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본 장례예식의 원리들과 순서들,
그리고 그 의미들을 제시


20세기 후반 한국사회에서는 매장방식으로 진행되어 오던 장묘방식이 경제적인 부담, 번거로움, 국토의 훼손과 오염 등과 같은 실용적인 이유들 때문에 급격하게 화장방식으로 전환되기 시작했고, 이에 대하여 교회는 신학적으로나 문화적으로나 윤리적으로 대응해야 했습니다. 또한 최근에 들어와서 장례식장에서 헌화와 영정 앞에 기도를 하는 것이 바른 일인가에 대한 문의가 제기되면서 차제에 바람직한 기독교적 장례예식이 무엇인가를 정리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제1부인 장례예식 부분에서는 한국 유교, 유대교, 가톨릭교의 장례예식 절차들을 소개한 후에 개혁주의적 관점에서 본 장례예식의 원리들과 순서들, 그리고 그 의미들을 제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헌화의 문제와 영정 앞의 기도문제가 자연스럽게 답변됩니다.
제2부인 장묘방식 부분에서는 매장과 화장의 배경에 깔려 있는 종교적인 의미들은 무엇이며, 성경은 이 두 장법에 대하여 어떻게 보고 있으며, 오늘날의 기독교인들에게는 어떤 장법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제시하였습니다.
필자의 입장은 시신을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든 교리적인 문제는 아니며, 또한 보편적인 윤리적인 문제가 아니라 기독교문화의 문제이기 때문에 어떤 한 가지 장법을 교회가 성도들에게 강요할 필요는 없으나 성경은 매장방식을 일관성있게 지지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가능한 한 매장방식을 살려 나가는 방법이 바른 선택임을 강조하였습니다. 이어서 납골의 문제에 대한 성경적인 관점을 설명하고 새롭게 등장한 자연장 및 빙장에 대해서도 필자의 견해를 밝혔습니다. 필자는 자연장 및 빙장도 시신의 인위적이고 급격한 해체라는 점에서 화장의 연장성상에 있는 장법이라는 인식하에 이 두 장법에 대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아무쪼록 본서가 개혁주의적 관점, 나아가서는 기독교적 관점에서 건실한 장례문화를 세워가고 장례문화에 대한 보다 풍부하고 깊이 있는 연구를 촉발하는 주춧돌 하나를 놓는 일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차례


소개말 9

제1부: 장례예식 13

1장. 유교를 근간으로 하고 무속과 불교가 혼합되어 있는
한국의 전통적인 장례 예식 14

1. 유교의 전통적인 장례절차 16
1) 초종(初終) 16
2) 습(襲) 18
3) 소렴(小斂) 19
4) 대렴(大斂) 20
5) 성복(盛服) 20
6-8) 조(弔), 문상(問喪) 그리고 치장(治葬) 21
9) 천구(遷柩) 23
10) 발인(發靷) 24
11) 급묘(及墓) 24
12) 반곡(反哭) 25
13) 우제(虞祭) 26
14) 졸곡(卒哭) 26
15) 부제 27
16) 소상(小祥) 27
17) 대상(大祥) 27
18) 담28
19) 길제(吉祭) 28

2. 변형되고 간소화된 현대의 유교적 장례예식 29

3. 정리 30

2장. 유족위로에 집중된 유대교의 장례예식 33

1. 유대교의 장례절차 34
1) 케리아(옷을 찢음). 34
2) 랍비와 장례 지도사의 선정 35
3) 장례예식 36
4) 쉬바(깊은 애도의 7일) 37
5) 쉴로쉼(애도의 30일) 38
6) 제막식(除幕式) 40
7) 추도식 40
8) 회당에서의 기도문 낭송 40

2. 정리 41

3장. 죽은 자를 구원하기 위한 절차들로 채워진
로마 가톨릭의 장례예식 46

1. 로마 가톨릭의 장례절차 47
1) 장례의식의 전단계인 환자에게 기름을 바르는 의식 47
2) 전야(前夜, 깨어있는 기간) 50
3) 장례미사 55
4) 칭송 및 작별예식 58
5) 매장 59
6) 장례식 이후 60

2. 정리 61

4장. 개혁주의 전통이 지향해야 할 장례 예식 66

1. 개혁주의 장례 예식의 기본 원리들 66
1) 개혁주의적 장례 예식은 어떤 경우에도 죽은 사람을 위한 의례들로 구성되어서는 안 된다 69
2) 개혁주의 장례 예식은 유족의 정신적인 위기를 극복하고 일상의 삶으로 돌아오는 것을 도와주는 예식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85
3) 개혁주의 장례 예식은 성경적 사생관을 분명하게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 86

2. 개혁주의 장례 예식의 실제와 실제적인 논점들 86
1) 임종예배 88
2) 입관식 95
3) 발인식 97
4) 하관식 99
5) 추모예배 101

3. 정리 102


제2부: 장묘방식 105


1장. 매장과 화장 106

1. 문제의 성격 108

2. 화장과 매장의 정의 114

3. 화장에 뒤따르는 문제점들 119
1) 화장에 얽힌 종교적 관념들 120
2) 시신을 불태우는 것은 성경에서 형벌의 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125
3) 불은 성경에서 하나님의 심판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129
4) 시신의 인위적인 급격한 해체는 창세기3:19의 자연스러운
해석에 어긋난다 131
5) 교회사에 나타난 화장에 대한 입장들 133
6) 화장에 뒤따르는 현실적인 유익들 137

4. 매장은 성경이 인정하고 있는 유일한 장묘방식 140
1) 기독교권 밖에서의 매장 140
2) 한국의 전통적 매장의식과 그 종교적 배경 142
3) 히브리인들의 매장관습 147
4) 신약시대와 그 이후의 매장관습 151

5. 정리 161

2장. 납골당 164

1. 화장과 유골의 처리 165

2. 매장과 유골의 처리 167

3. 다섯 가지 시신처리방법과 바른 납골처리 170

3장. 자연장(수목장) 및 빙장 179

1. 자연장(수목장) 및 빙장의 등장배경 179

2. 신학적 관점에서 본 자연장과 빙장 182
1) 자연장 184
2) 빙장 186

3. 정리 192

참고문헌 196


저자소개


이상원
총신대학교 신학과(B.A.)와 신학대학원(M.DIV.), 미국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Th.M., 조직신학 전공), 네델란드 Kampen Theological University(Th.D., 기독교윤리전공)를 졸업했다. 현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기독교윤리학 및 조직신학교수이며, 기윤실 신학위원장, 한국복음주의윤리학회 회장,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상임위원장, 성산생명윤리연구소 소장, 기윤실 기독교윤리연구소장을 거쳐 현재 한국기독교생명윤리협회 공동대표로 섬기고 있다. 저서로는 『기독교윤리학』(총신대학교 출판부), 『라인홀드 니버』(살림), 『프란시스 쉐퍼의 기독교세계관과 윤리』(살림), 『삶이 묻다』(대서), 『하나님 우리 베프하실래요?』(두란노), 『하나님 우리 톡하실래요?』(두란노),  『십자가에서 아가페로: 고린도전서강해』(솔로몬), 『자기 십자가를 지고: 사도행전 강해』(솔로몬), 『행하는 삶: 야고보서 강해』(총신대학교 출판부), 『21세기 십계명 여행』(토기장이), 『21세기 사도신경 해설』(솔로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