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북한의 주체사회주의는 내용적으로는 민족을 최고의 자리에 올려놓았으나 민족의 대표단수로 수령을 내세움으로써, 형식적으로는 개인의 카리스마를 지고의 자리에 올려놓고 있으며, 수령을 통하여 정치, 경제, 사회적인 통합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영원한 생명까지도 희구하는 유사종교로서, 그 사상의 핵심이 수령관과 영생관이라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북한의 주체사상은 기독교적인 입장에서 볼 때 하나의 우상숭배로 볼 수 있다.


차례

서문 남북한 평화 신학연구소 연구총서를 내며 - 김영동
추천의 글 통일 후 북한선교와 관련하여 - 이철신

Ⅰ 서론

Ⅱ 주체사상의 형성과 종교
1. 주체사상과 선행 세계관
2. 주체사상의 확립 과정

Ⅲ 주체사상의 교리화 과정
1. 영생의 부여자, 수령
2. ‘민족’의 복권
3. 민족의 시조, 수령
4. 수령관의 완결
5. 수령숭배의 제도화

Ⅳ 주체사상의 종교적 차원 분석
1. 교리와 경험
2. 신화와 의례
3. 공동체와 윤리

Ⅴ. 북한 국가종교 비판과 선교를 위한 제언
1. 북한의 국가종교 비판
2. 선교를 위한 제언

남북한평화신학연구소 설립취지 및 사업계획
남북한평화신학연구소 연구지원 사업 공고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생 논문 공고


저자소개

정대일

부산대학교 철학과 졸업
한신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졸업(Th. M)
한국학중앙연구원(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종교학과 졸업(Ph. D)


전) 탈북청소년 대안학교 셋넷학교 상근교사
전) 대화문화아카데미(구, 크리스찬 아카데미)연구원
전) 한신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강사
현) 한국기독교장로회 낙산교회 전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