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하나님, 성경, 해석학에 대한 삼위일체적 담론
케빈 밴후저, 그의 신학적 밑그림, 신학 방법론을 보여 줄 청사진!
독자들이 헌책방을 수소문해 찾던 비서(秘書)의 귀환!


“밴후저의 책은 의미를 찾고 최근의 신학적 관점을 추구하는 모든 이가 읽어야 한다.”
_그랜트 오스본(트리니티 신학교 신약학 교수)
김길성(총신대), 김진혁(횃불트리니티), 유태화(백석대), 허주(아세아연합신학대) 외 추천

“신학은 ‘해석학적 신학’이 되고, 해석학은 또한 ‘신학적 해석학’이 된다. 신학은 성경과 별개로 하나님을 논할 수 없으며, 또한 성경만을 논하기 위해 그것을 하나님으로부터 이탈시켜서도 안 된다.”_감수자 글 중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은 인격적이며 초월적인 의사소통 행위자이시다. 교회는 그분과의 영광스러운 관계로 부름받아 그분을 송축하며 그분께 영광을 돌린다. 따라서 그리스도의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을 송축하고 영광을 돌린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또 그것을 어떻게 이룰 수 있는지를 진지하게 물어야 한다. 본서는 이를 위해 성경적 신앙과 학문적 치밀함을 바탕에 근거해 기획된 신학 작품이다.


특징
-학문적 깊이와 경건함을 지닌 신학을 보여 준다.
-하나님이 어떤 분인지, 성경이 어떤 책인지, 해석이 어떤 작업인지를 알게 한다.
-성경의 독자가 된다는 것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독자 대상
-하나님의 속성, 성경의 본질, 해석학, 삼위일체를 깊이 연구하려는 신학생 및 목회자
-성경 연구자 및 평신도

차례


감수의 글
한국어판 서문
감사의 말
서문 첫 번째 생각들

제1장 제1신학 : 포스트모던 작업실에서의 묵상

제1부 하나님
제2장 삼위일체는 종교 신학에 속하는가? : 루비콘 강에서의 낚시와 하나님의 ‘정체성’
제3장 하나님의 사랑 : 조직신학 안에서의 위치, 의미, 기능
제4장 유효한 부르심인가, 인과적 효과인가? : 소명, 주권, 병발적 은혜

제2부 성경
제5장 하나님의 강력한 화행 : 오늘날의 성경론
제6장 화행에서 성경 행위로 : 담론의 언약과 언약의 담론

제3부 해석학
제7장 성령의 조명 : 특별 계시와 일반 해석학
제8장 우물가의 독자 : 요한복음 4장에 대한 반응
제9장 목격자 증언의 해석학 : 요한복음 21:20-24과 저자의 죽음
제10장 바디 피어싱, 자연적 의미, 신학적 해석의 과제 : 요한복음 19:34에 대한 해석학적 설교문
제11장 세상은 잘 연출된 무대인가? : 신학, 문화, 해석학
제12장 진리에 대한 판가름 : 선교, 순교, 십자가의 인식론

인명색인
주제색인 

저자소개


케빈 밴후저

Kevin J. Vanhoozer
획기적이고 독창적 연구로 세계적 주목을 받고 있는 조직신학자. 1957년 미국에서 태어나 암허스트 대학교에 입학한 후 웨스트몬트 대학교로 전학하여 철학과 종교학을 전공했다. 필라델피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제임스 바, 브레바드 차일즈, 데이비드 켈시의 성경관 비교 연구’로 목회학석사(M. Div.)를 마치고 그곳에서 에드윈 존스 연구원(Edwin L. Jones Graduate Fellow)으로 2년간 연구 활동을 했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신학박사과정을 이수한 뒤 ‘폴 리꾀르 철학에 나타난 성경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교와 영국 에든버러 대학교 뉴 칼리지에서 가르치다가 다시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교로 돌아와 지금까지 재직하고 있다.


영국에 머무는 동안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교리 연구위원으로 활동했고 성경해석 분과 및 서구 문화의 선교학 프로젝트 인식론 분과에서도 활동했으며 에든버러 교리학 컨퍼런스를 조직해 이끌었다. 귀국한 후에는 미국 종교학회 조직신학 분과의 공동의장과 국제 조직신학 저널 편집위원으로, 트리니티 복음주의신학교 신학연구센터와 캘빈 신학교에서 해석학 관련 세미나 리더로 활약하고 있다.


케빈 밴후저는 개혁신학 전통, 특히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신학에 토대를 두고 신학을 전개해 왔으며 목사 안수를 받았고 현재도 그 교단에 속해 있다. 조직신학의 방법, 규범, 자료들 및 교리의 성격, 섭리론, 포스트모던 신학, 성경의 권위와 해석, 신학과 문화, 종교철학, 인식론, 해석학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두고 학문을 해 오고 있다.


저서로는 「이 텍스트에 의미가 있는가: 포스트모던 시대의 성경 해석학」(IVP), 「문화 신학」, 「교리의 드라마」(이상 부흥과개혁사), Biblical Narrative in the Philosophy of Paul Ricoeur: An Essay in Hermeneutics and Theology, Remythologizing Theology 등이 있으며, 「생명으로의 초대」(좋은씨앗), 「하나님과 문화」(크리스천다이제스트), 「예수, 바울, 하나님의 백성」(에클레시아북스), 「구약의 신학적 해석」, 「신약의 신학적 해석」(이상 CLC), 「목회자란 무엇인가」(포이에마), 「하나님의 사랑」(이레서원)을 포함한 여러 권의 책에 편집 및 기고자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