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고대 심리학《데 아니마》를 누구나 읽기 쉽도록 해석한 책
《데 아니마》는 자연과학과 생물학적 필치로 이루어졌지만 고대 심리학으로 분류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명저이다. 이 고대 심리학 원전을 읽기 쉽도록 재구성한 책이다. 영혼을 소중히 여기는 모든 일반인은 물론 뇌과학자, 심리학자, 그리고 기독교인조차 ‘영혼에 관하여’ 어떻게 말해야 하는지를 펼쳐서 보여준다. (데 아니마는 ‘영혼에 관하여’라는 뜻이다.)

‘살아서 숨 쉬는 영혼’에 관한 인문학 통찰
영양섭취능력, 감각능력, 운동능력, 욕구능력 등 영혼을 일종의 기능으로 이해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에 관한 기본 명제들을 우리 현대인의 삶의 틀에 맞춰 석의해낸 저자. 영혼이란 알 수 없는 저 먼 하늘나라의 어떤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이 땅에서 먹고 느끼고 움직이면서 체험할 수 있는 실체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우리 삶의 실천서로 손색이 없다. ‘영혼사용설명서’인 셈이다.


차례

저자의 서문 왜 아리스토텔레스인가? 4
일러두기 14
프롤로그 22
Chapter 1 영양섭취능력 | 나는 왜 먹는가? 28
Chapter 2 감각능력 | 나는 왜 느끼는가? 46
Chapter 3 운동능력 | 나는 왜 움직이는가? 100
Chapter 4 욕구능력 | 나는 왜 슬프고, 기쁘고, 즐겁고, 화나는가? 120
Chapter 5 사고능력 | 나는 왜 생각하는가? 136
Chapter 6 상상능력 | 나는 왜 상상하는가? 164
Chapter 7 윤리능력 | 나는 왜 바른가? 190
---INSIGHT 이원론 | 나는 둘로 비롯되었는가? 40
---INSIGHT 유물론 | 나는 물질에서 비롯되었는가? 94
---INSIGHT 유심론 | 나는 마음에서 비롯되었는가? 114
---INSIGHT 일체론 | 나는 현상에서 비롯되었는가? 132
---INSIGHT 심리론 | 나는 꿈에서 비롯되었는가? 158
---INSIGHT 뇌이론 | 나는 뇌신경에서 비롯되었는가? 182
---INSIGHT 영혼의 일곱 능력 vs 여섯 가지 심신이론 216
에필로그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하는 행복한 길 220
부록 《데 아니마》 발췌문 225


저자소개

이영진

호서대학교 평생교육원 신학과 교수

저자는 인문학의 여러 분야를 전방위로 자유롭게 넘나들면서도 보수적인 테제들을 통하여 혼합주의에 배타적인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일반적인 융·복합이나 통섭과는 차별화된 연구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호서대학교 평생교육원 신학 전공 주임교수로 재직하면서 다양한 인문학 지평의 융합 속에서 성서신학을 연구하고 있는 가운데 또 하나의 성과로서 이 책을 내놓았다. 한국기독교대학신학대학원협의회 소속 목회자로, ‘작은교회 세우기’ 모토로 설립한 미문(美門)교회를 5년째 섬긴다. 경원대학교에서 응용미술학을 전공하고 호서대학교 대학원에서 신약학을 전공했다. 청년 시절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심취하여, 한글로 된 성경 프로그램 보급이 미미하던 당시 ‘파워바이블’이라는 이름으로 MAC OS 운영체계와 WINDOWS PC 기반에서 구동되는 프로그램을 잇달아 개발하여 무료로 제공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전산구조(특히 서체 시스템)의 발달단계에 나타나는 상징·기호체계와 미학의 중요한 연관성을 발견하여, 독자적으로 구축한 해석학 원리를 기반으로 한 성서신학 논문으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기호와 해석의 몽타주: 속된 영화 거룩한 영화》 (2017)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사용설명서》(2016),《철학과 신학의 몽타주》(2015), 《자본적 교회》(2013), 《요한복음 파라독스》(2011)가 있으며, 〈해체시대 이후의 POST SECULAR 새교회〉(2013), 〈새시대, 새교회 새목회 대상〉(2011), 〈성서신학 방법에 관한 논고〉(2011) 등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