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사회 문화적으로 남북한이 통합을 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우리가 관심을 갖고 있는 “효”는 남북한이 공유하는 문화적 통합체라는 점이다. 효가 남북 통합의 매개체인 것은 남북한 사회가 공히 효를 중시하기 때문이다. 우선 북한에서는 이미 주체사상에서 살펴보았듯이 지배 이데올로기로서 북한 주민의주요한 세계관으로서 효가 자리 잡고 있다. 남한 사회 역시 효가 주요한 삶의 가치 기준으로 자기 매김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남한과 북한은 공히 효에 대한 관심이 높은 사회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남북한의 효에 대한 높은 관심을 기반으로 남북한의 사회적 문화적 통합 논리를 개발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그렇다면 기존의 유교적-봉건적 효체계의 충효사상을 대체할 새로운 효체계는 무엇인가? 바로 보편화 가능성의 효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초를 제공하는 기독교 효체계가 내포하고 있는 효복사상이다.


차례

서문 남북한평화신학연구소 연구총서를 내며
추천의 글 분단을 넘어 상생과 평화로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방법

Ⅱ 분석틀로서 보편화 가능성의 효체계
1. 보편화 가능성의 효체계 연원
2. 보편화 가능성의 효체계의 구성 요소

Ⅲ 주체사상의 효에 의한 북한의 정체성 구축

Ⅳ 북한 주체사상의 효에 의한 통합성 구축
1. 정치공동체의식에 의한 체계 통합성
2. 주체사상의 통합성에 의한 북한 체꺠의 존속 분석

Ⅴ 주체사상에 내재된 효 분석
1. 북한 정치체계가 효를 필요로 한 이유
2. 주체사상의 효 체계

Ⅵ 보편화 가능성의 효체계에 의한 주체사상의 효 분석
1. 순종의 효원리에 의한 주체사상의 효 분석
2. 친애의 효원리에 의한 주체사상의 효 분석
3. 존속의 효원리에 의한 주체사상의 효 분석
4. 대리의 효원리에 의한 주체사상의 효 분석

Ⅶ 기독교 효 원리에 의한 남북통일의 정체성과 통합성
1. 이데올로기에 의한 남북체계의 정체성과 통합성 구축
2. 남북통일을 위한 정체성 구축
3. 남북통일을 위한 통합성 구축과 효

Ⅷ 결론

남북한평화신학연구소 설립 취지 및 사업계획
남북한평화신학연구소 연구지원 사업 공고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생 논문 공모



저자소개

박철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교육학 박사)
장로회신학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교육학 석사)
현)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부총장
현) 한국효학회 편집위원장


<저서>
『세계의 효』,『효 윤리학』,『체계론에 의한 성경연구(성경적 효와 관련)』,『기독교도덕형성체계연구』,『민주주의와 다문화교육』,『효학의 이론과 실천』(2011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기독교 효학의 이론과 실천』


<공저>
『기독교 윤리학 개론』,『초등학교 효 교육 길라잡이』,『중고등학교 효 교육 길라잡이』,『효교실』,『현대이데올로기』(공역),『성경 속의 일곱가족』(번역),『기독교 윤리학 개론』(대한기독교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