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한국 기독교청년회 운동사』는 한국 YMCA 태동기인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를 거쳐 광복에 이르는 반세기 동안 YMCA의 발자취를 담고 있다. 태동과 창설 및 사업 확장과 전국적인 조직이 갖춰지는 일련의 과정은 격변기 우리 현대사 가운데 시대의 부름에 호응하여―항일 투쟁과 민중계몽, 농촌운동, 민족 교회 육성 등―역사적 사명을 다하며 걸어온 길이었다.


차례

머리말
발간에 부쳐/ 백낙준, 김용우

제1부 태동기(1899~1903)_청년회 창설 전의 사회 상황과 청년 동향
1. 국내의 사회 환경과 청년들의 요구 2. 창설을 위한 전문가의 조사 작업
3. 전문가의 내한과 창설의 기초 작업 4. 미국 안의 청년운동과 한국에 끼친 영향

제2부 창설기(1903~1906)_황성기독교청년회의 창설과 민족사적 의의
5. 기독학생회의 창설과 그 주변 6. 황성기독교청년회의 창설과 그 구성 및 정신
7. 일본의 침략과 민족의 항거 8. 독립협회 운동의 계승자 9. 회관 마련과 사업의 착수
10. 미신화된 YMCA의 신흥 세력

제3부 회세 확장기(1906~1909)_조직의 증대와 사업의 확장
11. 회원의 급증과 연합 세력 형성 12. 신교육으로 사회 혁신 기도
13. 사업 확장과 새 회관의 건립 14. 새 지도 이념의 설정·조직·예산 및 사업 계획
15. 일본유학생 사업과 민족 자립의 열망

제4부 항일 투쟁기(1909~1913)_침략과 불의에 대한 민족적 항거
16. YMCA 안에까지 파고든 침략의 마수 17. 더 강화되는 YMCA의 힘과 슬기와 용기
18. 침략에 대한 학생운동의 조직화 19. 105인 사건 때의 항거
20. 유신회 사건 때의 항거 21. 명칭과 헌장 개정에 대한 항거

제5부 전국 조직기(1913~1916)_전국 연합회의 조직과 학생운동
22. 이상재 총무 취임과 공업교육 23. 자립 운영과 청소년 사업
24. 학생운동과 전국 연합회의 조직

제6부 독립운동과 민중계몽기(1916~1920)_무단정치하의 독립운동과 민중계몽
25. 윤치호 총무 취임과 체육관 준공 26. 총독부의 교육 탄압과 일부 교육사업의 정비
27. 실업교육과 체육사업을 통한 실력 배양 28. 민중계몽에 의한 3·1운동 기반 확립
29. 재일 한국 YMCA와 2·8선언 30. 3·1운동과 YMCA 정신

제7부 국제 활동기(1920~1925)_민족자결주의와 세계 조류 속의 한국
31. 미국 위원단의 방문과 제2차 독립운동 전개 32. 신홍우 총무의 취임과 그 주변
33. 지방청년회의 조직과 학생운동의 확장 34. 한국 YMCA의 독립을 위한 해외 활동
35. 범태평양 민족 대표 파송과 국제 활동 36. 각종 사업의 개척과 민족운동의 구축

제8부 민족 교회 육성과 사회 운동기(1925~1931)_외래 사조 속의 민족주의 운동
37. 이질적인 외래 사조의 등장 38. 제1차 농촌 조사와 3대 강령 발표
39. 농촌운동의 기본 계획과 국제 제휴 40. 농촌사업 개시와 교계 대표자 협의회 소집
41. 제2차 농촌 조사와 사업 확장 42. 공산당의 파괴 공작과 신간회
43. 민족적 각성과 독립운동 44. 민족 교회의 육성운동

제9부 수난과 암흑기(1931~1945)_민족 생존을 위한 결사 투쟁
45. 정치적 탄압과 농촌사업의 수난 46. 적극신앙단 운동을 통한 항거
47. 홍업구락부 등 지하운동을 통한 항거 48. 세계로 향한 유일한 창문이 닫히는 고통
49. 태평양전쟁에 휩쓸려

참고문헌/ 찾아보기/ 발간사  


저자소개

저자 : 전택부
저자 전택부(全澤鳧, 1915-2008)는 호는 오리(吾里). 함경남도 문천 출생. 1940년 도쿄 일본신학교 예과를 졸업하고 1941년 같은 신학교 본과를 중퇴했다. 〈월간 새벗〉과 〈사상계〉의 주간을 지냈으며, 소천 아동문학상 운영위원장, 서울 YMCA 총무 및 명예총무, 한글전용국민실천회 회장, 한글인터넷추진 총연합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1958년 이후 〈한국 기독교회사 만필〉, 〈토박이 신앙산맥〉, 〈양화진 외인 열전〉 등을 신문에 연재하면서 사건 현장을 중심으로 한 교회사 연구에 정진했고, 한국 기독교의 수용과 성장을 토박이 신앙인의 신앙역사로 보려는 ‘토박이 사관’을 새롭게 시도했다. 한글 운동을 한 공로로 1978년 문교부 장관 표창, 1980년 외솔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