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요한계시록을 판타지 소설이나 해석할 수 없는 암호문 정도로 여기는가?
요한계시록은 먼 미래를 예언하는 책일 뿐, 현재를 사는 우리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가?


그 내용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당황스럽다는 이유로 요한계시록을 읽지 않으려는 그리스도인들이 있다. 소장 신약학자인 매튜 에머슨이 성경에서 가장 환상적인 책인 요한계시록에 대해 환상적인 해설서를 써 냈다. 이 책은 학문적인 연구와 실제적인 적용 사이에서 균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매튜 에머슨은 요한계시록을 전체적으로 다루면서, 요한계시록의 복잡한 이미지 속에서 놓치기 쉬운 심오한 주제들을 설명한다. 그는 요한계시록의 장르, 문학적 장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서, 그때 거기서 선포된 말씀을 오늘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깊고 풍성하게 알려 준다.

▒ <일상을 변화시키는 말씀> 시리즈 ▒
01 하나님께 소리치고 싶을 때: 욥기
02 십자가와 보좌 사이: 요한계시록
03 신비를 엿보다(가제) : 다니엘 (근간)
04 무대 뒤에 계신 하나님(가제) : 에스더 (근간)

“하나님의 말씀은 변화시킨다.” <일상을 변화시키는 말씀>이라는 제목과 이 시리즈만의 특징은 바로 이에 대한 확신에서 비롯되었다. 이 시리즈의 책임 편집자인 크레이그 바르톨로뮤는 세계의 유수한 학자들과 함께 성경 각 권의 주요 주제를 찾아내어 정리했다. 시리즈 각 권은 그 매력적인 주제를 중심으로 문맥을 세심하게 살피며 그 내용을 설명한다. 그 결과, 독자에게 참신한 통찰력을 줄 수 있는, 매력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주제별 성경 연구 시리즈가 만들어졌다. 이 시리즈는 성경을 읽고 가르치고 설교하는 일에 도움을 준다.

▒ 시리즈의 특징 ▒
* 성경 각 권의 문맥 이해
* 성경 각 권을 관통하는, 깊이 있는 주제별 연구
* 독자의 일상생활에 적용하도록 돕기 위한, 개인적인 사례와 일상적인 어조
* 개인 혹은 그룹 성경 공부를 위한 적용 질문 수록
* 개인 성경 통독을 돕기 위한 성경 권별 개론서

▒ 출판사 서평 ▒

어떻게 하면 요한계시록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요한계시록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와 어떻게 관련되는가?


대부분의 기독교 모임에서 요한계시록은 아주 인기가 많거나, 아니면 완전히 무시된다. 어떤 사람들은 오늘 신문의 헤드라인을 요한의 묵시나 다니엘의 환상에 관한 구절들과 연관시키면서 종말에 관한 단서를 찾기 위해 요한계시록을 살핀다. 다른 한편으로는, 요한계시록에 쓰인 언어를 괴상하다고 여기기도 한다. “용들, 짐승들, 그리고 매춘부들이라, 오 이런!”
그러나 요한계시록은 종말에 관한 암호를 풀어 주는 책도 아니고, 정경에 들어가지 않을 수도 있었던 기이한 부록도 아니다. 요한계시록은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처한 상황에 관해 이야기하는 책이다. 그런 의미에서 요한계시록은 교회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책이었고 지금도 그러하다. 이 묵시적이고 예언적인 편지는 모든 신자들, 그들이 1세기 로마제국의 시민이든, 21세기 대한민국 국민이든, 혹은 그 사이에 어느 곳에서 살았던 이들이든, 모두를 위한 성경이다.
이 책의 저작인 매튜 에머슨은 요한계시록의 장르, 문학적 장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서, 요한계시록 말씀을 현재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사려 깊고도 날카롭게 제시한다.
각 장에 수록된 <생각해 볼 질문>은 요한계시록의 교훈을 독자의 삶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게 한다. 이는 소그룹 토의 주제로도 유용하다.

▒ 이 책의 독자 ▒
- 요한계시록은 이해하기 어렵고, 종말에 관해 예언하는 책이라고만 생각하는 그리스도인
- 요한계시록의 흐름과 내용을 핵심 주제별로 이해하고 싶은 그리스도인
- 요한계시록 성경 공부 모임을 인도하고자 하는 목회자 및 교회 지도자
- 요한 계시록을 우리 삶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알고 싶은 그리스도인


차례

1. 서론
2. 문학으로서의 요한계시록
3. 구속의 드라마
4. 하나님과 그분의 백성에 대한 서술
5. 하나님의 적들에 대한 서술
6. 어린양의 전쟁
7. 오늘날의 요한계시록 읽기
8. 결론


저자소개

매튜 에머슨

Matthew Emerson

사우스이스턴 침례신학교(Southea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에서 성경 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복음주의신학회와 성서문학회 회원이며, 오클라호마 침례 대학교(Oklahoma Baptist University) 교수이다. <성경과 해석학 세미나> 운영 위원으로도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Christ and the New Creation: A Canonical Approach to the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Wipf & Stock)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