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 글이 지니는 가장 중요한 의의는 남북한 평화통일을 위하여 기존에 제시된 신학적인 논의들을 일별하면서 그것들을 신-중심적(Theo-centric)유형, 그리스도-중심적(Christo-Centric)유형, 성령-중심적(Pneuma-centric)유형으로 분류한 것이며, 동시에 각 유형이 지니는 장점과 한계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되 앞으로 남북한 평화통일을 위한 신학적 논의들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기 위한 논의의 틀로서 삼위일체 중심적(Trinity-centric) 유형의 평화통일 신학을 제안하고 모색하는 것이다. 남북한의 평화통일을 위해 시도되었던 기존의 신학적인 논의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삼위일체저거 평화통일 신학의 모색을 위한 몇 가지 제안들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도 이 글은 큰 중요성을 지닌다.
아울러, 이 글이 지니는 또 다른 중요한 의의는, 기존에 남북한 평화통일을 위하여 제시된 신학적 논의들이 보수적 교회와 진보적 교회 사이의 신학성향 차이로 인하여 노정하여 왔떤 신학적인 분열과 갈등을 총체적으로 포괄할 수 있는 신학적인 통합의 틀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차례

서문 남북한평화신학연구소 연구총서를 내며
추천의 글 삼위일체의 원리로 평화통일을

Ⅰ 서론
1. 목적
2. 연구방법
3. 순서 및 개요
4. 중요성

Ⅱ 평화통일을 위한 기존의 신학적 논의들
1. 역사신학 분야
2. 성서신학 분야
3. 기독교윤리학 분야
4. 선교신학 분야
5. 조직신학 분야
6. 종합

Ⅲ 삼위일체 하나님
1. 우리가 믿는 하나님은 삼위일체 하나님
2. 삼위일체론의 핵심
3. 삼위일체론의 특징
4. 삼위일체론의 함의
1) 삼위일체 하나님과 신앙활동
2) 삼위일체 하나님과 성경해석
3) 삼위일체 하나님과 삶의 고통

Ⅳ 삼위일체 하나님과 사회
1. 삼위일체 하나님과 사회/세계/우주
2. 깔뱅-삼위일체 하나님의 공동성과 개방성의 원리
1)삼위일체 하나님의 공동성의 원리
2)공동성의 원리와 하나님의 사역들
3)삼위일체 하나님의 개방성의 원리
3. 모리스-사회의 토대로서의 삼위일체 하나님
1)모리스의 사회도덕(social morality)
2)모리스의 삼위일체론의 특징
3)사회도덕의 토대로서의 삼위일체 하나님
4)모리스의 역설(paradox)과 해결책
4. 보프의 삼위일체 하나님의 페리코레시스
1)보프의 페리코레시스
2)삼위일체 하나님과 사회

Ⅴ 삼위일체적 평화통일 신학을 위한 제언들
1. 삼위일체 하나님의 공동성
2. 삼위일체 하나님의 개방성
3. 삼위일체 하나님의 페리코레시스
4. 앞으로의 과제

Ⅵ 참고문헌


저자소개

백충현

현 장로회신학대학교 학술연구교수, 조직신학

-서울대학교(B.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Div.)
-프린스턴신학교(Th.M.)
-예일대학교 신학대학원(S.T.M)
-버클리 연합신학대학원(GTU)에서 조직신학 전공 철학박사 학위 취득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조직신학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


주요 저서로는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와의 관계에 관한 현대 신학자들의 논의를 존재론고과 인식론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7가지 입장으로 정리한 The Holy Trinity : God for God and God for Us (Eugene : Wipf & Stock Publishers, 2011)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