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중독 상담과 치유를 다룬 책으로 정신의학과 신학, 그리고 신앙의 복잡한 함수관계를 쉽고 재밌게 잘 설명했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혼돈과 고통 속에 신음하는 현대인들에게 일 중독에 대한 바른 이해와 구체적인 치유 방법을 제시하여 일 중독자뿐만 아니라 이를 상담하는 전문가들에게도 좋은 상담 안내서가 된다.


차례


추천사
원호택(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최갑종(백석대학교 총장)

서 문

제Ⅰ부 중독에 대한 일반적 이해
1장_ 중독이란 무엇인가?
1. 현대사회와 중독
2. 중독의 정의
3. 중독의 특징
1) 일반적 특징
2) 중독의 정서적 특징
4. 중독의 종류
1) 물질 중독
2) 과정(행위) 중독
5. 긍정적 측면
2장_ 중독의 원인에 대한 접근 모델
1. 생물학적 모델
1) 유전적 요소
2) 신경생리적 요소
3) 신체구조적 요소
2. 심리학적 모델
1) 정신 역동적 측면에서의 이해
2) 행동 심리학적 측면에서의 이해
3. 사회 환경적 모델
4. 신학적(영적·도덕적) 모델
1) 죄의 결과로서의 중독
2) 욕망의 포로로서의 중독
3) 불안 반응으로서의 중독
3장_ 중독의 치유
1. 중독자의 치유를 위한 일반 원칙
2. 중독자의 치유전략
1) 시작단계-중독 인식하기
2) 중간단계(과도기)
3) 종료단계-새로운 자아 정체성 완성단계
3. 대상관계 이론에서 본 중독의 원인과 치유
1) 대상관계 이론의 기본개념
2) 대상관계 이론에서의 중독
3) 대상관계 이론(자기 심리학)에서 본 중독의 치유
4) 대상관계 이론과 기독교 상담
5) 대상관계 이론과 교회의 역할
4. AA 12단계 프로그램을 활용한 중독의 치유
1) AA 12단계의 의미
2) AA 12단계의 시초와 발전
3) AA 12단계의 내용
4) AA 12단계가 함축하는 의미

제Ⅱ부 일 중독
4장_ 일 중독이란 무엇인가
1. 일 중독의 의미와 정의
2. 일 중독과 물질 중독의 비교
3. 일 중독의 원인과 이해
1) 일 중독의 원인에 대한 신체적 이해
2) 일 중독의 원인에 대한 심리적 이해
3) 일 중독의 원인에 대한 사회 시스템적 이해
4) 일 중독의 원인에 대한 영적·신학적 이해
5) 일 중독의 원인에 대한 일반적 이해
4. 일 중독자의 성격적 특징
5. 일 중독의 유형
1) 계속형 일 중독자
2) 폭식형 일 중독자
3) 주의력 결핍형 일 중독자
4) 감상형 일 중독자
5장_ 일 중독과 탈진(burn out)
1. 탈진이란 무엇인가?
2. 탈진의 증상
3. 탈진의 예방 및 대책
6장_ 일 중독의 진단
1. 일 중독에 대한 진단 기준
2. 브라이언 로빈슨의 검사지
3. 프랭크 미너스(Frank Minirth)의 검사지
4. 스펜스와 로빈스(Spence & Robbins)의 진단 검사지

제Ⅲ부 일 중독과 치유
7장_ 일 중독과 가정의 치유
1. 일 중독과 가족 안에서의 동반 의존
2. 일 중독자 가정의 치유
8장_ 일 중독과 휴식
1. 위협받는 현대인의 일과 여가
2. 노동관에 대한 역사적 변천 과정
3. 일에 대한 기독교적 전망
4. 여가에 대한 기독교의 가르침
9장_ 일 중독과 AA 12단계를 활용한 치유
1. AA 12단계의 적용
2. 일 중독자들을 위한 12단계 방안
3. 현장에서 12단계를 활용하여
일 중독을 치유할 때의 고려사항
10장_ 일 중독과 영적 회복을 통한 치유
1. 일 중독과 영적 회복(영성 회복)의 관계
2. 영적 회복을 통한 일 중독의 치유과정
1) 삼손의 섹스 중독
2) 삼손의 파멸과 회복의 과정

제Ⅳ부 일 중독과 상담
11장_ 일 중독과 상담
1. 상담에 대한 일반적 이해
1) 개별화의 원리
2) 의도적 감정 표현의 원리
3) 통제된 정서 관여의 원리
4) 수용의 원리
5) 비판단적 태도의 원리
6) 자기 결정의 원리
7) 비밀 보장의 원리
2. 기독교 상담과 일 중독 치유
12장_ 일 중독과 상담의 실제
1. 일 중독자에 대한 상담전략
1) 초기단계
2) 본격적인 치유과정
3) 회복단계
2. 일 중독자에 대한 구체적인 상담 적용
1) 1단계: 선정단계
2) 2단계: 상담 및 치유과정
3) 3단계: 계속 치유전략 제공 및 상담 종료
3. 중독을 치유하는 상담자를 위한 제언 

저자소개



조숙자

학력 및 경력
 백석대학교 상담학 박사(Ph.D.)
 Life University 명예 신학박사(Th.D.)
한일장신대학교 겸임교수
 한일장신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부소장
 사)새희망교화센터 상담실장
 논문 및 저서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의사소통 프로그램
 목회자들의 일 중독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제 우리 결혼할까요?


감수 양동욱

학력
 충남대학교 문과대학 사회학과 졸업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M.Div. 교역학 석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신학석사 졸업(Th.M. 신학 석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신학박사 과정 졸업 및 신학박사 취득(Th.D.)

경력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 초빙교수(예배 설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