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크리스텐덤”(Christendom; 기독교세계)은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가 기독교에 대한 제국적 차원의 관용을 선포하는 밀라노 칙령을 발표했던 4세기 이후부터 서구 사회를 지배했던 종교 문화를 가리키는 용어다. 대다수 서구 국가의 역사에는 기독교가 사실상 제국의 공식 종교로서 정치권력의 핵심부에 자리했던 시절이 있었으며 그런 상황에서는 교회가 문화를 주도하고 사회의 주요한 도덕적 구조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했었다. 기독교는 공식적으로 국가의 일부였고 시민들은 국가교회에서 세례를 받았으며, 그들이 그 나라의 시민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들은 그리스도인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계몽주의 시대, 혹은 “이성의 시대”라고 불렸던 17-8세기에 이르러 크리스텐덤의 기반들이 붕괴하기 시작했으며, 20기에 이르러서는 국가적 부의 증대와 더불어 “세속화”의 물결이 서구 세계 전체를 휩쓸었고, 기독교는 국가와 사회의 주변부로 밀려나고 말았다. 교회가 새로운 형태의 “바빌론 유배기”를 맞이하게 된 것이다.
오늘날 기독교 신앙은 자신의 정당성을 일상생활과 공적 사회에서 입증하고 정당화시켜야 할 도전에 직면해 있다. 기독교 신앙을 후원했던 콘스탄티누스적인 국가권력의 후원은커녕 주류문화의 지지도 받지 못한 채 기독교회는 바빌론 제국 한 복판에 내던져져 있다. 기독교 신앙이 붙드는 진리 그 자체의 힘으로 상대주의와 허무주의와 세속주의 한 복판에서 자기 존재의 사명을 증언하고 스스로 그 사명의 정당성을 확신해야 한다. 저자는 국가권력의 비호 아래 있었던 콘스탄티누스 황제 치하의 교회보다는 유배 상황에 처한 교회가 교회의 본 모습에 더 가깝다고 확신한다. 유배라는 현실은 위기가 아니라 교회의 본래적이 모습이며, 기독교 신앙과 교회의 교회다움을 회복할 수 있는 역설적인 기회라는 것이다. 마치 예레미야가 가나안 땅을 잃고 이산과 유랑의 운명에 내던져진 바빌론 포로들에게 새 이스라엘의 싹이 자란다고 보았던 것처럼, 저자는 기독교 신앙이 더 이상 대세적 진리요 공리처럼 받아들여지지 않는 크리스텐덤 이후 시대야말로 기독교 신앙의 생명력이 배가될 수 있는 기회라고 진단한다.
제1부 “유배 신학”에서 저자는 구약성서의 에스더, 다니엘, 요나서와 복음서에 나타난 예수의 가르침, 그리고 베드로의 서신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배”가 지상 교회의 본 모습이며 예수야말로 유배의 진정한 모델이라고 설파한다. 예수는 자신의 가르침과 행동을 통해 구약성서의 유배 모티브를 이스라엘의 “회복”과 연결시켜준다는 것이다. 베드로전서는 유배의 현실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신학적 정체성을 제공하는 한편 그들이 유배자로서 보여주어야 할 삶의 모범을 제시하고 있다.
제2부 “유배지에서의 실천”에서는 오늘날의 그리스도인들이 유배자로서 그리스도인의 거룩함을 잃지 않고 어떻게 세속 문화에 참여할 수 있는지, 그리고 유배적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선교적 교회를 세워가는 데 유익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고 있으며, 결론적으로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본향이 아니라 유배지임을 인식하고 진정한 본향을 소망하고 기대하는 희망적 소멸(hopeful demise)에 대한 비전을 가질 것을 촉구한다.
본서를 통해 독자는 현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이 자신의 참된 위치, 즉 중심에서 밀려나 주변부에서 살아가는 백성이라는 위치를 기꺼이 수용하면서 유배야말로 교회가 문화적 동화(assimilation)에 맞서기 위해 의지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모티브임을 깨닫게 될 것이다. 특별히 교회에 대한 혐오와 불신의 파고에 휩쓸려 급격히 소수화 되어가고 있는 한국교회의 현실에서, 가나안 신자라는 냉소적 언어가 아닌 나그네와 순례자로서의 교회의 참 정체성을 되찾기를 원하는 독자들에게 이 책은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차례

감사의 글 13
서문(월터 브루그만) 17

서론: 후기 크리스텐덤 세계에서의 유배와 삶 21

1부 유배 신학 41
1장 오늘의 교회를 위한 모티브로서의 유배 43
2장 구약성서에 나타난 유배 69
3장 에스더서: 유배된 자들을 위한 조언 97
4장 다니엘서: 유배된 자들을 위한 조언 117
5장 요나서: 유배된 자들을 위한 조언? 135
6장 예수와 초기 교회의 유배 153
7장 베드로전서에 나타난 유배기의 지혜 177

2부 유배지에서의 실천 201
8장 유배된 교회 이끌기: 희망 만들기 203
9장 유배된 자들처럼 생각하기: 대응 신학 227
10장 거룩함: 유배기의 정체성 253
11장 유배기의 선교: 유배된 자들로서 문화에 참여하기 289
12장 회복에 대한 희망: 유배자들을 위한 새로운 고향 313

결론: 교회 회심시키기 337

저자 색인 345
성구 색인 347


저자소개

리 비치
Lee Beach
캐나다 온타리오 소재 맥마스터 신학교에서 목회학을 가르친다. 캐나다의 CMA 교단(Christian and Missionary Alliance)에 서 20년 넘게 사역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