설교의 원리와 해석 방법 및 실제요소
제1절 구속사적 설교를 위한 원리
1.역사정
2.통일성
3.점진성
제2절 구속사적 설교를 위한 해석 방법
1.문학적 해석
2.역사적 해석
3.유기적 해석
4.종합적 해석
5.모형(예표)론적 해석
제3절 구속사적 설교의 실제요소
1.하나님 중심-그리스도 중심적 설교
2.본문중심- 주제설교
3.적실성있는 적용적 설교

제4장 룻기 내러티브의 구속사적 이해
제1절 성경적 내러티브 이해
1.내러티브의 정의
2.내러티브의 특징
제2절 룻기 내러티브의 구속사적 이해
1.룻기의 저자
2.룻기의 저작연대
3.룻기의 저작 목적
4.룻기의 위치
5.룻기의 장르
6.룻기의 구조
제3절 룻기 내러티브 해석에 대한 접근법 비교
1.모범적 접근
2.사회, 정치적 접근
3.여성신학.해방신학적 접근
4.비평적 접근
5.구속사적 접근
제4절 룻기 내러티브의 신학
1.하나님의 주권
2.숨겨진 하나님의 손길
3.헤세드
4.고엘
5.포용적 원리

제5장 룻기 내러티브의 장별 본문 연구 및 설교 개요
제1절 본문에서 설교에 이르기까지의 과정
1.설교의 첫째과정: 본문연구
2.설교의 둘째과정: 목적의 다리
3.설교의 셋째과정: 설교작성 및 전달
제2절 룻기1장 본문 연구 및 설교 개요
1.설교의 첫째과정: 본문연구
2.설교의 둘째과정: 목적의 다리
3.설교의 셋째과정: 설교의 main idea 및 개요 작성
제3절 룻기2장 본문 연구 및 설교 개요
1.설교의 첫째과정: 본문연구
2.설교의 둘째과정: 목적의 다리
3.설교의 셋째과정: 설교의 main idea 및 개요 작성
제4절 룻기 3장 본문 연구 및 설교 개요
1.설교의 첫째과정: 본문연구
2.설교의 둘째과정: 목적의 다리
3.설교의 셋째과정: 설교의 main idea 및 개요 작성
제5절 룻기 4장 본문 연구 및 설교 개요1.설교의 첫째과정: 본문연구
2.설교의 둘째과정: 목적의 다리
3.설교의 셋째과정: 설교의 main idea 및 개요 작성

제6장 내러티브 본문에 대한 다양한 설교 형식
제1절 설교 형식에 대한 이해
1.설교에 있어서 형식의 중요성
2.형식에 대한 정의
3.다양한 형식의 필요성
4.내러티브 본문의 형식
제2절 연역적 설교 형식
1.연역적 형식의 특징
2.연역적 형식의 구조
3.연역적 형식의 장,단점
4.연역적 형식의 설교 실례
제3절 귀납적 설교 형식
1.귀납적 형식의 특징
2.귀납적 형식의 구조
3.귀납적 형식의 장.단점
4.귀납적 형식의 설교 실례
제4절 내러티브 설교 형식
1.내러티브 형식의 특징
2.내러티브 형식의 구조
3.내러티브 형식의 장.단점
4.귀납적 형식의 설교 시례
제5절 1인칭 내러티브 설교 형식
1.1인칭 내러티브 형식의 특징
2.1인칭 내러티브 형식의 구조
3.1인칭 내러티브 형식의 장.단점
4.1인칭 내러티브 형식의 설교 실례
제6절 네 페이지 설교 형식
1.네 페이지 형식의 특징
2.네 페이지 형식의 구조
3.네 페이지 형식의 장.단점
4.네 페이지 형식의 설교 실례
제7절 -연역의 통합적 설교 형식
1.귀납-연역의 통합적 형식의 특징
2.귀잡-연역의 통합적 형식의 구조
3.귀납-연역의 통합적 형식의 장,.단점
4.귀납-연역의 통합적 형식의 설교 실례

제7장 결론(요약 및 제언)
제1절 요약
제2절 제언


저자소개

이우제 
백석대학교에서 설교학을 가르치는 이우제교수는 숭실대학교(B.A)와 안양대학교(Th.B)에서 각각 영문학과 신학을 전공하고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했다. 또한 캐나다 Tyndale College and Seminary(Diploma) 과정을 이수하였고,  미국 Calvin Theological Seminary(Th.M, 설교학 전공)남아공 University of Stellenbosch에서 신학 박사(Th.D)학위를 받았다.  현재 백석대학교 기독교학부 교수 및 실천신학대학원 원장으로 재직중이다.
박사학위 논문 제목은 “프레드 크래독과 유진 로우리의 청중 중심적인 설교 이론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이다.  또한 저서로는 『테마가 있는 설교』(도서출판 대서)와 『3인 3색 설교학 특강』(두란노)과 다수의 번역서가 있다.

박영식
박영식 목사는 이우제 교수의 제자로서 성결대학교와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에서 설교학을 전공으로 신학 박사(Ph.D)학위를 받았다.  그는 현재 강화성산성결교회의 담임목사로 행복한 목회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