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소개

이 책은 존 칼빈의 성화론을 깊이 있게 다룬 책이다. 이 전에 출판되었던 『존 칼빈의 성화론』(2009)을 수정 증보한 것이다. 그리고 학문적인 책답게 참고문헌, 인물색인, 용어색인을 첨가하여 자신이 참고하고 싶은 학자나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내용에 있어서는 성화된 삶의 특징에 모세오경에 대한 칼빈의 주석에서 발견된 새로운 내용을 첨가하였다. 그리고 참고문헌과 각주의 내용이 미진한 것들은 보충했다. 특히 요하네스 폰 스타우피츠(Johannes von Staupitz, 1468-1524)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그의 책 『Libellus de executione eterne predestinationis』(Nurenberge, Federicus Peypus, 1517)의 인용문을 찾아서 넣고 몇 가지 새로운 자료도 첨가되었다. 그 중에 칼빈이 영혼을 육신의 감옥으로 표현한 부분이 기독교 강요에서 11군데나 된다는 것을 찾아내고 그 본문을 다 이 책에 포함시킨 것은 중요한 발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적지 않은 오타와 문법상 오류를 바로 잡았다. 앞서 출판된 책은 너무 급하게 서두르는 바람에 미진한 바가 있어서 독자들에게 늘 미안한 마음이 있었는데 이번에 수정 증보판이 출간되어 좀 마음이 가벼워졌다.
형식에 있어서는 각주를 전부 미주로 바꾸었으며, 초반부에 있던 이전의 연구들과 칼빈에 대한 일반적인 평가들과 칼빈의 시대상황은 이 책을 다소 어렵다고 하는 신학 초보자들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맨 뒤에 부록으로 처리했다. 이로써 책을 읽어 나가는 데에 있어서 불편함을 최소화했다. 또한 그동한 썼던 칼빈에 관한 소논문 두 편을 부록으로 첨부하였따. 칼빈의 성화론과도 관계가 있는 내용이니 칼빈의 신학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서문 중에서


차례

추천사
저자서문

서론
칼빈의 신학과 성화의 교리
칼빈의 신학적 방법과 성격|칼빈의 신학에서 성화의 위치

칼빈의 성화론
· 성화의 개념
인간론적 전제|죄론적 전제|기독론적 전제|구원론적 전제|성화의 정의
· 성화의 동기와 목표
성화의 동기|성화의 목표
· 성화에 있어서 하나님의 역할과 사람의 역할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책임|성화에 있어서 하나님의 역할|성화에서 인간의 역할
· 성화의 성질
가시성이냐 불가시성이냐?|법정적이냐 사실적이냐?|점진성과 순간성|완전성과 불완전성
· 성화의 양태들
자기부인|십자가를 짊어짐|장래의 삶에 대한 명상
· 성화의 수단
교회의 도구적 역할|기도
· 성화와 다른 교리들과의 관계
칭의와 성화|예정, 선택, 소명과 성화|중생, 회개, 회심과 성화|신앙과 성화|견인과 성화
· 선행과 성화
선행과 성화|선택에 대한 확신과 선행|율법주의자인가 반율법주의자인가?
· 성화의 영역: 칼빈의 실천
교회의 성화|정치적 성화|사회적 성화

결론 : 요약과 평가
· 요약
· 평가
긍정적인 평가·|고려해야할 사항

미주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용어색인
인물색인


저자소개

유창형
서울대학교 졸업(B.V.,1984-1991), 총신대 신대원 졸업(M.Div.,1992-1995), 총신대 일반대학원 졸업(Th.M.,1998-2001), University of Pretoria(2003-2007)
총신대, 백석대, 국제신대원, 한영신대, 칼빈대 강사(2007-2012),칼빈대학교 조교수(2013- 현재)
저서 및 논문
1. 존 웨슬리의 성화론(2009, 목양)
2. 칼빈과 웨슬리의 성화에 있어서 점진성과 순간성에 대한 비교 고찰(성경과 신학 45권, 112-141)
3. 웨슬리의 칭의론(한국개혁신학 제 24권, 197-228)
4.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칼빈의 견해와 평가(칼빈연구 제 6집, 7-37)
5. 칼빈의 칭의론과 목회에의 적용 (신학지남 76/3)
6. 죄사함 의의 전가를 중심으로 한 칼빈의 칭의론과 그 평가(성경과 신학 52권)
7. 칼빈의 성화론과 교회교육(기독교교육연구 20)
8. 칼빈의 칭의론 안에서 믿음, 행함, 영생의 관계(개혁논총 13권)
9. 웨슬리와 휫필드의 칭의론 연구(한국개혁신학 32권)
10. 웨슬리의 성화론(총체적복음사역 연구소 연구지 제8호,38-67)
11. 베드로전서 3:18-20,4:6에 관한 이상근과 칼빈의 견해 분석비교(한국개혁신학 36권)
12. 몰리나의 중간지식에 관한 이성호, 티센, 폴헬름의 견해의 분석과 평가(성경과 신학, Vol.68,147-179)
13. 수호천사에 관한 비평적 연구(칼빈논단, 2013)