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개혁주의 전통은 설교의 전통이며, 복음의 부흥을 선도한 여러 설교의 대가들이 공유하고 있는 설교 방법론을 집대성하여 체계화하고 실천적인 유용성까지 갖춘 책이다. 저자의 말대로 이 방법론은 우리에게 낯설거나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를 명확하게 수사기법과 복음 설교자의 사명과 실제적인 고려 사항을 감안하여 정리한 강론이나 저술은 찾아보기 힘들다. 더욱이 편역자가 라틴어 원문을 직접 수차례 회독하고 스스로의 설교에 체득한 다음 원문을 번역한 것에 그치지 않고 이를 ‘해제’를 통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실제 설교화된 사례까지 제시함으로서 누구나 이 짧은 책 하나로 오로지 복음만을 전하는 설교의 정도를 배우게 될 것이다. 이 방법론은 지금도 수많은 교회의 부흥과 뿌리 깊은 믿음의 성도들을 통해 입증되고 있다.


차례

추천사 1 | 김남준 목사(열린교회 담임) 5
추천사 2 | 이승구 박사(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9
추천사 3 | 서창원 박사(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역사신학 교수) 13
추천사 4 | 우병훈 박사(고신대학교 신학과 교의학 교수) 16
추천사 5 | 박태현 박사(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설교학 교수) 17
추천사 6 | 김홍만 박사(Southwestern Reformed Seminary 총장) 21
편역자 서문 24

해제: 마스트리히트의 『개혁주의 표준 설교법』에 대한 고찰: 조나단 에드워즈의 설교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1. 개요 32
2. 『표준 설교법』 개관 35
3. 『표준 설교법』과 키케로의 『수사학』과의 유사점 54
4. 『표준 설교법』과 『신학의 정수』 그리고 『웨스트민스터 예배모범』 60
5. 에드워즈의 설교 양식과 『표준 설교법』의 영향 70
6. 결론 83
7. 참고문헌 89

제1부 서론 및 착상과 배치
제1장 서론 93
제2장 이중적 착상 99
제3장 설교의 배치와 배치의 원리 102

제2부 정교화
제4장 도입에 대한 연구 105
제5장 본문의 집약 110
제6장 본문의 분석과 주해 그리고 그 원리 112
제7장 교리 논증의 5가지 측면 118
제8장 진리 수립을 위한 기술의 원리 129
제9장 반증 기술의 구성 요소와 원리 132
제10장 위안적 적용 136
제11장 훈계적 적용 143
제12장 성찰적 적용 149
제13장 권면적 적용 157

제3부 기타사항 및 설교의 전달
제14장 몇 가지 주의 사항 166
제15장 긴 본문을 다루는 방법 168
제16장 설교의 전달 170
제17장 왜 이것이 최상의 설교법인가? 173

부록
1. 『개혁주의 표준 설교법』 일람표 176
2. 『개혁주의 표준 설교법』에 따른 설교 작성 예시 177
3. 『개혁주의 표준 설교법』 응용 설교문 2편 189


저자소개

페트루스 판 마스트리히트

Petrus van Mastricht(1630-1706)

페트루스 판 마스트리히트는 화란 독립전쟁(Dutch Revolt, 1568-1648) 시기에 쾰른으로 이주한 화란 난민 가정에서 출생하였다. 그는 1647년부터 위트레히트대학교에서 공부하면서 요하네스 호언베이크와 히스벨투스 푸티우스의 가르침을 받았고, 이후 유럽의 몇몇 대학을 순회하면서 공부하였다. 그는 목회 중이던 1669년에 뒤스부르크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동대학교에서 히브리어와 신학을 가르쳤고, 1677년에 푸티우스의 뒤를 이어 위트레히트대학교의 히브리어 및 신학 교수직을 받았다. 마스트리히트는 그의 스승인 푸티우스를 따라서 신학을 본질적으로 실천적인 것으로 보았으나, 스콜라적 신학 방법이 기독교 경건 신학의 실천적 사용에 상반되는 것으로 여기지 않았다. 1706년 2월 9일 소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